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015760) 한국전력 - (2)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사업, ESS, GIS(지리정보시스템), ICT, KEPCO, MG(마이크로그리드), SCADA/EMS 컨설팅 사업, SG(스마트그리드), 전력 판매, 한국전력

 

 

사업소개

 

국내사업

송변전 사업

전력공급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켜 세계 최고수준의 고품질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신뢰도 높은 송배전 계통 구축과 기술개발로 고품질 전력을 공급합니다.

송변전 건설 및 운영

우리나라는 지정학적으로 전력계통이 고립되어 일본, 중국 등 주변국과 전력 수출입이 불가능한 상황이며, 전기의 생산은 주로 남동부 지역에, 소비는 수도권 지역에 편중됨으로써 장거리 전력수송을 위한 송전망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한국전력은 전국을 거미줄처럼 연결하는 다중환상망(Multi-loop) 형식의 신뢰도 높은 송변전계통을 구축, 운영하고 있습니다. 도심을 지나가는 지중 송전설비는 감시제어시스템을 설치하여 안전하게 운전하고 있으며,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높은 효율의 송전망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고품질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겠다는 목표로 345kV 송전선로와 154kV 송전선로만으로 구성되어 있었던 기존 송전망에 1990년부터 단계적으로 미래 기간망인 765kV 대전력 송전망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2017년에는 345kV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 신설사업 등 169개 사업을 적기 준공하였으며, 기존 송전망의 손실감소와 설비 이용 효율을 향상하기 위하여 최신기술(FACTS, TCSC 등)을 확대 적용하고 있습니다. 진도-제주간 HVDC(초고압 직류송전) 해저케이블과 변환소 건설도 완료하여 현재 운전 중에 있습니다. 또한, 765kV 송전선로의 안정도 향상과 중부지역 발전력 융통을 위한 북당진-고덕간 500kV급 HVDC 사업과 육지-제주간 전력계통 연계 강화를 위한 #3HVDC 건설사업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편, 대형고장 예방을 위하여 도심지 지하 다회선 전력구 내 케이블 감시시스템을 설치, 운영 중이며 154kV 선로용 피뢰기 설치 등 설비보강과 변전소 종합 예방진단 시스템 구축, 송전선로 GPS 좌표를 활용한 자율비행 드론, 변전소 설비점검용 로봇 등의 개발을 추진하는 등 전력공급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여러 방면에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765kV 송변전 설비

한국전력은 전력수요의 중심지인 수도권 지역과 대단위 발전단지 간의 심화된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고 국토이용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765kV 송전전압 격상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당진화력 발전소~신서산~신안성 변전소 간 175.9km 선로 및 신태백~신가평 변전소 간 154.9km 선로가 준공되어 운전되고 있으며 이어 2006년 4월 울진원자력 발전소~신태백 변전소 간 46.5km 송전선로도 765kV 설비로 준공되었습니다. 또한, 신안성변전소와 신가평변전소 간 765kV 1회선 송전선로(75km)도 건설하여 2010년 4월 운영에 들어갔으며, 신고리발전소와 북경남변전소 간 2회선 송전선로(91km)를 추가로 건설하여 운영 중에 있습니다. 이들 선로는 수도권과 영남권의 계통전압 향상 및 수급여건 개선에 큰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대용량 발전소의 생산전력을 효과적으로 수송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765kV 송전방식의 경우 345kV에 비해 수송 능력은 약 3.4배 크며, 동일 전력수송 시 부지면적은 53% 정도로 줄어들고, 송전손실을 1/7로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765kV 격상사업은 각종 신기술 및 신공법 적용으로 국내 시공업체와 기자재 업체의 기술 수준을 향상하고,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배전사업

전력공급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켜 세계 최고수준의 고품질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신뢰도 높은 송배전 계통 구축과 기술개발로 고품질 전력을 공급합니다.

배전건설 및 운영

KEPCO에서는 'KEPCO - A Smart Energy Creator’라는 회사 비전 아래 지속적인 전력사용량 증가에 상응하는 배전설비 확충과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완벽한 품질의 전력공급을 위한 신뢰도 향상 등 배전사업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콘크리트 전주를 활용하여 공중에 전선을 가선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가공설비는 우리나라 배전설비의 약 86%를 점유하고 있으며, 2011년 말 기준 가공선로는 긍장 (亘長,line length)이 약 43만 6천 C-km, 지지물은 852만기, 공급능력을 나타내는 주상변압기는 201만여 대, 용량은 102,582MVA에 달하는 방대한 설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건설비용이 저렴하고, 고장 및 재해 발생시 신속한 복구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 도심지 이외의 개소 등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또한 태풍, 염·진해 등 자연재해에 의한 고장발생 예방뿐 아니라 도시미관 개선에도 유리한 지중배전설비의 건설은 크게 신도시 등 대규모 단지개발사업자의 요청에 의하여 처음부터 지중으로 건설하는 지중 신규사업과 기존의 가공배전선로를 지중으로 매설하는 지중화 사업 두 가지 형태로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

1975년 9월 서울 사대문 내 주요 간선도로변에 복잡하게 시설되어 있는 가공전선 정비 필요성 제기에 따라 지중화 사업계획을 수립한 이후 지방자치단체의 도시미관 개선을 위한 전력설비의 지중화 요구 및 빌딩의 고층화와 인텔리전트 빌딩의 확산 등으로 도심지 부하가 고밀도화 함에 따라 지중화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한편 최근 지중 배전설비의 지속적인 증가와 함께 다수의 지중배전용 개폐기, 변압기와 같은 지상기기를 보도 등에 설치함으로써 인접 주민의 민원 및 보행자의 통행불편 등 미관을 저해하는 상황이 발생하자, 수전용량별 전기설비 설치공간을 확보토록 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 시행토록 하며 도시 미관의 획기적 개선 및 쾌적한 환경조성과 보행자 편의 증진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전력 판매

노후설비 보강, 고장정전 예방진단 시스템 구축, 고효율 기자재 개발·보급으로 최고품질의 전기를 제공합니다.
합리적 요금체계 운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전력 판매

현재 국내 전력 산업의 체계는 전력생산, 수송, 판매 체계로 이뤄지고 있으며, KEPCO는 6개의 발전회사와 민간발전회사, 구역전기사업자가 생산한 전력을 전력거래소에서 구입하여 일반 고객에게 판매하고 있습니다.

전력산업 구조

 

 

세계 최고 수준 전기품질

우리나라의 전기요금은 세계적으로 낮은 수준인 반면 전기품질은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KEPCO는 수요자에게 무엇보다 좋은 품질의 전력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고자 항상 노력하고 있습니다. 설비고장을 자동제거, 복구하는 Self-Healing 시스템 개발과 첨단 진단장비의 체계적 활용 등을 통해 2016년 호당 정전시간이 9.61분, 전압유지율 99.99% 이상을 유지해 세계 최고 수준의 고품질 전력을 고객들에게 안정적으로 공급하였습니다. 또한 2016년에는 고효율 기자재 개발과 전력망 지능화 등을 통해 송배전 전력 손실률을 3.59%까지 획기적으로 절감하였으며, 세계 146개국을 대상으로 한 평가결과(KPMG) 주파수와 전압유지 정도에서 최고점수를 획득하여 전기품질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전력임을 다시 한번 입증하였습니다.
아울러 대형고장 예방을 위한 도심지 지하 다회선 전력구내 케이블 감시 시스템의 설치·운영, 변전소 통합형 예방진단시스템 구축, 송전선로 중장비 접근경보시스템 등의 개발뿐 아니라, 고압고객의 파급에 의한 고장정전을 예방하기 위해 고객설비인 ASS 교체 등을 지원하고, 설비진단센터 신설 및 진단요원 전문교육 시행 등을 통해 기술 인적자원의 역량을 배가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KEPCO는 앞으로도 고객들께 세계 최고수준의 고품질 전력 공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수요관리

수요관리(DSM, Demand Side Management)란?

최소의 비용으로 소비자의 전기에너지 서비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소비자의 전기사용 패턴을 합리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전력회사의 제반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는 전력공급설비 확충에 중점을 두어 온 종전의 공급측관리(SSM, Supply Side Management)에 대응되는 개념으로써의 부하관리(負荷管理) 및 에너지 효율향상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원래 수요관리(DSM)라는 용어는 1970년대 미국에서 시작하여 점차 각 국으로 확산되었으며 그간 이론적 경제성과 높은 잠재적 기여도에도 불구하고 종전 전력회사 공급측 위주의 전력수급계획 추진에 따라 별 관심을 받지 못하다가 전원입지의 확보난 가중, 건설에 따른 막대한 투자 재원의 조달문제, 환경규제의 강화 등으로 공급설비의 적기확보가 어려워지고 최근 최소비용계획(least cost planning)의 일환으로 공급측 대안과 수요측 대안의 최적조합을 찾는 통합자원계획 (Integrated Resource Planning) 개념의 확산으로 수요관리 방안을 전력수급계획에서 필수적인 고려사항으로 간주하게 되어 수요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 되었다.

수요관리 목적

전력은 국내 전체 에너지소비의 3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용의 편리함으로 인해 소비량이 계속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전력수요관리를 통한 전력수요의 전략적인 저감 및 부하평준화를 통해 사용설비의 이용효율을 높이고 공급설비 투자를 회피하여 사회적으로 효과적인 자원 배분을 이룰 수 있다. 수요관리의 궁극적 목적은 전력수요를 합리적으로 조절하여 부하율 향상을 통한 원가절감과 전력 수급안정 도모 및 국가적인 에너지 자원 절약에 기여하는데 있다.

 

 

해외사업

화력사업

해외사업 다각화를 통한 미래 성장동력 확대로 회사의 미래가치를 높여나가겠습니다.

아시아 및 중동 발전시장에서 대규모 민자발전사업자(IPP, Independent Power producer)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다지고 있는 KEPCO는 활동무대를 중남미, 아프리카 등지로 확대하며 눈부신 성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KEPCO 최초의 해외 발전사업이 시작된 필리핀에서는 말라야 중유발전 성능복구 운영사업(650MW)을 시작으로 일리한 가스복합발전소(1,200MW)와 세부 유동층 석탄화력발전소(200MW)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필리핀 일리한 발전소]

 

[필리핀 세부발전소]

중동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 UAE 및 요르단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014년 준공한 사우디 라빅 발전소는 원전 1기와 맞먹는 1,204MW 중유화력 발전소로 인구 120만명의 도시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이고, UAE 슈웨이핫S3 발전소는 1,600MW 규모의 가스복합화력 방식입니다. 요르단에서는 2012년 준공한 373MW급 알카트라나 발전소와 2015년 4월 준공한 573MW급 암만 IPP3 발전소를 운영 중입니다.

[사우디아라비아 라빅 발전소]

 

[UAE 슈웨이핫S3 발전소]

 

[요르단 알카트라나 발전소]

 

[멕시코 노르떼Ⅱ 발전소]

또한 멕시코에서는 2013년 노르테Ⅱ 가스복합화력 발전소(433MW)를 준공하여 운영 중이며, 2016년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 타바메시 석탄화력발전소(630MW) 건설 및 운영사업을 수주하였습니다.
이어서 2017년에는 말레이시아 풀라우인다 가스복합화력발전소(1,200MW) 건설 및 운영을 위한 공동사업계약을 체결하였고, 2018년 7월에는 베트남 응이손2 석탄화력발전소(1,200MW) 건설을 시작하였습니다. 2019년에는 인도네시아 자바 9&10 석탄화력 발전사업(2,000MW) 공동개발협약(JDA) 체결, 괌 우쿠두 화력발전사업(198MW) 우선협상자 선정 등 세계 전역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였습니다.

 

 

원자력사업

해외사업 다각화를 통한 미래 성장동력 확대로 회사의 미래가치를 높여나가겠습니다.

원자력산업 리더 KEPCO

대한민국은 22,529MW의 설비 용량을 보유한 세계 6위의 원전 강국입니다. 2018년 9월 현재 24기의 원전을 운영하고 있고 5기를 건설 중에 있습니다. 현재 건설 중인 원전은 규모 7.0 지진도 이겨낼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아울러 KEPCO는 원전건설 능력에 있어서도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KEPCO와 전력그룹사는 그동안의 원전운영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래수익창출을 위한 역점사업으로 해외 원전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국형 명품 원전

OPR1000은 1,000MW급 한국형 원전으로 51개월의 짧은 건설공기와 높은 경제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1998년 울진 3호기에 적용되어 최초 건설된 이래 신고리 1,2호기 등에 적용되어 국제적으로 그 성능과 안전성이 입증되었습니다. APR1400은 OPR1000을 바탕으로 안전성과 경제성을 더욱 향상시킨 수출형 원전입니다. APR1400은 신고리 3,4호기에 적용되어 2007년 건설에 착수하여 3호기는 2016년 12월에 준공되었으며 4호기는 2018년 9월 현재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운영허가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UAE에도 동일한 모델이 적용되어 4기의 원전이 건설중입니다.

  • OPR 1000
    • 설계수명 : 40년
    • 용량 : 1,000MW
    • 분류 : 한국형 원전
  • APR 1400
    • 설계수명 : 60년
    • 용량 : 1,400MW
    • 분류 : 수출용 원전

 

 

신재생 에너지사업

해외사업 다각화를 통한 미래 성장동력 확대로 회사의 미래가치를 높여나가겠습니다.

글로벌 신재생시장 진출 거점 확대

파리 기후변화협약(COP21) 발효 이후 기후변화 대응 및 온실가스 감축 요구에 대한 세계적인 높은 관심 아래, KEPCO는 기존 중국,
요르단 풍력발전에 이어 2016년 일본 치토세(태양광), 미국 콜로라도(태양광), 미국 괌(태양광) 등 선진 해외 신재생시장 거점 확대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미국 콜로라도 태양광발전소]

 

[일본 치토세 태양광발전소]

 

[중국 내몽고 풍력발전소]

 

[미국 캘리포니아 태양광발전소]

2005년 9월, 중국 감숙성 풍력사업을 시작으로 현재 감숙성, 내몽고, 요녕성에서 총 1,314MW에 이르는 풍력발전소를 운영 중입니다.

이에 더 나아가 중동지역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여 2013년 요르단 푸제이즈 풍력사업(89MW)을 수주하고 2017년 2월 건설공사 착공에 들어갔습니다. 2019년 준공 예정인 푸제이즈 사업은 한국전력이 100% 지분을 소유하고 개발단계에서부터 참여한 첫 해외 풍력사업입니다.

아울러 일본 치토세 태양광발전소의 상업운전 개시(28MW, 2017년 7월), 미국 콜로라도 태양광발전소(30MW, 2016년 8월) 인수, 미국 괌 태양광발전(60MW, 2017년 6월) 수주 및 미국 캘리포니아 태양광발전소(235MW, 2018년 3월) 인수를 계기로 세계 최대 선진전력시장인 미국, 일본시장에 진출하며 Clean Energy 사업자로서의 지위를 굳혀가고 있습니다.

또한 2019년에는 한전 전사 최대 규모의 신재생 개발사업인 멕시코 태양광발전소(294MW, 2019년 9월)를 수주함으로써 중남미지역으로 신재생개발 사업영역을 확장하였습니다.

 

송배전 사업

해외사업 다각화를 통한 미래 성장동력 확대로 회사의 미래가치를 높여나가겠습니다.

해외 송배전 사업의 다각화

2001년부터 시작된 송배전 해외사업은 그동안 국내에서 독자기술로 이룩한 세계적인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KEPCO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면서 해외사업 진출 확대의 첨병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송배전망 건설, 컨설팅 등 기존 사업분야 외에도 자동화시스템, 원격검침시스템, 기술인력 양성사업 등 한국의 우수한 전력기술 수출을 위해 다방면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도미니카 배전 EPC사업]

송배전사업은‘미얀마 전력망 진단 및 개발조사 사업(송변전,2001년)’, ‘필리핀 배전계통 개선 타당성 조사사업(배전, 2002년)’을 시작으로 필리핀, 미얀마, 인도네시아, 리비아, 이집트, 파라과이, 우즈베키스탄 등에서 송배전 컨설팅 사업을 펼쳤습니다.

또한 카자흐스탄, 도미니카공화국, 인도의 송배전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사업, 이집트 배전자동화시스템 구축사업에 이어 2017년에는 스리랑카 AMI 시범구축사업, 필리핀 북부지역 배전선로 승압사업, 괌 ESS EPC 컨설팅 및 우즈베키스탄 SCADA/EMS 컨설팅 사업 등을 통해 지역 확장 및 사업 다각화를 시도하여 미래성장 동력을 확충하고 있습니다.

[부탄 변전 EPC 사업]

 

[카자흐스탄 송변전 EPC사업]

KEPCO는 송배전 사업을 통해 축적된 기술,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단계별 후속사업을 확대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국내기업과의 협업시스템을 구축하여 해외시장 동반진출을 실현해 나갈 계획입니다.

 

 

에너지 신사업

해외사업 다각화를 통한 미래 성장동력 확대로 회사의 미래가치를 높여나가겠습니다.

해외 신에너지시장 공략 본격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글로벌 에너지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향후 에너지 신사업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KEPCO는 SG(스마트그리드), MG(마이크로그리드), GIS(지리정보시스템), ESS 등 ICT 융복합 해외 신에너지 시장 선점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두바이 스마트시티 구축사업]

 

[캐나다 마이크로그리드 사업]

2016년에 수주한 에너지 신사업 중 국내 최초로 북미 MG 운영실적을 확보한 캐나다 MG(Micro Grid) 시범사업에 이어 에티오피아 친환경타운 MG구축, 두바이 스마트시티 건설 등의 에너지 신사업 분야 후속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나이지리아 GIS 구축사업]

2017년에 도미니카공화국 배전신사업모델 개발 FS를 통해 에너지신산업(AMI, DAI, GIS 등) 실증 및 확대가능성을 검토하였고, 100%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한 전기 미보급 오지마을 전화사업인 에티오피아 친환경타운 Microgrid 구축사업 등을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KEPCO는 융복합 미개척 분야의 사업추진과 더불어 고수익, 맞춤형 Biz-Model 개발을 통해 해외 사업영역을 다각화하여 에너지 신사업 분야의 First Mover로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015760) 한국전력 - (1)

015760, KEPCO, 빛가람 에너지 밸리, 에너지 플랫폼, 한국전력, 한국전력 출자회사,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한전KDN주식회사, 한전KPS주식회사, 한전원자력연료주식회사

 

 

한국전력의 오늘과 내일

전기(電氣)로 국민들의 삶을 지켜온 한국전력은 에너지의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깨끗한 전기를 더 많이 만들어 우리의 안전과 환경을 지키고, 강력한 ‘에너지플랫폼’을 통해 전기사용을 더 쉽고 편리하게 바꿔가겠습니다.

 

CEO 인사말

한국전력이 지난 120년 동안 고객과 함께 해 왔다는 것은,
국민의 일상을 든든하게 지켜왔고 우리나라의 성장과 발전을 이끌어 왔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이제 한국전력은 그 모습을 새롭게 바꿔가고 있습니다. 태양과 바람에서 깨끗하고 안전한 전기를 만들고
‘에너지플랫폼’을 통해 전기사용이 더 쉽고 편리해지도록 합니다.
한전은 ‘더 나은 에너지 세상’이라는 꿈을 현실로 만들어 가겠습니다.

한국전력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을 활용한 에너지 신사업을 통해 글로벌 무대에 우뚝 설 것입니다.
나아가 좋은 일자리를 더 많이 만들고, 중소벤처기업과 함께 성장해 가겠습니다.
이웃과 따뜻한 정(情)을 나누며, 고객과 대화하고 소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한국전력을 응원해 주시는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국민과 함께 하는 에너지 기업’이 될 것을 약속드립니다.
고맙습니다.

한국전력공사 대표이사 사장

 

 

경영방침

 

 

미션

미래 에너지산업을 이끌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겠습니다.

전력수급 안정으로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

KEPCO는 고품질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과 차별화된 고객서비스 제공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며,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으로 미래 에너지산업을 이끌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합니다

 

 

비전

KEPCO의 새로운 비전

전력산업의 새시대, 한전은 ‘Smart Energy Creator’로서 새롭게 도약하려 합니다. 자랑스러운 영광의 120년을 넘어, 빛가람에서
더 크고 위대한 새로운 백 년의 역사를 맞이하는 한국전력, 글로벌 에너지 산업의 혁신적인 ‘가치창조자’로서 비전을 수립하고,
인류와 사회에 기여하는 세계적인 에너지 기업으로의 힘찬 발걸음을 시작하고자 합니다.

 

KEPCO - A Smart Energy Creator

창조와 융합의 에너지로 새로운 미래가치를 창출하며 깨끗하고 편리한 에너지 세상을 열어가는 기업

 

 

빛가람 한전, 새역사를 향해 나아갑니다.빛과 물이 함께 하는 상생의 도시 빛가람, 이곳에서 한전은 새로운 에너지 세상을 만들어나갈 원대한 꿈을 시작합니다.
이곳에서 한전은 빛나는 자부심으로 새로운 역사를 써나갈 것입니다.
새 시대를 여는 희망의 에너지! 미래를 향한 창조의 에너지! 고객을 위한 감동의 에너지! 한국전력이 만들어갑니다.

 

 

해외지사

KEPCO는 글로벌 에너지기업으로 뻗어 나가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합니다.

KEPCO 해외지사

KEPCO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전기품질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전력수요 성장 둔화에 따른 한계를 극복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하여 중동, 동남아, 남미 등 해외시장으로 사업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

 

 

전역그룹사

발전회사

한국수력원자력(주)

www.khnp.co.kr

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는 원자력발전소를 기저부하 발전소로, 수력발전소를 첨두부하 발전소로 운전하고 있습니다.

 

한국남동발전(주)

www.koenergy.kr

한국남동발전주식회사는 삼천포화력본부와 영흥화력본부를 기저부하 발전소로 운전하고 있습니다.

 

한국중부발전(주)

www.komipo.co.kr

한국중부발전주식회사는 보령화력본부와 서천화력발전소를 기저발전소로 운전하고 있습니다.

 

한국서부발전(주)

www.westernpower.co.kr

한국서부발전주식회사는 태안발전본부를 기저부하 발전소로 운전하고 있습니다.

 

한국남부발전(주)

www.kospo.co.kr

한국남부발전주식회사는 하동화력본부를 기저부하 발전소로 운전하고 있습니다.

 

한국동서발전(주)

www.ewp.co.kr

한국동서발전주식회사는 당진화력본부와 호남화력발전처를 기저부하 발전소로 운전하고 있습니다.

 

 

 

그룹사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는 원자력발전소와 수화력발전소 설계기술 자립을 위해1975년 설립된 이후 세계적 수준의 원자력발전소 설계회사로 성장하였습니다. 한국형 원전인 OPR1000, APR1400은 안전성과 경제성 면에서 세계적 수준의 원전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화력분야에서도 500MW급 화력발전소를 표준화하여 성능 및 경제성을 제고하였고, 후속 모델인 800MW급 표준석탄 화력발전소도 상업운전을 개시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사업관리(PM/CM) 기술도 국내 최고로 평가받고 있으며, 세계 최초의 저온탈질 기술을 개발하여 잠재력이 무한한 환경시장에도 진출하고 있습니다.

 

한전KPS주식회사는 전국에 산재한 발전설비, 송변전설비, 산업설비 등에 대한 고품질의 책임 정비를 수행하는 세계적인 플랜트 종합서비스 회사입니다. 발전소 건설과정에서 시운전정비, 운전과정에서 경상정비, 계획예방정비, 개보수공사 등을 충실히 수행하여 발전소 불시고장 방지와 설비 이용률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송전설비 유지정비, 활선정비, HVDC 해저케이블 및 변환설비 유지정비, 전력시설물 설계, 건설, 감리, 안전진단 등 송변전 관련 토탈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전원자력연료주식회사는 핵연료 설계, 제조 및 서비스, 엔지니어링 서비스 등의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경수로용 원자력연료와 중수로용 원자력연료를 생산하고 있으며, 세계적 수준의 한국표준형 개량 핵연료 PLUS7TM, 웨스팅하우스 원전용 ACE7TM을 개발하여 상용 공급함으로써 발전소 출력 증가 및 주기비 절감을 통하여 발전소 운영의 경제성을 한 단계 더 높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울러 2010년까지 해외에 수출할 수 있는 고성능 고유 핵연료 개발에 착수하여 2016년부터 상용 공급할 예정입니다.

 

한전KDN주식회사는 1992년 한국전력의 IT 부문을 전담하는 회사로 설립된 이후 발전에서부터 송변전, 배전, 판매에 이르기까지 전력계통 전 부문의 IT 토탈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세계적인 전력IT 전문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은 정보시스템 구축/운영과 전력IT 자동화, 그리고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 및 유지보수, 배전공가설비 위탁관리 등입니다. 최근에는 전력 유비쿼터스를 위한 PLC 및 RFID 등의 기술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전력그룹사

해외법인

 

출자회사

 

반응형

'*기업 & 종목 소개 > - KOSPI 코스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5760) 한국전력 - (3)  (0) 2020.03.03
(015760) 한국전력 - (2)  (0) 2020.03.03
(021240) 코웨이 - (4) 경영실적  (0) 2020.03.03
(021240) 코웨이 - (3)  (0) 2020.03.02
(021240) 코웨이 - (2)  (0) 2020.03.02
반응형

 

(203450) 유니온커뮤니티 - (2)

RFID 카드, 딥러닝 알고리즘, 라이브니스 검출(Liveness Detection), 보안시장, 비협조방식(워크스루), 안면인식 사업, 유니온커뮤니티, 유바이오 엑스 프로 Ⅱ, 유바이오-X 프로, 코트라(KOTRA)

 

유니온 커뮤니티 제품 라인업

 

유니온커뮤니티의 출입통제 솔루션은 출입자 현황, 출입인원, 출입 시간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편의성 및 보안성을 대폭 향상시킨 출입통제 관리 시스템입니다.
바이오 정보인 지문정보의 사용으로 편의성 및 보안성을 강화시켰습니다. 출입자 현황 파악을 통한 효율적인 인원 관리가 가능하며 정확한 출입관리를 통해 대외비밀 및 자산의 유출을 사전에 막을 수 있습니다. 비상 시에는 원격제어를 통해 출입통제가 가능하여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유니온커뮤니티의 근태관리 솔루션은 인증서버에 남겨진 출입기록을 이용한 근태관리 시스템입니다.
별도의 근태관리용 기기가 필요 없이 당사의 지문인식 출입통제기 하나로 통합 시스템 구축이 가능합니다. 또한 위조지문판별 기능과 엄격하게 관리되는 출입기록을 토대로 운영되므로 타인에 의한 근무시간 조작 등의 폐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유니온커뮤니티의 식수관리 솔루션은 지문 및 RFID 카드를 식수집계의 수단으로 사용하여 식수원을 파악하는 식수관리 시스템입니다.
기존의 종이 식권 및 카드 후불제 식수시스템을 대체하는 솔루션으로 효율적 인원운용에 따른 인건비 절감이 가능합니다. 또한 일정산/월정산의 자동화로 향상된 관리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모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투명한 식수관리가 가능합니다.

 

How to make the fakefingerprints (VIRDI)

https://youtu.be/-H71tyMupqk

 

 

Showing the Fake Fingerprints (VIRDI)

https://youtu.be/idS-DSNp-LE

 

 

How to verify the Fake Fingerprints (VIRDI)

https://youtu.be/cn2W6ye20IY

 

Fake Fingerprints Detection (VIRDI)

https://youtu.be/393N2ywsKos

 

Fake fingerprints detection (Summary) from VIRDI

https://youtu.be/4uMophTKc-s

 

 

 

 

 

유니온커뮤니티는 지난해 4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7억1700만원으로 전년동기대비 40.03% 증가했다고 10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18억4900만원으로 43.41%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당기순이익은 7억600만원으로 15.98%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 작년 4Q 매출액 118억(+43%) 영업이익 7.2억(+41%)
유니온커뮤니티(203450)는 10일 작년 4분기 영업실적을 공시했다. 이에 따르면 매출액은 11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했고,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7.2억원으로 41% 늘어났다.

◆ 3년 중 최고 매출 달성, 영업이익은 직전 대비 22%↑
유니온커뮤니티의 매출액은 최근 3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이전 최고 매출액이었던 2016년 4분기보다도 4.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실적 발표 직전 5일간, 외국인 -1.3만주 순매도, 주가 +2.5%
외국인 투자자들은 실적 발표 전, 5일 동안 유니온커뮤니티의 주식 -1.3만주를 순매도했다. 이 기간 동안 기관은 -3721주를 순매도했고 개인은 1.6만주를 순매수했다. 같은 기간 유니온커뮤니티 주가는 2.5% 상승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내 확진자가 2000명을 돌파하는 등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유니온커뮤니티의 안면인식 사업이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으면서 탄력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28일 외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 모스크바시는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격리자들을 대상으로 안면인식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세르게이 소뱌닌 모스크바 시장은 중국으로부터 모스크바에 도착한 2500명 가량이 격리 명령을 받았고, 이들은 안면인식 기술 등을 통해 모니터되고 있다고 자신의 개인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고 러시아 영자지 모스크바타임스가 보도했다.

국내에서도 향후 안면인식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달 20일 첫 환자 발생 후 39일 만에 2000명을 돌파하는 등 환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코로나19의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인체 접촉이 필요없는 '언택트(untact·비대면)' 장비가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유니온커뮤니티 등 안면인식 사업을 영위 중인 기업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유니온커뮤니티는 지문 및 안면 인식 통합 출입통제 단말기를 주력 사업으로 두고 있는 바이오인식 전문기업이다.

2000년 지문인식 출입통제시스템을 시작으로 다양한 바이오인식 제품을 개발해 기업, 국가기관, 교육 및 군사기관에 자사 제품을 적용하고 있다. 북미, 중동, 아시아, 유럽 등 전 세계 100여개국에도 진출했다.

특히 안면·지문·카드 인식을 모두 지원하며 3만 룩스에 달하는 조도환경에서도 빠르고 정확한 인식이 가능한 '유바이오-X 프로'서비스를 출시하는 등 타사 대비 기술 우위성을 점하기 위해 끊임없이 투자해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유니온커뮤니티의 안면인식 사업이 재조명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한편 코트라(KOTRA)에 따르면 글로벌 안면인식 시장은 오는 2022년까지 매년 20% 성장해 90억달러(약 10조4400억원) 수준의 시장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보안시장에서 ‘비접촉 얼굴인식’ 기술이 주목받으면서 생체인식 보안의 절대강자 유니온커뮤니티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코로나19의 급격한 글로벌 확산으로 인체 접촉이 필요없는 ‘언택트(untact·비대면)’ 장비가 세계 보안시장의 화두로 급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얼굴 인식 신제품 ‘유바이오 엑스 프로 Ⅱ(UBio-X Pro Ⅱ)‘를 출시한 생체인식 보안 전문기업 유니온커뮤니티가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유바이오 엑스 프로 Ⅱ’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탑재해 근접 인식 방식이 아닌 다양한 각도와 거리에서 비협조방식(워크스루)으로 얼굴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라이브니스 검출(Liveness Detection) 기능이 탑재돼 인증 받는 사람이 살아 있는 사람인지를 판단하며, 고화질 사진이나 3D 모델, 인물 동영상 등 실제 사람이 아닌 형태로 인식을 시도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최대 3m까지 거리에서도 얼굴 인식이 가능하고, 최대 3만 룩스에 달하는 조도환경에서도 고성능의 매칭 속도를 구현했다. 핸드폰이나 PC에 저장된 사진으로도 얼굴을 등록하고 인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한층 강화됐다.

최근 코로나19 감염이 전 지구촌으로 확산되면서 보안시장은 비접촉식 얼굴인식 기술이 대세다. 코로나19로 인체 접촉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 공포가 확산되면서 비접촉식 생체인증 기술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 모스크바시가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격리자들을 대상으로 얼굴인식 기술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모스크바타임스에 따르면 세르게이 소뱌닌 모스크바 시장은 중국으로부터 모스크바에 도착한 2500명가량이 격리 명령을 받았고, 이들은 얼굴인식 기술 등을 통해 모니터 되고 있다고 밝혔다.

코트라(KOTRA)에 따르면 글로벌 안면인식 시장은 오는 2022년까지 매년 20% 성장해 90억달러(약 10조4400억원) 수준의 시장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세계 코로나19 확산으로 안면인식 보안시장은 더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203450) 유니온커뮤니티 현재주가

 

 

반응형
반응형

 

 

(203450) 유니온커뮤니티 - (1)

203450, FVC, unioncomm, 라이브니스 검출(Liveness Detection), 바이오 인식, 언택트(untact·비대면), 위조지문 판별기술, 유니온커뮤니티, 지문인식 알고리즘, 지문인식기술

 

  • 2000년에 설립된 동사는 지문인식, 얼굴인식, 홍채인식, 정맥인식 등을 포함하는 바이오 인식 전문업체로 지문인식 분야를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음.
  • 위조방지 지문인식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동일한 사업을 영위하던 100% 자회사 니트젠을 2018년 7월 흡수합병함.
  • 또다른 종속회사인 씨큐트로닉스는 영상보안 관련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안녕하십니까? ㈜유니온커뮤니티 대표이사 신요식입니다.

㈜유니온커뮤니티는 출입통제, 근태관리, 식수관리, 통합관제, 영상감지 등 다양한 바이오인식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향상된 솔루션 개발에 힘쓰며 고객들께 더 높은 편의성과 만족도를 드리기 위해 계속 전진하고 있습니다.

㈜유니온커뮤니티의 지문인식 출입통제시스템은 2000년 첫 제품이 출시된 이후, 그 기술력을 국내외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월등한 편리성과 보안성, 제품의 안정성을 입증받아 국내 기업, 국가기관, 교육기관 및 군사기관의 출입통제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하여 해외 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현재 북미, 중동, 아시아, 유럽 등 세계 약 100여 개국에 진출해 있습니다.

특히 2020년 올해는 그 동안의 기술과 노하우를 모아 통합 제품 브랜드인 UBio Series를 출시, 시장 입지를 더욱 다져갈 계획입니다. 특히 차세대 통합 보안 솔루션 UBio Alpeta로 하드웨어에 이은 소프트웨어 경쟁력도 한층 더 강화합니다.

㈜유니온커뮤니티는 앞으로도 국내외 바이오인식 시장에 깊숙하게 침투하여 명실상부한 리딩 컴퍼니로 도약할 것을 자신합니다. 저희 임직원들은 바이오인식 분야에 폭넓은 노하우를 지니고 있으며, 다양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최고의 제품을 개발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조하고자 합니다.

 

고객과 임직원, 주주 모두가 윈윈하는 것을 목표로,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안정적인 수익 창출과 함께 항상 미래를 준비하는 자세로 성장하겠습니다. 바이오인식 분야의 No.1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고객 우선의 가치를 실현하며 끊임없이 성장할 것을 약속 드립니다.

 

 

2020 Mission

바이오인식 분야의 글로벌 리더가 된다.

지문 및 얼굴, 홍채 인식 등 생체인식 사업의 기반을 공고히 하면서 통합 솔루션 제공으로 회사 경쟁력을 끌어올려 외형 매출 1,800억 규모의 중견 기업으로의 성장을 목표로 한다.

 

 

 

사업영역

유니온커뮤니티의 출입통제 솔루션은 출입자 현황, 출입인원, 출입 시간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편의성 및 보안성을 대폭 향상시킨 출입통제 관리 시스템입니다. 바이오 정보인 지문정보를 시작으로 얼굴 및 홍채 인증을 통해 편의성 및 보안성을 강화시켰습니다. 출입자 현황 파악을 통한 효율적인 인원 관리가 가능하며 정확한 출입관리를 통해 대외비밀 및 자산의 유출을 사전에 막을 수 있습니다. 비상 시에는 원격제어를 통해 출입통제가 가능하여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유니온커뮤니티의 근태관리 솔루션은 인증서버에 남겨진 출입기록을 이용한 근태관리 시스템입니다. 별도의 근태관리용 기기가 필요 없이 당사의 지문인식, 얼굴인식, 홍채인식 출입통제기 하나로 통합 시스템 구축이 가능합니다. 위조지문판별 기능 및 얼굴인식 알고리즘 등으로 엄격하게 관리되는 출입기록으로 타인에 의한 근무시간 조작 등의 폐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특히 주 52시간 근로제 시행에 따른 유연 근무 설정 지원, 근무 규칙 설정, 초과 근무 대상자 알림 등이 가능해 사용자 맞춤형 근태 관리를 할 때 효율적입니다.

 

유니온커뮤니티의 식수관리 솔루션은 지문 및 RFID 카드를 식수집계의 수단으로 사용하여 식수원을 파악하는 식수관리 시스템입니다. 기존의 종이 식권 및 카드 후불제 식수시스템을 대체하는 솔루션으로 효율적 인원 운용에 따른 인건비 절감이 가능합니다. 또한 일정산/월정산의 자동화로 향상된 관리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모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투명한 식수관리가 가능합니다.

 

 

보유기술

위조지문이란?

사람의 실제지문을 대신하기 위하여 지문의 형상을 파라핀 등을 이용하여 지문형태의 틀을 만든 후, 실리콘, 고무 등을 이용해서
제작하거나 지문의 이미지를 종이 또는 OHP 필름에 프린트하여 복사한 가짜 지문을 말합니다.

 

 

 

유니온커뮤니티의 지문인식 알고리즘은 지문인증 및 등록속도(Match Time)에서는 타 업체보다 월등하게 빠르며, 지문 매칭 시 필요한
메모리 사이즈(Match Memory)는 훨씬 적어 임베디드 시스템에 적합하므로 제품 상용화 측면에서 최적의 지문인식 알고리즘입니다.

 

 

전자공시

 

 

유니온커뮤니티 현재주가

 

유니온커뮤니티 뉴스내용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보안시장에서 ‘비접촉 얼굴인식’ 기술이 주목받으면서 생체인식 보안의 절대강자 유니온커뮤니티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코로나19의 급격한 글로벌 확산으로 인체 접촉이 필요없는 ‘언택트(untact·비대면)’ 장비가 세계 보안시장의 화두로 급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얼굴 인식 신제품 ‘유바이오 엑스 프로 Ⅱ(UBio-X Pro Ⅱ)‘를 출시한 생체인식 보안 전문기업 유니온커뮤니티가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유바이오 엑스 프로 Ⅱ’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탑재해 근접 인식 방식이 아닌 다양한 각도와 거리에서 비협조방식(워크스루)으로 얼굴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라이브니스 검출(Liveness Detection) 기능이 탑재돼 인증 받는 사람이 살아 있는 사람인지를 판단하며, 고화질 사진이나 3D 모델, 인물 동영상 등 실제 사람이 아닌 형태로 인식을 시도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최대 3m까지 거리에서도 얼굴 인식이 가능하고, 최대 3만 룩스에 달하는 조도환경에서도 고성능의 매칭 속도를 구현했다. 핸드폰이나 PC에 저장된 사진으로도 얼굴을 등록하고 인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한층 강화됐다.

최근 코로나19 감염이 전 지구촌으로 확산되면서 보안시장은 비접촉식 얼굴인식 기술이 대세다. 코로나19로 인체 접촉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 공포가 확산되면서 비접촉식 생체인증 기술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 모스크바시가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격리자들을 대상으로 얼굴인식 기술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모스크바타임스에 따르면 세르게이 소뱌닌 모스크바 시장은 중국으로부터 모스크바에 도착한 2500명가량이 격리 명령을 받았고, 이들은 얼굴인식 기술 등을 통해 모니터 되고 있다고 밝혔다.

코트라(KOTRA)에 따르면 글로벌 안면인식 시장은 오는 2022년까지 매년 20% 성장해 90억달러(약 10조4400억원) 수준의 시장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세계 코로나19 확산으로 안면인식 보안시장은 더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내 확진자가 2000명을 돌파하는 등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유니온커뮤니티의 안면인식 사업이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으면서 탄력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28일 외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 모스크바시는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격리자들을 대상으로 안면인식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세르게이 소뱌닌 모스크바 시장은 중국으로부터 모스크바에 도착한 2500명 가량이 격리 명령을 받았고, 이들은 안면인식 기술 등을 통해 모니터되고 있다고 자신의 개인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고 러시아 영자지 모스크바타임스가 보도했다.

국내에서도 향후 안면인식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달 20일 첫 환자 발생 후 39일 만에 2000명을 돌파하는 등 환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코로나19의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인체 접촉이 필요없는 '언택트(untact·비대면)' 장비가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유니온커뮤니티 등 안면인식 사업을 영위 중인 기업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유니온커뮤니티는 지문 및 안면 인식 통합 출입통제 단말기를 주력 사업으로 두고 있는 바이오인식 전문기업이다.

2000년 지문인식 출입통제시스템을 시작으로 다양한 바이오인식 제품을 개발해 기업, 국가기관, 교육 및 군사기관에 자사 제품을 적용하고 있다. 북미, 중동, 아시아, 유럽 등 전 세계 100여개국에도 진출했다.

특히 안면·지문·카드 인식을 모두 지원하며 3만 룩스에 달하는 조도환경에서도 빠르고 정확한 인식이 가능한 '유바이오-X 프로'서비스를 출시하는 등 타사 대비 기술 우위성을 점하기 위해 끊임없이 투자해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유니온커뮤니티의 안면인식 사업이 재조명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한편 코트라(KOTRA)에 따르면 글로벌 안면인식 시장은 오는 2022년까지 매년 20% 성장해 90억달러(약 10조4400억원) 수준의 시장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응형
반응형

 

(021240) 코웨이 - (4) 경영실적

021240, Coway, 렌탈자산, 웅진, 웅진코웨이, 웅진홀딩스, 코웨이, 코웨이 경영실적, 쿠쿠홈시스, 환경가전사업

 

2019년 경영실적

 

DISCLAIMER

본 자료는 투자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된 자료이므로 당사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사전 예고 없이 내용의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주식투자 결과에 대하여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1-1. 연결 경영실적

매출액 전년동기대비 11.7% 증가한 7,946억원, 영업이익 65.4% 감소한 446억원, 당기순이익 72.4% 감소한 193억원 기록 - 연간 매출액 3조원 돌파, 역대 최대 매출액 달성

 

1-2. 국내 환경가전사업

’19년 국내 환경가전 매출 2조 1,112억원 (+4.6% YoY) 총 관리계정 628만 (+6.5% YoY)

1) 기타매출 (A/S, 설치 등의 용역 매출) 포함: 자료의 모든 환경가전 매출은 이 기준에 따라 작성된 것임 2) 채권계정, 소유권 미확정 계정 및 멤버십 무상 계정 제외: 자료의 모든 계정은 이 기준에 따라 작성된 것임 3) 금융리스 계정 렌탈 계정에 포함: 자료의 모든 계정은 이 기준에 따라 작성된 것임

 

1-2. 국내 환경가전사업

역대 최대 렌탈 판매량 157만대 달성 및 렌탈 계정 순증 지속 확대

 

1) 금융리스 판매량 포함: 자료의 모든 계정은 이 기준에 따라 작성된 것임

 

1-2. 국내 환경가전사업

해약률 안정적 관리 및 렌탈자산폐기손실액 저감 노력 지속

 

1-3. 해외사업

’19년 해외사업 매출 7,491억원 (+37.7% YoY) 주요 해외법인 매출 지속 성장

 

 

APPENDIX

 

연결재무제표

 

연결종속회사 현황 및 실적

 

말레이시아법인

. 2019 매출액 5,263억원 (+48.9% YoY), OPM 14.4%

. 4Q’19 매출액 1,526억원 (+47.0% YoY), OPM 13.3%

. 4Q’19 관리계정 1,354K (4Q’18 976K, +38.8% YoY)

: 관리계정 증가에 따른 높은 매출 성장 기록

 

미국법인

. 2019 매출액 973억원 (+20.9% YoY), OPM 3.4%

. 4Q’19 매출액 303억원 (+24.1% YoY)

. 4Q’19 관리계정 120K (4Q’18 114K +4.7% YoY)

: 관리계정 증가 및 시판 판매 호조에 따른 매출 증가

 

중국법인

. 2019 매출액 37억원 (-15.5% YoY)

. 4Q’19 매출액 11억원 (-46.7% YoY)

: 청정기 ODM 판매 감소에 따른 매출 감소

태국법인

. 2019 매출액 203억원 (+54.9% YoY)

. 4Q’19 매출액 54억원 (+100.7% YoY)

: 신판매제도 영향에 따른 판매 증가로 매출 증가

 

인니법인

. 2019 매출액 3억원

. 4Q’19 매출액 3억원

: 인니법인 신규 진출

 

코웨이엔텍

. 2019 매출액 810억원 (+14.9% YoY)

. 4Q’19 매출액 275억원 (+94.3% YoY)

: 신규수주 증가에 따라 19년 흑자전환

반응형

'*기업 & 종목 소개 > - KOSPI 코스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5760) 한국전력 - (2)  (0) 2020.03.03
(015760) 한국전력 - (1)  (0) 2020.03.03
(021240) 코웨이 - (3)  (0) 2020.03.02
(021240) 코웨이 - (2)  (0) 2020.03.02
(021240) 코웨이 - (1)  (0) 2020.03.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