반응형


(108320) 실리콘웍스 - (3)


동사는 반도체 개발 및 제조,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 LG그룹에 소속되어 있으며 LG그룹은 70개의 국내계열회사를 가지고 있음.

동사는 Display Panel을 구동하는 핵심부품인 System IC(패널구동 IC) 제품을 디스플레이 제조기업(LG디스플레이 등)에 제조 및 판매함.

기존 LCD 주력시장인 대형 TV, 모바일 제품은 물론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신규 사업으로 영역 확장 중.


제품소개

Mobile Solution

Mobile DDI/TDDI

Mobile DDI는 Driver-IC, T-Con, Power Management IC 기능 3가지가 통합된 SoC 제품으로 Smartphone 뿐만아니라 Smartwatch, VR와 같은 Wearable Device까지 적용 어플리케이션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In-cell Touch 기술의 확대에 따라 Mobile DDI 형태의 SoC에 Touch 기능까지 지원하는 TDDI(Touch embedded DDI) 형태로 빠르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Add-on Touch 대비 One-chip화 및 모듈 공정에서의 터치 센서 통합으로 보다 얇은 두께 및 Cost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Mobile DDI 기술은 LCD향 Smartphone에는 물론 향후에는 OLED향 Smartphone에도 채용율이 빠르게 확대될 전망입니다.


이에 실리콘웍스는 새로운 기술트랜드에 발빠르게 대응하여 국내는 물론 해외 유수고객들을 대상으로 고해상도의 OLED 제품군을 공급하기 시작했으며, 향후 몇년간 시장을 선도하는 부품업체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적용 어플리케이션: Smartphone / Smartwatch / VR, AR, MR


On-cell Touch IC

현재의 Mobile 기기는 사용자 Interface를 위한 터치기술이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디스플레이 화면 사이즈가 증가하고 얇아지면서 다양한 노이즈 저감기술을 포함한 고성능의 정전센서 터치기술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On-cell Touch IC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실리콘웍스의 축적된 노이즈 저감 기술을 적용하고, Mobile Application에 적합한 저전력 칩 설계 기술을 접목한 제품입니다. 또한, 정전터치 센싱기술을 응용하여 3D 터치 및 Water 터치 등 다양한 사용자 Interface에 맞는 터치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미래의 Mobile 디스플레이 기술은 폴더블 및 화면사이즈 증가로 빠르게 변화될 전망입니다. 이에 실리콘웍스는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Active Pen 터치 및 On-cell 터치 기술을 확대하고 다양한 제품 Line-up을 통해 향후 모바일 터치 기술을 선도하는 역할을 맡게될 것입니다.


적용 어플리케이션 : Smartphone/ Tablet


Automotive Solution

Driver-IC

Automotive Display에도 Driver-IC기술은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LCD뿐만 아니라 OLED Panel 에도 채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Automotive Display에 적용되는 Driver-IC는 COF(Chip-On-Film) 또는 COG(Chip-On-Glass) 형태이며, Main Driver-IC인 SD(Source Driver) IC는 T-Con로부터 Intra-Panel Interface를 통해 Data와 제어 신호를 Digital로 받아 그에 적합한 Analog 신호를 생성하여 LCD, OLED Panel에 전송해 주는 IC입니다.


OLED Driver-IC Panel의 display uniformity를 보상하기 위해서 고정밀 센싱회로를 내장하고 있는 Driver IC 입니다.

TDDI

자동차 디스플레이에도 최근 터치 기능이 강화되면서 고성능의 Touch IC 기술이 채용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사는 가장 Advanced된 Touch 기술인 TDDI기술을 Mobile에 이어 Automotive Display분야에까지 확대 적용하고 있습니다.


T-Con/Video Processor/One chip

Automotive Display에도 T-Con 기술은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LCD뿐만 아니라 OLED Panel 에도 채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술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화질관련 Video Process 기술 (Scaler, Local Dimming, HDR, RGBW, White Balnace, Dither 등 화질처리 알고리즘 적용)

Panel을 구동시키기 위한 T-Con 기술

Telltale 기술 (방향 지시등, 위험표시등을 LCD 화면에 나타내는 기술)

자동차 Safety 관련 기술 (ISO26262 적용)


Power Management IC

Automotive Display용 Power Management IC는 AEC-Q100 인증을 획득하여 높은 신뢰성을 바탕으로 자동차의 각종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사용되는 Source Driver-IC, Gate Driver-IC, LED BLU 등에 적합한 전압을 제공하는 IC입니다.


Power Management IC는 승압형 부스트 변환기와 반전/비반전 전하 펌프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열 방지 및 과전류 방지 등 보호기능이 내장되어있어 비정상적인 조건에서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Sensor ROIC

오늘날의 자동차는 단순한 기계장치의 조합이 아닌 전장시스템의 집합체로 변신하고 있습니다. 30년 전 자동차에서 전자부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 차량가격의 1%에도 미치지 못했으나 현재는 20~30%가량 수준에 달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에 대한 신뢰성, 안전 등에 대한 중요성의 부각과 사용자의 첨단기능 요구 증가 속에서 전자제어시스템(반도체) 적용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자동차 반도체는 안전과 직결되기 때문에 고도의 신뢰성과 내구성이 요구되는 등 진입장벽이 높은 고부가가치 시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APS(Accelerator Pedal Sensor) IC: 엑셀 페달의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위치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고, 출력 전압은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정보로 이용됩니다. 또한 차량 환경 하에서 각종 고장 모드에 대한 안전 기능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당사는 자동차 반도체의 신뢰성 규격인 AEC-Q100 인증을 획득하고 제품 공급 중에 있습니다.

LWS(Line Wearing Sensor) IC: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정도를 감지하여 전압의 형태로 출력하고, 차량 환경 하에서 각종 고장 모드에 대한 안전 기능을 제공하는 IC입니다. 당사는 자동차 반도체의 신뢰성 규격인 AEC-Q100 인증을 획득하고 제품 공급 중에 있습니다.

BPS(Brake Pedal Sensor) IC는 브레이크 페달이 밟혔는지를 감지하여, 브레이크 등의 점등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차량 환경 하에서 각종 고장 모드에 대한 안전 기능을 제공하는 IC입니다. 당사는 자동차 반도체의 신뢰성 규격인 AEC-Q100 인증을 획득하고 제품 공급 중에 있습니다.


BMS IC

리튬 이온 배터리 관리 시스템 IC인 Balancing & Monitoring IC는 저비용의 BOM 비용과 작은 form factor를 가능하게하는 통합 시스템을 제공하며,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HEVs),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PHEVs), 순수 전기 자동차 (BEVs)와 같은 고신뢰성이 필요한 오토모티브 응용에 적합하게 설계되었습니다.


이 제품은 전용 정밀 16 비트 ADC를 통해 3 ~ 8 셀의 전압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균일하지 않는 용량을 가진 각 셀 전압의 균형을 셀 사이의 내부 또는 외부 저항을 이용해 맞출 수 있으며, 추가 셀 온도 모니터링 및 프로그램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10-GPIO 포트는 물론 8- 아날로그 보조 아날로그 입력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과전압, 저전압, 과열 및 기타 오류와 같은 여러 오류 조건을 모니터링 및 감지하고 두 개의 독립적인 통신 채널을 통해 마스터에 보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두 개의 CAN 및 데이지 체인은 ASIL C 등급 이상의 기능 안전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Rear-side LED Lamp Driver-IC

본 LED Lamp Driver-IC는 STOP 램프, TAIL 램프, 방향 지시 램프, 후진 램프로 이루어져 있는 자동차의 후방 램프를 구동하는 IC입니다. DC-DC 컨버터의 외장 파워 FET와 내장되어 있는 8 채널 선형 레귤레이터의 n- 채널 FET를 동시에 제어 할 수 있으며, 각 채널의 전류를 최대 200mA까지 동시에 구동 할 수 있습니다.


채널 전류를 조정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개별 채널의 PWM 듀티 설정하기 위하여 내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를 이용하는 것이며, 이 방법은 채널 전류가 외부 회로 부품에 의해 수정되지 않기 때문에 목표 LED 전류 조정을 위한 개발 시간을 크게 단축 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채널 전류를 외부 전류 감지 저항에 의해 조정하는 것입니다.


LED연결이 open 또는 short가 되는 비정상적인 상태를 채널별로 감지하며, 이 때 IC는 보호 상태가 되며 그 상태를 외부로 알려 주는 출력 pin을 통하여 비정상 상태를 경고합니다.


또한, 8 채널 선형 레귤레이터의 턴온 시간은 내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를 통하여 delay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하여, 별도의 MCU 없이 채널의 순차적 점등을 손쉽게 구현이 가능합니다.


본 IC는 어플리케이션 상황에 따라, 전방 램프의 주간 주행 램프 (DRL), 안개 램프 및 방향 지시 램프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Interior LED Lamp Driver-IC

Interior LED Lamp Driver-IC는 최대 350mA까지 프로그램 가능한 전류를 가지는 1 채널 선형 LED 드라이버로, 고휘도 LED 어레이를 구동할 수 있습니다. 인에이블 입력에 의해 출력이 제어되므로 이를 이용해 PWM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내장된 온도 모니터를 이용해 IC 온도가 열 임계 값을 초과하면 LED 구동 전류를 감소시키는 기능이 있으며, 외부 저항을 통해 온도 임계 값을 프로그래밍 할 수도 있습니다. 외부 shunt 저항을 사용하여 IC 패키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 저항으로 배분하는 발열 관리 기능이 있습니다. 그리고, SS 핀에 연결되는 외부 커패시터 CSS에 의해 채널의 턴온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는 페이드-인 기능이 있습니다.


Domestic 1st ISO26262 certified

AEC-Q100 qualification


Home Appliance & ESS Solution

HMI Microcontroller

ARM 32bit Cortex-M3 기반의 마이크로콘트롤러 제품으로 ARM의 범용 개발 환경을 적용하여 신속한 개발이 가능합니다.


내장된 Flash Memory와 Analog IP 를 사용하여 (On-Chip Oscillator, ADC, DAC, Power-on Reset) 최소한의 BOM으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고 직렬통신과 PWM IP를 지원하여 다양한 디바이스 제어가(센서/Wifi/LED/스위치/모터) 가능합니다.


ESS BMIC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 에너지를 미리 저장했다가 필요한 시간대에 사용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써, 피크 수요 시점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돌발적인 정전 시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 하여 효율적 전력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에너지 저장을 위하여 주로 리튬 이차 전지가 사용되며,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제어 장치가 필요하다.


반응형
반응형


(108320) 실리콘웍스 - (2)



동사는 반도체 개발 및 제조,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 LG그룹에 소속되어 있으며 LG그룹은 70개의 국내계열회사를 가지고 있음.

동사는 Display Panel을 구동하는 핵심부품인 System IC(패널구동 IC) 제품을 디스플레이 제조기업(LG디스플레이 등)에 제조 및 판매함.

기존 LCD 주력시장인 대형 TV, 모바일 제품은 물론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신규 사업으로 영역 확장 중.


제품소개

TV Solution

Driver IC

TV의 Main Driver IC인 COF(Chip-On-Film)타입 SD(Source Driver) IC는 Timing Controller로부터 Intra-Panel Interface를 통해 Data와 제어 신호를 Digital로 받아 그에 적합한 Analog 신호를 생성하여 LCD, OLED TV Panel에 전송해 주는 IC입니다.

Panel이 고해상도, 초박형, 저전력을 요구함에 따라 Source Driver IC는 더 많은 Channel 수와 빠른 전송속도를 가지면서도 초박형을 구현하기 위해 새로운 Intra-Panel Interface 규격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실리콘웍스는 CEDS™와 같은 Interface를 제시함으로써 기술력을 인정받은 바 있습니다.

OLED Driver IC Panel의 display uniformity를 보상하기 위해서 고정밀 센싱회로를 내장하고 있는 Driver IC 입니다.


T-Con

T-Con는 TV Set에 나오는 비디오 신호를 Driver-IC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IC입니다.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TV Set 에서 오는 Video 신호를 Panel 특성에 적합한 data로 변환한 후 Panel Pixel구조에 맞게 재배열 하여 Source Driver-IC에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또한 Panel 구동을 위한 Gate/Source Driver-IC timing control 신호를 생성하여 Display Panel 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맡게 됩니다.

LCD T-Con의 경우 액정의 느린 응답속도로 인한 모션블러를 개선하기 위해 Over Driving 알고리즘이 사용됩니다.

OLED T-Con의 경우 열화를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보상 알고리즘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ower Management IC

Power Management IC는 여러 가지 전원 구성 요소를 통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사용되는 T-Con, Source Driver-IC, Gate Driver-IC 및 패널에 안정적이고 적합한 전압을 제공하는 IC입니다.


Power Management IC는 승압형 부스트 변환기, 강압형 벅 변환기, 반전 전하 펌프, 저전압강하 선형 전압조정기, 연산증폭기, 레벨 쉬프터 및 기타 회로를 내장하고 있으며 I2C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 전압 및 시간 등을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과열 방지 및 과전류 방지 등 보호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비정상적인 조건에서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IT Solution

Driver-IC

Monitor의 Main Driver-IC인 COF(Chip-On-Film) SD(Source Driver) IC는 T-Con으로부터 Intra-Panel Interface를 통해 Data와 제어 신호를 Digital로 받아 그에 적합한 Analog 신호를 생성하여 LCD, OLED Panel에 전송해 주는 IC입니다.

OLED Driver-IC Panel의 display uniformity를 보상하기 위해서 고정밀 센싱회로를 내장하고 있는 Driver-IC 입니다.


T-Con

T-Con은 Set에 나오는 비디오 신호를 Driver-IC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IC입니다.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Set 에서 오는 Video 신호를 Panel 특성에 적합한 data로 변환한 후 Panel Pixel구조에 맞게 재배열 하여 Source Driver-IC에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또한 Panel 구동을 위한 Gate/Source Driver-IC Timing control 신호를 생성하여 Display Panel 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맡게 됩니다.

LCD T-Con의 경우 액정의 느린 응답속도로 인한 모션블러를 개선하기 위해 Over Driving 알고리즘이 사용됩니다.

OLED T-Con의 경우 열화를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보상 알고리즘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ower Management IC

Power Management IC는 여러 가지 전원 구성 요소를 통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사용되는 T-Con, Source Driver-IC, Gate Driver-IC 및 패널에 안정적이고 적합한 전압을 제공하는 IC입니다.


Power Management IC는 승압형 부스트 변환기, 강압형 벅 변환기, 반전 전하 펌프, 저전압강하 선형 전압조정기, 연산증폭기, 레벨 쉬프터 및 기타 회로를 내장하고 있으며 I2C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 전압 및 시간 등을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과열 방지 및 과전류 방지 등 보호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비정상적인 조건에서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SR-IC(Source Driver IC+ROIC)

COG(Chip-On-Glass)형태의 SR(Source Driver+Touch Readout IC)는 T-Con로부터 Intra-Panel Interface를 통해 Data와 제어 신호를 Digital로 받아 그에 적합한 Analog 신호를 생성하여 Monitor Panel에 전송해 주는 역할과, Panel로 전달되는 Touch를 인식하여 MCU로 Touch data를 전송하여 Touch Application을 동작시켜 주는 두가지 역할을 이행하는 IC입니다.

Touch PMIC(TPIC)

Touch Power IC는 AIT(Advanced In-cell Touch) Panel에 적용되는 기술로 Touch 구간 동안 Gate와 VCOM 전압을 Touch 신호와 동기화하여 변조함으로써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을 제거하여 Touch 성능을 극대화 해줍니다. I2C 통신을 통해 변조 전압을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Touch IC

Touch Controller IC Chip은 태블릿, 모니터등 정보기기 화면을 손가락이나 터치펜으로 터치할때 발생하는 아날로그 신호의 변화를 감지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각종 구동 알고리즘을 통해 그 움직임을 파악할수 있게 하는 시스템 반도체의 일종으로써 현재 실리콘웍스의 경우 10"~65" Application 적용 가능한 Solution을 구비 하고 있습니다.


Driver-IC

Notebook이나 Tablet PC에 적용되는 Driver-IC는 COF(Chip-On-Film) 또는 COG(Chip-On-Glass) 형태이며, Main Driver-IC인 SD(Source Driver) IC는 T-Con으로부터 Intra-Panel Interface를 통해 Data와 제어 신호를 Digital로 받아 그에 적합한 Analog 신호를 생성하여 LCD, OLED Panel에 전송해 주는 IC입니다.

OLED Driver-IC Panel의 display uniformity를 보상하기 위해서 고정밀 센싱회로를 내장하고 있는 Driver-IC 입니다.

TED(T-Con Embedded Driver-IC)는 T-Con 기능과 Driver-IC기능이 통합된 새로운 형태의 Driver-IC 기술로 Tablet PC와 같은 Portable IT기기에 주로 쓰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T-Con

T-Con는 Set에 나오는 비디오 신호를 Driver-IC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IC입니다.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Set 에서 오는 Video 신호를 Panel 특성에 적합한 data로 변환한 후 Panel Pixel구조에 맞게 재배열 하여 Source Driver-IC에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또한 Panel 구동을 위한 Gate/Source Driver-IC timing control 신호를 생성하여 Display Panel 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맡게 됩니다.

LCD T-Con의 경우 액정의 느린 응답속도로 인한 모션블러를 개선하기 위해 Over Driving 알고리즘이 사용됩니다.

OLED T-Con의 경우 열화를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보상 알고리즘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ower Management IC

Power Management IC는 여러 가지 전원 구성 요소를 통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사용되는 T-Con, Source Driver-IC, Gate Driver-IC, LED BLU 및 패널에 안정적이고 적합한 전압을 제공하는 IC입니다.


Power Management IC는 승압형 부스트 변환기, 강압형 벅 변환기, 반전 전하 펌프, 저전압강하 선형 전압조정기, 연산증폭기, 레벨 쉬프터 및 기타 회로를 내장하고 있으며 I2C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 전압 및 시간 등을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과열 방지 및 과전류 방지 등 보호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비정상적인 조건에서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Power Management IC에는 LED BLU Driver-IC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SR-IC (Source Driver IC+ROIC)

COG(Chip-On-Glass)형태의 SR(Source Driver+Touch Readout IC)는 T-Con로부터 Intra-Panel Interface를 통해 Data와 제어 신호를 Digital로 받아 그에 적합한 Analog 신호를 생성하여 Notebook PC나 Tablet PC Panel에 전송해 주는 역할과, Panel로 전달되는 Touch를 인식하여 MCU로 Touch data를 전송하여 Touch Application을 동작시켜 주는 두가지 역할을 이행하는 IC입니다.

Touch PMIC (TPIC)

Touch Power IC는 AIT(Advanced In-cell Touch) Panel에 적용되는 기술로 Touch 구간 동안 Gate와 VCOM 전압을 Touch 신호와 동기화하여 변조함으로써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을 제거하여 Touch 성능을 극대화 해줍니다. I2C 통신을 통해 변조 전압을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Touch IC

Touch Controller IC Chip은 태블릿, 모니터등 정보기기 화면을 손가락이나 터치펜으로 터치할때 발생하는 아날로그 신호의 변화를 감지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각종 구동 알고리즘을 통해 그 움직임을 파악할수 있게 하는 시스템 반도체의 일종으로써 현재 실리콘웍스의 경우 10"~65" Application 적용 가능한 Solution을 구비 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108320) 실리콘웍스 - (1)




동사는 반도체 개발 및 제조,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 LG그룹에 소속되어 있으며 LG그룹은 70개의 국내계열회사를 가지고 있음.

동사는 Display Panel을 구동하는 핵심부품인 System IC(패널구동 IC) 제품을 디스플레이 제조기업(LG디스플레이 등)에 제조 및 판매함.

기존 LCD 주력시장인 대형 TV, 모바일 제품은 물론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신규 사업으로 영역 확장 중.


CEO인사말

한국의 시스템 반도체 역사를 새로 쓰는 실리콘웍스가 되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저희 실리콘웍스 웹사이트를 방문해주신 여러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실리콘웍스는 1999년 설립되어 현재까지 다양한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시스템 반도체 기술을 세계적인 수준까지 끌어올리며 국내 팹리스를 대표하는 업체로 성장해왔습니다.

최근에는 전장반도체를 포함한 다양한 사업영역 분야에 연구인력 확보 및 기술개발 투자를 적극적으로 확대하여 글로벌 시스템반도체 업체로 도약하기 위한 변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4차산업 시대의 도래를 앞두고 시스템반도체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주요 기술 확보를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실리콘웍스는 차별화된 기술력과 다양한 제품군 확보를 통해 국내는 물론 해외 잠재고객을 발굴하여 안정적 수익성을 갖춘 기업체로 거듭나고자 합니다.

첨단화된 시스템반도체 기술이 스마트하고 친환경적인 세상을 앞당기고 있습니다. 실리콘웍스가 그 중심에 서는 그 날까지 여러분의 끊임없는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리겠습니다.


연혁


비전 및 핵심가치


사업분야

실리콘웍스는 다양한 제품포트폴리오 구축을 통해 글로벌 시스템 반도체 업체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정도경영 안내

LG Way

LG 임직원의 사고 및 행동의 기반으로서 경영이념인 『고객을 위한 가치창조』와 『인간 존중의 경영』 을 LG의 행동방식인 『정도경영』 으로 실천함으로써 LG의 비전인 『일등 LG』 를 달성하자는 것입니다.


정도경영

윤리경영을 기반으로 꾸준히 실력을 배양해 정정당당하게 승부하자는 LG만의 행동방식을 의미합니다. 정도경영이란 단순히 윤리경영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윤리경영에서 나아가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실력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의 경영이념은 정도경영의 실천을 통해 실현됩니다.

인쇄 홍보물



반응형
반응형


(096530) 씨젠 - (8) 해외보도 - 프랑스 BFMTV 번역본


La high-tech française, arme anti-coronavirus

첨단 의료 장비를 전문으로하는이 SME는 파리 지역, Corrèze 또는 Isère에 있으며 코로나 바이러스의 전파로 강력한 활동을 충족합니다. 

첫 번째 인 Eurobio Scientific은 검사 한 개인이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 할 수있는 의료 검사를 배포합니다. 

SME는 2 시간 이내에 3 개의 Covid-19 식별 유전자를 탐지하는 진단 키트도 제공합니다. 

UV Germi라고하는 또 다른 SME는 첨단 자외선 처리 시스템 덕분에 미세 입자를 걸러 내고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적외선 구성 요소를 생산하는 Grenoble 기반 SME 인 Lynred가 있습니다. 

이들은 카메라에 통합되어 있으며 군중에서 움직이는 사람의 온도를 측정 할 수 있습니다. 

-2020 년 3 월 4 일 수요일부터 Frédéric Simottel이 BFMTV에서 발표 한 Culture Geek.

(SME는 seegen - 씨젠 입니다.)


인터넷, 연결된 개체, 응용 프로그램 및 기타 첨단 장치 : Anthony Morel은 미래의 세상과 모든 사람의 일상을 바꿀 최신 트렌드와 팁을 보여줍니다.

프랑스 최초의 연속 뉴스 채널 인 BFMTV는 하루 18 시간의 생방송 및 현재 행사가 필요한 전세계의 생방송으로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합니다. BFMTV는 또한 토론과 주요 시사 보고서에 관한 것입니다. TNT의 15 번 채널과 BFMTV.com에서 BFMTV를 찾으십시오.


코로나19에 대한 긴급사용 승인을 받고 전 세계 공급을 개시한 씨젠의 'Allplex 2019-nCoV Assay'



프랑스 BFMTV 보도내용 - 원본


반응형
반응형


(096530) 씨젠 - (7)




How this South Korean company created coronavirus test kits in three weeks

By Ivan Watson, Sophie Jeong, Julia Hollingsworth and Tom Booth, CNN

Updated 0355 GMT (1155 HKT) March 13, 2020

Inside the company that used AI to create a coronavirus test

한국 회사가 3 주 만에 코로나 바이러스 테스트 키트를 만든 방법

작성자 : Ivan Watson, Sophie Jeong, Julia Hollingsworth 및 CNN Tom Booth

2035 년 3 월 13 일 0355 GMT (1155 HKT) 업데이트

AI를 사용하여 코로나 바이러스 테스트를 만든 회사 내부

서울 (CNN) 한국에서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가 확인되기 전에, 한 생명 공학 회사 중 한 곳에서 질병을 식별하기위한 검사 키트를 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1 월 16 일, 분자 생명 공학 회사 인 Seegene의 최고 경영자이자 창립자 인 Chun Jong-yoon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초점을 맞출 시간이라고 팀에 말했다.

그것은 바이러스를 휩쓸고있는 바이러스가 Covid-19로 지명되기 전이며 한국보다 4 일 앞서서 첫 번째 사건을 확인했습니다.

"아무도 우리에게 요구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분자 진단 회사입니다. 우리는 사전에 준비해야합니다."그는 당시의 생각을 기억했습니다.

두 달간 빨리 감기에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영향을받은 국가 중 하나이며 7,800 명 이상이 감염되어 60 명 이상이 사망했습니다.

그러나 한국이 다른 국가보다 더 많은 수의 감염을 가질 수있는 한 가지 이유는 공격적인 테스트 방법입니다.

일부 국가에서는 의심되는 환자를 진단하기에 충분한 테스트 키트를 얻기 위해 고군분투했지만, 한국은 의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위해 무료로 쉽게 테스트 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국가 질병 통제 예방 센터 (KCDC)는 국가에 테스트 할 수있는 118 개의 시설이 있으며 결과는 모두 KCDC에보고한다고 말합니다. 현재까지이 나라는 230,000 명 이상을 시험했습니다.

또한 방호복을 입은 의료 종사자들이 운전자를 만날 수있는 드라이브 스루 코로나 바이러스 테스트 시설도 출시했습니다.

박능후 보건부 장관은 월요일 CNN에 "초기 환자 탐지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은 개방 된 사회이며 사람들이 이동하고 여행하는 자유를 보호하고자합니다.

"우리가 대량의 테스트를 수행하는 이유입니다."

그러나 대량으로 테스트를 시작하려면 국가에 먼저 테스트 키트가 필요합니다.

Staff at Seegene's headquarters in Seoul, South Korea, on March 6, 2020.

A secret weapon

서울에있는 Seegene 본사의 지하실에는 회사의 코로나 바이러스 성공의 열쇠가 있습니다.

이 회사는 인공 지능 기반 빅 데이터 시스템을 보유하고있어 코로나 바이러스 테스트를 신속하게 개발할 수있었습니다.

분석 키트로 알려진 테스트는 여러 바이알 화학 용액으로 구성됩니다. 환자로부터 샘플을 채취하여 용액과 혼합하여 특정 유전자가 존재하는 경우 반응합니다.

Chun은 컴퓨터 없이는 테스트를 개발하는 데 2 ​​~ 3 개월이 걸렸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에는 몇 주 만에 완료되었습니다.

1 월 24 일까지 과학자들은 테스트 키트에 필요한 원자재를 주문했습니다. 4 일 후에 그들은 도착했다. 2 월 5 일, 테스트의 첫 번째 버전이 준비되었습니다.

회사가 연구 개발 팀이 수동으로 작업하는 대신 슈퍼 컴퓨터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설계 한 것은 세 번째였습니다. 이전에는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요도의 염증 인 요도염 진단 키트를 만들었습니다. 이 회사는 Covid-19 샘플없이 바이러스에 대해 공개 된 유전자 정보 만 사용하여 테스트를 설계 할 수있었습니다.

그리고 그의 팀이 24 시간 내내 일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천(씨젠의 천종윤 대표)은 말했다.

An assembly line at Seegene's headquarters in Seoul, South Korea, on March 6, 2020.

다음 장애물은 테스트 승인을 받고있었습니다. 필요한 서류를 한국 당국에 제출하고 승인을받는 데 1 년 반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일주일이 걸렸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테스트 키트 개발을 위해 과학자 팀을 이끌고있는 이대훈은 전 생애를 질병에 대해 연구했다. 그는 KCDC가 테스트 키트를 너무 빨리 승인하는 것을 보지 못했습니다.

2 월 12 일, KCDC가 프로세스를 신속하게 처리함으로써 Seegene이 사인을 받았습니다. 정부가 자신의 환자 샘플을 사용하여 테스트를 평가 했으므로 과학자들은 테스트가 효과가 있음을 확실하게 알았습니다.


Getting the kit to hospitals

2 월 중순까지 한국의 코로나 바이러스 사례가 급증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2 월 23 일 한국의 위기 경보를 최고 수준으로 높였다.

문은 TV 방송에서“우리는 지금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와 함께 유역의 순간에 있으며 앞으로 며칠이 매우 중요 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는 감염된 사람들을 가능한 빨리 식별하고 바이러스가 더 이상 퍼지지 않도록해야합니다."

그 후 Chun은 결정을 내 렸습니다. 그의 395 명의 직원은 다른 모든 작업을 중단하고 코로나 바이러스 테스트 키트를 만드는 데 집중했습니다. 회사의 50 개 정도의 다른 제품의 생산은 2 주 동안 일시적으로 중단되었습니다.

"비상 운영은 모든 부서를 의미하며, 직업을 바꿔야한다"고 그는 말했다. "우리 팀은 모두 코로나 바이러스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A worker at Seegene oversees an assembly line where test tubes are being labeled at Seegene's headquarters in Seoul, South Korea, on March 6, 2020.


이는 박사 학위를 보유한 미생물 생물 학자들이 조립 라인에 자리를 잡기 위해 연구 개발을 포기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업 전략 책임자 노 시원은“일부 (고등 과학자들은) 제품 포장을하고있다. 교육 방법은 중요하지 않으며, 우리가 여기에 미치므로 문제가되지 않는다.

Seegene은 한국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테스트 키트를 제공하는 4 개의 국내 회사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이 회사는 이탈리아와 독일을 포함한 약 30 개국의 국제 수요에 직면 해 있으며 일부는 환자에게 Seegene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고 Chun은 말했다.

처음에 Seegene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고군분투했지만 이제는 대처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일주일에 약 10,000 개의 키트를 만들고 있으며 각 키트는 100 명의 환자를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주 백만 명의 환자를 테스트 할 때마다 테스트 당 20 달러 미만의 비용으로 충분히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기업 전략 전무 이사 노 시원은이 규모로 회사가 제조 된 것을 처음이라고 말했다.

이 회사는 3 개월 분량의 다른 테스트 키트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1 ~ 2 개월 동안 기존 주문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Chun은 회사가 코로나 바이러스 테스트 키트를 계속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그 필요성은 금전적 이익을 넘어서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가능한 한 빨리 이를 파악하기 위해 한 가지 방법을 제공하거나 제공해야합니다. 이것이 바로 전 세계에 공급하는 이유입니다."


What other countries are doing wrong

다른 국가에서는 당국이 테스트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천 교수는 가능한 한 가지 설명은 일부 장소는 자동이 아니라 수동으로 테스트 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모든 검사는 간호사가 환자의 면봉 또는 샘플을 채취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면봉을 수동으로 테스트하는 경우 과학자는 피펫을 사용하여 분석 키트를 샘플에 넣습니다.

그러나 한국을 포함한 점점 더 많은 장소에서 과학자들은 자동 테스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람이 용액을 혼합하는 대신, 샘플을 진단 기계에 넣습니다.

기계 내부에서 로봇 암은 용액을 피펫 팅하고 한 번에 여러 테스트에서 액체를 혼합합니다. Chun에 따르면이 방법은 94 명의 환자에서 샘플을 테스트하는 데 4 시간 밖에 걸리지 않으며 수동 방법보다 4 배 빠릅니다. 또한 인적 오류나 오염의 위험을 줄입니다.

일부 국가의 속도를 늦출 수있는 다른 방법은 사용중인 테스트 키트의 유형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를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 할 수있는 3 가지 유전자가 있으며, Seegene의 키트는 하나의 튜브에서 3 가지 유전자를 모두 테스트 할 수 있다고 Chun은 말했다. 모든 테스트 키트가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Chun은 미국이 Seegene 시스템에 접근 할 수 있다면 일주일에 백만 명의 환자를 검사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현재 미국은 환자에 대한 테스트를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미국 식품의 약국 (FDA)의 승인을받지 않았습니다.

Chun은 해외 보건 당국을 돕고 싶어합니다.

"문제는 사람들을 제대로 테스트 할 기회가 없다는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적절한 진단 없이는 아무도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

(이상 美 - 미국 CNN 보도 번역본)


반응형
반응형


(096530) 씨젠 - (6) 뉴스 & 미디어




뉴스


“어떻게 3주만에 진단키트 만들었나”…CNN, 韓 대응 호평

미국 CNN이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코로나19 진단시약 생산업체 ‘씨젠’을 집중 조명했다. (CNN 갈무리)

미국 CNN이 한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에 호평을 보냈다. 특히 유전자 진단 시약 기업 ‘씨젠’이 어떻게 3주 만에 코로나19 진단키트를 개발해 양산에 들어갈 수 있었는지를 집중 조명했다.

12일(현지시간) CNN은 한국의 코로나19 감염자 수가 많은 이유는 보건당국의 공격적인 검사 때문이라며 이같이 보도했다. CNN은 일부 국가에서는 의심환자를 진단할 수 있는 키트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반해 한국은 지금까지 23만명 이상을 검사했다며 한국의 진단능력에 호의적인 평가를 했다.

그러면서 CNN은 그 배경에는 코로나19 진단키트 생산 업체로 주목받고 있는 씨젠이 있다고 짚었다. 씨젠은 슈퍼컴퓨터에 가까운 고성능 컴퓨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함으로써 개발 기간을 2주 내외로 단축을 할 수 있었다.

보건당국의 신속한 행정처리도 한몫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씨젠이 진단키트의 초기 버전을 내놓은 지 1주일 만인 지난달 12일 긴급사용승인을 내렸다. 씨젠이 코로나19 진단키트 개발에 착수한지 불과 3주 남짓만의 일이었다.

현재 씨젠은 개당 100명의 환자를 진단할 수 있는 키트를 주당 1만개씩 생산하고 있다. 지난달 23일 한국 정부가 국내 감염병 위기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하면서 씨젠은 전 직원이 코로나19 진단키트를 만드는 데 집중하는 결단을 내렸다. 다른 50여개 제품의 생산은 일시적으로 중단됐다.

천종윤 씨젠 대표는 미국이 씨젠의 진단키트를 사용한다면 1주일에 100만명의 환자를 검사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해외 보건당국을 돕고 싶다고 CNN에 전했다. 그러나 씨젠의 진단키트는 아직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지 못한 상태다.

천 대표는 “해외에는 제대로 된 검사를 할 기회조차 없는 나라가 많다”며 “적절한 진단이 이뤄지지 않으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아무도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씨젠, 첫 현금배당 결정…1주당 100원

- 총 배당금액 26억원, 시가배당률 0.3%로 첫 배당 실시

- 향후 실적성장 자신감 내비쳐…적극적인 주주환원 추진

분자진단 전문기업 씨젠(096530, 대표이사 천종윤)이 공시를 통해 사상 처음으로 현금배당을 실시한다고 9일 밝혔다. 금액은 주당 100원, 총 배당금액 26억으로 시가배당률은 0.3%, 배당성향은 9.7%이다.

씨젠 관계자는 “미래성장을 위해 다각도의 투자가 필요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향후 실적성장의 자신감을 바탕으로 첫 배당을 결정했다”며 “오랫동안 씨젠의 성장을 기대하며 기다려온 주주들을 배려함과 동시에, 배당을 권장하며 투자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회사 경영진 사이에서 주주, 고객, 임직원, 협력회사, 정부, 지역사회 등 기업을 둘러싼 모든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성장의 결과물을 일부라도 공유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 것도 첫 현금배당 추진의 배경이 됐다. 이러한 정도경영은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임직원 대상의 초과이익공유제를 실행한 것과 맥을 같이한다는 설명이다.

또한 씨젠은 그 동안 프리미엄 진단시약으로서 기술가치를 반영해온 가격정책을 올해부터는 보다 탄력적으로 조정할 계획이다. 이는 보다 많은 사람들이 부담을 낮춘 가격으로 정확한 진단을 받고 질병과 감염의 고통을 덜 수 있도록, 과감하게 분자진단 대중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하기로 결정한 데 따른 것이다.

회사의 이러한 방침은 이번 코로나19 대응에서도 나타난다. 씨젠은 지난달부터 다른 진단시약의 개발과 생산을 뒤로 하고, 국가의 코로나19 대응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회사의 가용자원을 모두 동원하고 있다. 해외의 다양한 수요에 맞춰 계획된 연구개발 프로젝트에 투입됐어야 할 상당수의 인력이 현재 전국 각지의 진단현장에서 검사지원에 나선 상태다.

천종윤 씨젠 대표이사는 “기업이 존재하는 의미는 단순이 이익을 창출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사회를 보다 좋은 곳으로 만드는 데 있다고 생각한다”며, “씨젠이 비록 작은 회사에 불과하지만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함으로써 모든 이해관계자들에 대하여 모범이 되는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 감염 세계 주요국들, 씨젠에 “진단키트 보내달라” 요청 쇄도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키트를 생산하는 국내 기업에 세계 주요국들의 ‘긴급 주문’ 요청이 쇄도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세계 30여 개 국가로부터 최근 코로나19 진단키트 주문이 몰려들고 있다고 5일 밝혔다. 30여 개 국가 중에는 이탈리아·독일·스페인·프랑스·영국·스위스 등 유럽국가 기업들뿐 아니라 이스라엘·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연합(UAE)·태국·브라질 등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 중 10여 개 국은 정부 차원에서의 긴급요청도 강하게 들어오고 있다.

이 때문에 지난달 말까지 하루 생산 물량의 10%가량을 수출로 돌리던 씨젠은 이달 들어 비중을 25%까지 늘려나가고 있다. 서울 송파 씨젠 본사 겸 생산공장에서는 국내외 주문물량을 맞추기 위해 24시간 생산설비를 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시원 씨젠 전략기획실장은 “해외 고객 요청이 급증하고 있어 연구소 직원 70명까지 긴급 투입해 24시간 생산하느라 회사가 초비상”이라며 “다른 직원들도 전국 진단키트 공급현장에 나가 사용법 등을 조언하느라 본사 인력이 태부족인 상태”라고 말했다. 노 실장은 또 “코로나 감염 주요국 중 진단키트 생산 및 공급에 여유 있는 나라는 한국뿐”이라며 “국내 수요를 감당할 충분한 여유가 있는 경우에만 일부 수출하고 있으니 국내 의료현장에 차질은 없다”고 덧붙였다.

씨젠이 유럽을 비롯한 해외 주요국들에 코로나19 진단키트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은 지난달 7일 유럽연합으로부터 긴급사용승인을 먼저 받았기 때문이다. 한국 내 사용승인은 닷새 뒤인 지난달 12일 이뤄졌다. 씨젠은 코젠바이오텍·솔젠트·SD바이오텍과 함께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코로나19 진단키트 긴급사용승인을 받은 4개 국내기업 중 하나다.


코로나19 진단키트 만든 씨젠 “적자 각오, 다른 건 접었다”

유전자 진단시약 개발·제조업체 씨젠의 천종윤 대표는 ’1주일만 더 빨리 진단시약 개발을 할 수 있었다면 피해를 더 줄일 수 있었다“고 아쉬워했다.


1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의 국내 감염 확진자 수가 3700명을 넘어섰다. 확진자 수 급증엔 신천지 신자 집단 감염도 큰 이유지만, 발 빠르게 개발된 진단키트도 한몫하고 있다. 덕분에 24시간 걸리던 코로나19 감염자 진단은 6시간 내로 크게 줄었다. 최근 들어 국내에서만 하루 최대 1만 건을 검진할 수 있는 것도 이런 진단키트 덕분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지난달 12일 긴급사용승인을 받아 진단시약을 공급하고 있는 유전자 진단시약기업 씨젠의 천종윤(63) 대표를 지난달 26일 인터뷰했다. 천 대표는 “남들은 이 와중에 대박이라고 할지 모르겠지만, 전 직원이 다른 모든 진단시약 개발·생산을 접고 코로나19 진단시약에만 매달리고 있어 사실상 회사가 어렵다”고 말했다. 씨젠은 식약처가 지난달 27일 SD바이오센서와 솔젠트 2개 진단기업을 더 승인하기 전까지, 코젠바이오텍과 함께 전국의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요 전부를 감당해왔다. 현재도 진단키트의 절반 이상을 씨젠이 공급하고 있다.
 
언제 진단시약을 개발했나.
“개발에 2주일, 긴급사용 승인을 획득하는 데 일주일이 걸렸다.”(긴급사용승인을 받은 지난달 12일은 국내 확진자 28명, 사망자는 없을 때다.)
 
그럼 1월 중순에 개발을 시작했다는 얘긴데, 그때까진 국내에는 확진자가 한 명도 없었다.
“국내엔 없었지만 중국에서 우한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피해자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을 때다. 머잖아 중국뿐 아니라 한국으로도 바이러스가 퍼질 것이라고 판단했다. 앞서 1월12일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에 코로나19 유전자 염기서열이 떴다. 세계보건기구(WHO)도 1월15일 독일 베를린 샤리테대학병원에서 개발한 코로나19 검사시약 정보를 공개했다. 씨젠은 1월16일에 사내회의를 통해 코로나19 진단시약 개발을 제안하고, 21일에 개발에 착수했다. 다행히 설 연휴 마지막 날인 1월27일 질병관리본부의 코로나19 감염증 검사 확대계획 설명회에서 긴급승인 요구사항을 파악했고, 이후에 긴급하게 개발을 완료했다.”
 
식약처로부터 사용승인도 받지 않은 상태에서 감염병 진단키트를 개발한다는 건 기업으로선 모험 아닌가.
“그렇다. 섣불리 개발에 나섰다가 아예 사용승인을 못 받거나, 승인을 받더라도 코로나19가 다 지나간 뒤 시판해 재고만 떠안을 위험도 있는 상황이었다. 긴급사용승인제도가 없다면 제품 개발 착수부터 승인까지 12개월은 걸린다. 이번 사태를 엄중하게 생각했고 모험을 했다.”
 
국내 진단키트 수요의 절반 이상을 감당한다고 들었다. 재난 상황이긴 해도 기업으로선 좋은 기회 아닌가.
“그렇지 않다. 적자를 각오하고 코로나19에만 매달리고 있다. 씨젠의 진단시약은 160종이 넘는다. 전체 매출의 82%를 올리고 있는 해외의 다양한 수요에 맞춰 계속 연구개발을 해야 하지만, 현재로썬 그럴 여유조차 없다. 현재 전국 각지의 진단현장에 사용 교육 등 검사지원을 위해 연구인력 68명이 파견돼 있다.”
 
어떻게 2주 만에 개발할 수 있나.
“일단 코로나19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공개된 덕분이다. 씨젠이 지난 20년간 각종 유전자 진단시약들을 개발해온 데이터와 노하우, 또 이를 바탕으로 슈퍼컴퓨터에 가까운 고성능 컴퓨터와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진단시약 설계를 빠르게 할 수 있었다. 기존 방법으로 100명의 전문가 3개월 동안 할 것을 인공지능과 컴퓨터로 3시간 만에 해결할 수 있다.”

천 대표는 미국 테네시대에서 생명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이화여대 생물학과 교수를 지내다 2000년 씨젠을 창업했다.


씨젠, 2019년 영업이익 111% 증가한 224억 ‘호실적

코로나19에 대한 긴급사용 승인을 받고 전 세계 공급을 개시한 씨젠의 'Allplex 2019-nCoV Assay'


- 매출액 1,220억으로 전년대비 19.3% 성장, 4분기 매출액은 분기 최고기록 경신

- 분자진단시장 고성장, 매출선행지표 양호해 2020년에도 성장 순항 예상

분자진단 전문기업 씨젠(096530, 대표이사 천종윤)은 지난 26일 공시를 통해 2019년 연결기준 매출액 1,220억원, 영업이익 224억원, 순이익 267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전년과 비교하면 매출 19.3%, 영업이익 111.0%, 순이익 149.4%가 증가한 수치이다.

씨젠은 지난 4분기 매출 338억원, 영업이익 51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매출이 분기 실적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며 매년 4분기에 연중 최대매출을 기록해오던 패턴을 이어갔다.

회사는 지난 3분기에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분기실적 가운데 최고치를 기록한 데 이어 4분기에도 최고 매출 기록을 잇따라 갱신하면서 2019년 호실적이라는 성과를 거두게 됐다.

씨젠의 이러한 성장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분자진단시장이 10%에 근접한 성장률을 보이며 꾸준히 확장됨에 따라 회사 역시 제품입찰 건수가 많아지고 있고 성공사례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감염성질환에 대한 분자진단검사가 점차 대중화되면서 성장의 기회 역시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요소다.

씨젠 관계자는 “지난해에 올플렉스(Allplex™) 고객인 검사기관이 423개 증가하면서 이전보다 빠르게 확대되고 있고, 씨젠 전용장비 출고도 꾸준히 이뤄지는 등 진단시약매출 선행지표 역시 호조를 보이고 있어 성장의 자신감이 그 어느 때보다도 큰 상황”이라며, “2020년에는 주력제품인 올플렉스의 본격적인 확장국면을 맞아 지난해 이상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씨젠에서 지난주 출시한 코로나19 진단시약(Allplex™ 2019-nCoV Assay)은 다수의 국내외 검진기관 등에 원활히 공급되고 있다. 다만 회사는 이를 실적개선의 요인으로 여기지 않고 있으며, 현재 상황이 조속히 진정될 수 있도록 보다 낮은 가격으로 진단시약을 공급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입장이다.


씨젠, 코로나19 진단시약 전세계 공급 개시

- 국내 식약처 긴급사용 승인 및 유럽 CE-IVD 인증 완료

- 4시간 이내 신속검사 가능하며, 자동화 시스템으로 대용량검사 구현

분자진단 전문기업 씨젠(096530, 대표이사 천종윤)이 오늘부터 코로나19 진단시약의 국내 출시를 시작으로 전세계 공급에 나선다.

최근 개발한 코로나19 진단시약(제품명 Allplex 2019-nCoV Assay)은 지난 7일 유럽 인증(CE-IVD)을 받은 데 이어 12일에는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긴급사용 승인 사실을 통보 받았다. 해당 제품은 이번 코로나19 대응의 모범국가로 인식되고 있는 한국에서 관련 당국의 엄정한 심사절차를 거쳐 사용이 승인된 만큼 해외시장에서 큰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제품은 코로나19 유전자에 대한 다수의 국제 프로토콜(검출대상 목표유전자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3개의 목표유전자(E gene, RdRP gene, and N gene) 모두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설계돼 민감도와 특이도가 뛰어나다. 국가마다 코로나19를 검출하는 유전자 프로토콜이 조금씩 차이를 보여 이 중 일부만 반영할 경우, RNA 바이러스는 쉽게 변이가 생긴다는 특성 때문에 검사결과의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현재 목표유전자의 양성유무와 목표유전자 타입을 두 개의 튜브로 각각 검사하는 것에서 한 개의 튜브로 동시검사가 가능하도록 했다. 이로써 대용량 검사의 효율성을 크게 높임과 동시에 보다 낮은 가격으로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됐다.

특히 해당 제품은 씨젠의 자동화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검사기관에 따라 하루 1,000명 이상 동시검사가 가능하고, 검사시간을 4시간 이내로 단축하는 한편,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이용자가 쉽게 검사결과를 자동으로 판독할 수 있어 검사자의 편의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기존 출시된 씨젠의 제품과 함께 사용할 경우에도 다른 호흡기 바이러스나 폐렴의 동시검사가 가능해, 유사증상이 발생할 경우 빠른 시간 안에 정확한 원인 규명에 따른 처방이 가능하다는 점도 이 제품의 활용성을 높여준다.

현재 코로나19 진단시약의 일일 생산가능물량은 5만건 검사 규모로, 필요에 따라 2배까지 증산 가능하도록 준비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국내 및 해외의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방지를 위하여 최대한 지원한다는 것이 회사의 방침이다.

천종윤 씨젠 대표이사는 “그 동안 축적해 온 분자진단기술과 노하우를 활용하여 새로운 바이러스의 등장으로 인해 어려움에 처한 국제사회를 돕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앞으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경영의 우선가치로 여기고, 필요할 때 회사의 모든 역량을 동원하여 국제사회 일원으로서의 합당한 책임을 감당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제품뉴스


(096530) 씨젠 현재주가


반응형
반응형


(096530) 씨젠 - (5)




동사는 유전자 분석 상품, 유전자 진단 관련 시약 및 기기 개발을 주사업목적으로 2000년에 설립되었으며 2010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타깃하는 유전자만 증폭시켜 질병의 다양한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멀티플렉스 유전자 증폭 시약 및 분석 소프트웨어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Seeplex, AnyplexⅡ, Allplex이 주요 제품임.

연결대상 법인으로 진단시약 및 장비판매업을 영위하는 해외법인 6개사를 보유함.



핵산 추출, PCR setup 과정을 자동화 혹은 분리하여 사용 가능



핵산 추출, PCR setup 과정을 one-step 혹은 분리하여 사용 가능




High multiplex real-time PCR 검사를 위한 우수한 시스템


CFX96™을 이용한 Real-time PCR 검사 사례

Anyplex™ MTB/NTM Real-time Detection 제품 결과 사례



심플하고 사용하기 쉬운 멀티플렉스 PCR 




핵산 추출부터 PCR setup까지 쉽고 편리한 장비 구동 소프트웨어

Seegene Launcher는 Seegene의 다양한 분자 진단 (MDx) 검사를 위한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컨트롤하는 구동 프로그램이다. 이 소프트웨어는 핵산 추출에서 PCR setup까지 또는 추출 또는 PCR setup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전체 프로세스를 수행 할 수 있다.


실험실 정보 시스템 (LIS)과 연동



다중 MDx 결과를 위한 자동분석 소프트웨어

Seegene Viewer는 씨젠의 동시다중 분자 진단 검사 결고가를 간편하게 확인 할 수 있는 분석 소프트웨어다. 한 채널당 복수의 결과값을 보기 편하게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실험실 내 LIS와 연동하여 빠른 결과 출력이 가능하다



결과 해석을 위한 단일 소프트웨어

검사마다 다른 결과 분석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양한 MDx 검사 결과를 하나의 통합된 소프트웨어에서 다각도의 정보를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al-time PCR을 이용한 High multiplex 검사 결과 분석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 



편리한 판독을 위한 채널별 다중 Ct 값과 Melting curve값의 그래프 UI 제공


동시 다중 검사 결과를 위한 최적의 판독 가이드 제공


실험실 정보 시스템 (LIS)과 연동



원천기술

MuDT™ 기술은 Real-time PCR 을 기반으로, 하나의 채널에서 여러 타겟을 동시에 정성/정량 검사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융해 곡선 분석법(melting curve analysis) 이 필요 없습니다. 현존하는 Real-time PCR 기술의 한계인 "하나의 채널에서 하나의 Ct 값" 을 넘어서는 MuDT™ 기술은 한 번 검사 시 "하나의 채널에서 다수의 Ct 값 분석" 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동시다중 정성/정량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단일 채널에서 다수 타겟의 Ct값 분석을 통한 정성/정량 결과 동시 제공


복합 감염된 타겟 검사와 단일 감염된 타겟 검사의 동등한 Ct 값 제공

현재 Real-time PCR 기술은 단일감염인지 복합감염인지에 상관없이 한 채널에서 단 하나의 Ct 값을 제공한다. 하지만 MuDT™기술을 이용할 경우, 기존의 단일 타겟을 검사 했을 때의 Ct 값과 동등한 Ct 값이 복합감염된 타겟별로 제공된다.

단일 채널에서도 가능한 SNP genotyping 검사

1. 기존 SNP genotyping 검사법은 하나의 SNP를 검사하기 위해 하나의 반응 튜브와 Real-time PCR의 두 채널이 필요하기 때문에 적어도 4종류의 SNP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4개의 반응 튜브가 필요하다. 만약 채널 수를 줄이고자 한다면 증폭 후 융해 곡선 분석(melting curve analysis)이 추가로 필요하다. 이렇게 기존 SNP 검사법은 동시다중 타겟 검사에 제한이 있거나, 추가로 융해 곡선 분석 시간이 필요해 검사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2. MuDT™ 기술 기반의 SNP genotyping 검사법은 하나의 반응 튜브에서 4개의 SNP를 검사할 수 있으며 추가 분석을 하지 않아도 되어 빠른 시간안에 검사가 가능하다.



TOCE™는 homogeneous system에서 다수의(5개이상의) 목표 유전물질 검출과 유전변이를 확인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TOCE™는 일반 real-time platform을 이용하여 하나의 튜브에서 동시에 다수의 병원체를 정성검사는 물론 Cyclic Catcher Melting Temperature Analysis (cyclic-CMTA)를 기반으로 한 정량적 분석까지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다.


TOCE™를 이용한 검사는 저렴한 검사 비용으로 질병을 유발하는 병원체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가능하다. 따라서 TOCE™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검사법은 "효과적인 환자치료"에 필요한 양질의 풍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TOCE™ 기술의 원리

TOCE™기술의 핵심요소는 DPO™ primer와 Pitcher & Catcher 다. DPO™primer는 씨젠의 특허받은 target specific primer 기술로 해당 유전자부위를 매우 특이적으로 증폭 시킨다. Pitcher는 Target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중합하는 부위와 Tagging portion을 포함하는 단일가닥 올리고 이며 Catcher는 형광이 붙어있는 Artificial template다.

형광분자가 붙어있는 Artificial template인 Catcher는 각 Target에 해당하는 형광 signal을 생성한다. Catcher-Tm값은 Catcher의 길이나 염기서열을 변화시켜서 조절할 수 있다. TOCE™반응의 적합화를 위해서 Catcher-Tm값은 Target의 염기 서열과는 관계없이 손쉽게 바꿀 수 있다.


기존 융해곡선 진단 기술은 약간의 유전자의 염기변이로도 융해 온도가 변화되어 정확한 검사 결과가 요구되는 임상 진단 분야에서는 사용이 제한되어 왔다. 하지만 TOCE™ 기술은 염기변이가 있어도 융해온도가 변화하지 않고 일정한 결과 값을 갖게 되므로 다양한 병원체의 동시진단이 가능하다.


cyclic-CMTA를 이용한 정량적 분석

Real-time PCR 과정 중에 cyclic-CMTA point를 설정하여 감염된 병원체의 감염 유무 뿐 아니라 정량적인 분석 결과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그림처럼 cyclic-CMTA point는 real-time PCR 과정 중에 30, 40, 50 cycle에 설정할 수 있으며, 결과 분석 시 표에서처럼 감염된 병원체의 양에 따른 melting peak의 양상에 따라 정량적인 분석을 확인할 수 있다. 




DPO™ (Dual Priming Oligonucleotide)는 비특이적인 priming으로 인한 extension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높은 특이성을 유지할 수 있는 프라이머 (primer)다. DPO™ 기술은 다수 병원체 및 SNP 검출, genotyping과 같은 다양한 분자진단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DPO™ 프라이머의 구조와 원리

Step 1: First priming reaction

DPO™의 긴 염기 서열인 5'-end는 'Stabilizer'로서 target sequence에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annealing 한다. 


Step 2: Second priming reaction

DPO™의 짧은 염기 서열인 3'-end는 'Determiner'로서 target sequence의 나머지 부위에 결합하여 정확한 extension 반응을 유도된다.



증폭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여 탁월한 특이도 구현

DPO™ 프라이머는 타겟이 아닌 template에서는 프라이머와의 결합을 원천적으로 막음으로써 위양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없어 다중 타겟 PCR 검사에서도 탁월한 특이도를 보여준다.



결과 예시

DPO ™ 와 기존 프라이머의 다중 PCR 결과 비교

DPO ™ 프라이머는 비특이적 인 증폭을 제거하고 원하는 타겟 밴드만을 증폭시켰다. 그러나, 기존 프라이머는 비특이적 증폭을 제거하지 못했다.



READ 기술

READ (Real Amplicon Detection) 기술은 Real-time PCR에서 이용되는 Probe 방식 (TaqMan, Molecular Beacon 등)이나 primer 방식 (Scorpion, LUX, Sunrise 등)과는 다른 방식의 Real-time PCR 원천기술로서 Amplicon bank 개념을 도입하여 재현율을 크게 높였을 뿐만 아니라 노이즈 시그널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 기술은 당사의 멀티플렉스 PCR 원천 기술인 DPO™ (Dual Priming Oligonucleotide) 기술과 함께 결합하여 매우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여준다.



명확한 판독

Magicplex™ System은 결과의 Ct 값이 10 이하에서 나타나므로 판독이 명확하고, aerosolized PCR product의 오염이 detection 되지 않으므로 위양성 문제에 도움이 된다.


Real-time PCR 장비 효율 상승

Magicplex™ System은 한 대의 Real-time PCR 장비로 2시간 이내에 서로 다른 4개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노이즈시그널 현상없음

Real-time PCR에서 흔히 나타나는 노이즈 시그널 (noise signal)은 위양성과 재검의 원인이 되지만, Magicplex™ System에서는 이 현상이 근본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PCR 저해 요소 최소화

핵산 추출시 포함될 수 있는 저해제 (inhibitor)는 PCR 반응에서 핵산 증폭을 방해하기 때문에 재검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으나 Magicplex™ System에서는 저해제가 존재하더라도 Internal Control 및 타겟 유전자가 효과적으로 증폭되어 저해제로 인한 불필요한 재검률을 낮춘다.




혁신적인 ACP™ 기술

ACP™는 primer 디자인 기술로 specificity를 향상 시켜 정확한 PCR product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ACP™의 장점은 regulator 부위를 가지는 ACP™ 구조에 있다. Regulator 부위를 구성하는 inosine은 G, A, T, C에 비해 낮은 Tm 값을 가지는 universal base이므로 특정 온도에서 "bubble like structure"를 형성하여 primer가 template와 비특이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차단하고 3'-target core sequence 부위만이 template의 원하는 부위와 결합할 수 있게 하여 PCR의 specificity를 향상 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Short/Long 프라이머와 ACP™ 프라이머 간의 비교


ACP™ 기술은 프라이머의 2 개의 부분(3'- 세그먼트와 5'- 세그먼트)으로 나누어져 template의 서열과 완벽하게 일치 할 때만 결합하여 확장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추고 있다.


반응형
반응형


(096530) 씨젠 - (4)




동사는 유전자 분석 상품, 유전자 진단 관련 시약 및 기기 개발을 주사업목적으로 2000년에 설립되었으며 2010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타깃하는 유전자만 증폭시켜 질병의 다양한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멀티플렉스 유전자 증폭 시약 및 분석 소프트웨어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Seeplex, AnyplexⅡ, Allplex이 주요 제품임.

연결대상 법인으로 진단시약 및 장비판매업을 영위하는 해외법인 6개사를 보유함.



단 하나의 검사 플랫폼에서 다양한 멀티플렉스 분자진단 검사 메뉴 사용

씨젠의 올인원 플랫폼(All-in-One Platform)은 감염성 질환을 비롯하여 약제 내성, 암, 유전질환 등 씨젠이 공급하는 모든 분자진단 검사제품을 하나의 검사 플랫폼에 적용할 수 있는 분자진단 솔루션이다.

STARlet IVD or NIMBUS IVD


자동화 핵산 추출 및 PCR setup

핵산 추출부터 PCR setup까지 one-step 자동화

Hands-on-time 작업 최소화

다양한 타입의 검체 적용 가능

다양한 검사 동시 사용



CFX96TM


Real-time PCR 검사 

씨젠의 모든 분자진단 검사 메뉴 적용

DPO™, TOCE™, MuDT™기술을 이용한 신뢰도 높은 multiplex real-time PCR 결과 제공

다수 타겟 유전자 정보를 정량 정보와 함께 제공

질병이나 증상 기반의 포괄적인 검사 가능



Seegene Viewer


검사 결과 자동분석

다수 병원체를 동시 검사하는 동시다중(multiplex) 분자진단 검사에 최적화된 인터페이스

Melting curve 분석과 Ct 값에 대한 편리한 결과 해석

LIS (실험실 정보 시스템) 연동 가능



Doing more with less

동시 다중 분자진단을 위한 최적의 솔루션



All-in-One 플랫폼에 적용되는 검사 제품

현재 Seegene All-in-One 플랫폼에 적용 가능한 44개 제품(187 analytes)







STARMag 96 X 4 Universal Cartridge Kit는 tissue, cells, bacteria, serum, plasma, whole blood, nasopharyngeal swab, nasopharyngeal aspirates, bronchoalveolar lavage (BAL), urine, stool, sputum, genital swabs (vaginal, cervical, urethral) 또는 liquid based cytology (LBC) 등 다양한 검체로부터 핵산 동시 추출이 된다. 씨젠의 자동화 플랫폼에 최적화 된 카트리지 형식으로 제공되며 보다 편리하게 검체에 구분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간소화 된 실험 프로토콜 및 운영비용 절감

Universal Cartridge Kit는 실험 다양한 검체에 바로 적용하여 검사 프로토콜을 간소화 시킬 수 있으며, 검사 및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사용하기 쉬운 카트리지형 키트 구성

Universal Cartridge Kit는 자동화 장비 전용으로 구성되어있다.




검사별 자동 분류 기능

분류되지 않은 다양한 샘플을 장착하더라도 자동으로 검체를 분류하여 다양한 검사을 동시에 실행 할 수 있도록 자동 셋업된다. 씨젠에서 제공되는 구동 런처를 이용하여 3~5개의 PCR plate에 검사 환경에 맞게 세팅할 수 있다. 


추출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tube/plate 적용

1.5 ml tube, MP 96 plate 및 96 DWP 동시 적용 가능



씨젠의 PCR setup 솔루션의 장점

최적의 PCR setup 솔루션으로 실험실 효율성 증대



실험실 샘플 정보 연동 시스템


씨젠의 자동화 플랫폼은 샘플 장착, 핵산 추출, PCR-setup 및 검사 결과 확인까지 서로 다른 장비를 사용하더라도 샘플 및 실험실 정보는 plrn 파일을 통해 연동됩니다. 따라서 실험 과정 중에 각 스텝에서 별도의 데이터 입력이 필요없이 바코드 시스템을 통하여 최종 리포트까지 편리하고 안전하게 자동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검사 단계별 샘플 정보 자동 추적




하루 2,520 data points 처리

 Anyplex™ II HPV HR Detection 제품 적용 사례


HPV 고위험군 14종 동시 검사 제품을 사용하여 8시간 동안 180개 샘플 테스트 가능


하루 5,040 data points 처리

Anyplex™ II HPV HR Detection 제품 적용 사례


HPV 고위험군 14종 동시 검사 제품을 사용하여 8 시간 동안 360개 샘플 테스트 가능


하루 2,160 data points 처리

Allplex™ Entero-DR Assay 제품 적용 사례


주요 약재 내성 8종 동시 검사 제품을 사용하여 8시간 동안 270개 샘플 테스트 가능

하루 1,040 data points 처리

Allplex™ Entero-DR Assay 제품 적용 사례


주요 약재 내성 8종 동시 검사 제품을 사용하여 8시간 동안 130개 샘플 테스트 가능



지방 병원 샘플 배송까지 1일 결과 보고

씨젠의 All-in-one 플랫폼은 비교적 공간 제약이 없기 때문에 다중으로 설치했을 경우 다양한 검사를 신속하게 제공 받을 수 있다.

국내 한 검사센터(SMF)에서는 씨젠의 "All-in-one"플랫폼을 사용하여 1 일보고 시스템을 도입하여 업계에서도 커다란 성장 전환의 계기를 만들었다. 하루에 두 번 샘플을 수집하고 결과를 다음날 아침까지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1-day 리포트 방식이다. Infectious Diseases, Women's Health, STI, Gastrointestinal Disease, Drug-resistance 및 인하우스 제품까지 분자진단 전 품목이 동일한 검사 프로세스로 서비스 되고 있다. 

(*SMF: 씨젠의료재단)



Lab 맞춤 분자진단 검사 플랫폼

SMF에서는 사용하고 있던 추출 장비 MagNapure 96 (Roche)를 씨젠 All-in-one" 플랫폼과 결합하여 적용하였다. 씨젠의 STARlet 장비는 PCR-setup 전용 장비로써 "다수의 플레이트에 다수 테스트의 자동 분류", "단일 플레이트에 혼합 테스트", "맞품형 인하우스 테스트 셋업" 등 다양한 옵션이 적용되어 운영되고 있다. SMF의 분자진단 검사 전체가 단일 플랫폼에 적용되면서 검사 시간 및 소요 인력 등 운영비용은 감소하고 검사 종류와 건수는 증가하는 등 효율적인 운영의 기반이 구성 되었다.



단일 플랫폼에 다양한 검사 항목 적용

하나의 플랫폼에서 실험실 내 모든 분자진단 검사 가능



분자진단 도입을 통한 수익의 영향

 SMF는 분자진단 도입이래 3년 사이 업계 7위에서 3위로 성장

SMF는  임상 화학, 면역학, 혈액학, 미생물학, 특수 화학, 세포 유전학 및 병리학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SMF는 2013년 Seegene의 분자진단 검사 방법 도입하여 1 년간의 시험 운영 후 본격적으로 설비와 제품을 다각화하였다. MDx 주력 검사센터로 사업을 확장한 이후 사업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또한 여러 타겟을 동시에 분석 할 수 있는 Seegene 제품의 장점을 극대화하여 분자진단 검사 전용 일일보고 서비스를 구축 한 업계 최초의 회사이다.



“Seegene의 MDx 솔루션은 우리 검사실의 최상의 솔루션이었다”

SMF는 씨젠 분자 진단 플랫폼을 이용한 1 일 결과 보고서 서비스를 도입하여 의사와 환자 모두가 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을 크게 단축했다.

"Seegene의 분자진단 기술은 결과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 외에도 단일 자동화 플랫폼에서 다양한 테스트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입니다. Seegene의 플랫폼을 활용 한 일일 보고서 시스템 도입으로 매일 수집 한 샘플을 다음 날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밤새 테스트해야 했지만 독창적이고 다양한 씨젠 제품들을 통해 넓은 범위의 고객 니즈를 충족하고 정확하고 폭넓은 임상적 결과 제공을 통한 경쟁 포인트 우위로 다른 검사실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시도 할 수 있었습니다. 병원들은 Seegene의 높은 멀티 플렉스 분석법으로 검사 당 더 많은 임상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이로써 효과적인 치료를 수행 할 수 있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096530) 씨젠 - (3)





동사는 유전자 분석 상품, 유전자 진단 관련 시약 및 기기 개발을 주사업목적으로 2000년에 설립되었으며 2010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타깃하는 유전자만 증폭시켜 질병의 다양한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멀티플렉스 유전자 증폭 시약 및 분석 소프트웨어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Seeplex, AnyplexⅡ, Allplex이 주요 제품임.

연결대상 법인으로 진단시약 및 장비판매업을 영위하는 해외법인 6개사를 보유함.


씨젠생명과학연구소는 창사 이래 생명과학의 핵심기술인 멀티플렉스 유전자 증폭기술 개발에 전념해 왔습니다. 세계 유전자 진단의 중요한 흐름은 멀티플렉스 (multiplex. 동시다중검사) 기술입니다. 그동안 당 연구소는 유전자 진단의 큰 맥인 유전자 증폭 (PCR)과 실시간 유전자 진단 (Real-time PCR) 분야의 양대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큰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앞으로도 인간 존중에 바탕을 둔 기술개발과 도전 정신으로 미래 분자진단 리더의 꿈을 실현해 나가겠습니다.


신기술 개발센터

원천기술 ACP™, DPO™는 분자진단 핵심기술로 자리하고 있는 PCR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여줌으로써 한 번에 여러 병원체 유전자를 검사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또한 실시간 유전자 진단검사 (Real-time PCR)가 가진 기술적 한계와 원리의 결함을 극복한 READ와 TOCE™를 개발함으로서 다양한 Real-time PCR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R&D 투자 지원을 통해 더욱 우수한 분자진단 기술 및 파생 기술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진단시약개발센터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진단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씨젠의 멀티플렉스 유전자 진단 제품에는 호흡기질환, 성병, 결핵, 패혈증, 자궁경부암, 뇌수막염, 급성설사 등 감염성 질환을 유발하는 병원체 검사를 비롯하여 약제내성 검사, 암 검사, 유전질환을 유발하는 돌연변이검사 등 수 십가지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습니다.


융합연구센터

융합연구소는 전세계 분자진단 기업들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기술의 실용화 및 제품 사업화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해 진단 자동화 장비 기업들과 함께 새로운 맞춤형 분자진단자동화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센터

소프트웨어 개발 센터는 씨젠의 동시다중 분자진단 제품을 이용한 검사결과를 쉽고 빠르게 분석할 수 있도록 분자진단 기술에 IT기술을 접목한 결과 분석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실시간 유전자 증폭 (Real time PCR) 장비에 동시다중 분자진단 제품 사용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개발은 물론 동시다중 검사와 정량 검사 등의 진단 결과 자동분석, 원거리 결과확인, 병원 네트워크 시스템, 고객관리까지 차별화된 서비스를 위한 씨젠 만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합니다.


자동화장비 개발센터

분자진단의학 검사용 OEM 장비 개발을 시작으로 현재 DNA 추출 (Extraction) 장비, PCR 기기, PCR 시약 자동 분주기, 자동전기영동검사 (Auto electrophoresis detection) 장비, 실시간 유전자 증폭 검사 (Real-time PCR detection) 장비 운영 개발에서 장비용 소모품 디자인 및 검사법 (method)까지 자체 개발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기업과의 활발한 제휴와 개발 협력을 통해 씨젠의 제품에 최적화된 장비를 출시하여 국내 및 해외시장에 선보이고 있습니다.


연구정보 센터

연구정보 센터는 분자진단검사 분야에서 다년간 전문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그동안 여러 전문가들로 부터 개발요구에 부응하여 세계적인 진단용 제품을 선보이고 노하우를 집대성하고 있습니다. 학문 축적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정보 분석을 통한 더 나은 연구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노력해가고 있습니다.


씨젠의 제품생산시스템은 국제표준규격 심사를 통한 ISO9001:2015, ISO13485:2016, MDSAP 인증을 통해 제품의 품질 및 생산라인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씨젠이 생산하는 의료기기에 대하여 제조품질 품목 허가 요건을 충족 시키기 위한 국가별 규정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최적의 분자진단 생산시설을 구비하고 있는 씨젠은 품질관리시스템 운영을 통하여 체계적인 생산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생산 시스템

제품의 대량 생산 및 제조를 위하여 설계된 무균시설 (클린룸)은 공기중의 미세한 균이나 먼지를 차단하고, 자외선 살균 기능을 강화하여 제품 생산 및 제조 환경을 안정화 해줍니다. 또한, 오염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내부 압력을 대기압보다 높게 유지하여 무균 상태를 계속 유지하며, 온도와 습도도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품질관리 및 제품의 성능을 보장해줍니다.


품질관리 시스템

씨젠 품질관리본부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료기기법에 따라 의료기기 제조에 대한 품질관리를 실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ISO심사를 통하여 국제규격의 품질관리를 엄격하게 지켜가고 있습니다. 그 외 다양한 국제 표준의 CE, Health Canada 심사를 위한 의료기기 적합성 평가시스템(CMDCAS) 품질 시스템 규정에 따른 활동을 관리, 운영 합니다.


포장 및 유통 시스템

씨젠은 제품의 수요에 맞춘 체계적인 생산 라인과 최상의 품질을 유지하는 포장 및 배송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전세계 대리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모든 제품을 신속하게 공급하고 있습니다. 씨젠은 소비자의 안전과 건강, 환경 보호와 관련한 규격을 준수하며 전세계 고객에게 제품을 공급 하고 있습니다.


씨젠은 분자진단을 특화하여 분자진단 시약 제조 뿐만 아니라 검사에 필요한 다양한 자동화 장비 구비 및 세팅부터 소모품, 소프트웨어, 결과분석, 검사시연 및 실습과 기술개론 등의 이론 교육까지 다양한 고객지원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분자진단 전문기업으로의 위상을 뒷받침 하는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과 다국적 진단 기업과 나란히 하는 품질로 보다 많은 고객들이 저희 제품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학술지원

국내 및 해외 임상평가와 관련한 지원과 기관 및 단체와의 연구 협력 관계를 통하여 학술 연구와 정보를 활발히 교류 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요 기관과의 MOU 등을 통해 연구개발 역량을 더욱 강화해 나가며, 국민 건강 증진과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교육지원

씨젠 아카데미로서 기술 세미나를 비롯하여 장비와 시연 그 외 사내 교육과 외부 초청 강연 등을 심포지엄과 워크샵, 세미나 형식으로 다양하게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대리점은 물론 고객들의 실험실습, 각종 장비 사용에 대한 사용방법 및 이론 교육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장비 AS 지원

씨젠의 기술에 최적화된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후속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추출장비에서 자동검사 장비에 이르는 다양한 설비와 셋팅, AS를 지원하고 병원 내 CRM 시스템과 연동에 대한 개발을 지원합니다. 또한 사용중의 오류나 문제점을 처리해 드리며, 소프트웨어 문제의 경우 원거리 AS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분자진단시약











복합감염 상태를 한번에 확인 할 수 있는 다중 검사

식중독의 원인을 확인하지 못한 96%의 경우 정확한 진단만으로도 사망율을 크게 낮출 수 있다.

A.미국에서는 살모넬라와 리스테리아 감염에 의한 식중독으로 확인된 사망자가 매년 1500명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설사로 사망한 3200명의 사망자는 원인을 확인하지 못했다.1)

B.호주에서 실시한 스터디에서는 795개의 양성 샘플 중 9개의 샘플은 살모넬라 원인으로 24개의 샘플은 캄필로박테리아에 감염되었음을 확인 하였다. 다만 이경우는 살모넬라와 리스테리아만 검사한 결과다.2)


1) Gamarra RM et al. (updated 2015) https://emedicine.medscape.com/article/175569

2) Hellard M. et al. (2001) Environ Health Perspect. 109:774-784


씨젠의 full panel assays를 이용하면 질병의 다수의 원인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중복감염의 사례까지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노로바이러스 음성판정 샘플 200개 재검사 결과 3)

3) Allplex™ GI Assay 임상평가 보고  ( 2016 ECCMID, 씨젠 심포지엄 구두발표 )



동일 증상에 따른 다중 검사



정확한 진단을 빠르게

결핵균 감염 여부 및 결핵균 약재 내성 확인 검사를 위한 스탠다드 검사와의 총 소요시간 비교 



국가 기관에서 확인 된 임상적 유효성

2013년, 2014년 국제 HPV LabNet의 임상 성능평가:

글로벌 제품과의 성능 평가 비교

2014년 결과에 따르면, 검증 테스트에서 100% 검증된 데이터 세트는 89/148(60%)로 확인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HPV type이 확인되었다. 이중 32개의 데이터 세트는 검증 테스트에서 요구되는 것보다 더 낮은 농도로 구성되어있다.


Reference : Eklund C. et al. (2018) Journal of Clinical Virology, 101:74-84.Reference : Eklund C. et al. (2018) Journal of Clinical Virology, 101:74-84.



결과로 증명 된 우수성

호흡기 바이러스 검사로 Fast track diagnostics respiratory 21과 Seegene Allplex™ RP panel assays 26의 분석 결과 비교 사례

검사 성능은 비슷했지만 Seegene의 분석은 인플루엔자 A와 아형에 대해 각각의 표적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한번의 검사과정에서 샘플의 처리량이 향상되었고, 자동화 결과 분석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Seegene 분석은 FTD Assay 대비 두배 이상의 샘플수를 검사할 수 있는 real-time PCR 방법이다.


Reference : Barratt K. et al. (2017) British Journal of Biomedical Science.



탁월한 성능의 임상 평가 제시

급성 설사를 유발하는 세균성 감염 원인균을 검사하는 일반적인 방법과 씨젠 제품과의 성능을 비교 평가하는 연구 결과 

Allplex™는 높은 민감도로 박테리아를 검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배양 방법으로는 검사 할 수 없는 몇 가지 병원체를 추가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Allplex™는 기존 방법보다 2배 이상 높은 민감도를 보였다.


Reference : Amrud K. et al. (2018) BMC Research Notes, 11:514.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