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츠개요

Home > 정보센타 > 리츠개요

REITS의 정의

Real Estate Inverstment Trusts의 약자로 부동산투자신탁이라는 뜻으로 주식 또는 수익증권 등을 발행하여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집하고 이를 부동산에 투자하여 운용한 후 얻은 수익(부동산 임대소득, 개발이득, 매매차득 등)을
투자자에게 배당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부동산 간접투자 상품입니다.

리츠(RIETS)는 자금을 모아 유가증권에 투자하는 자산운용사와 유사하나, 자산운용 대상이 부동산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즉, 실제 영업 측면에서는 부동산 임대 및 개발사업 등을 수행하는 부동산투자회사이며, 일반인으로부터 자금을 모집하고 투자수익을
배분한다는 점에서 금융기관의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금모집을 통해 부동산을 투자한 후 이에 수반되는 이익의 90%이상을 투자자에게 배당하게 됩니다.

REITS의 장점투명성 제고

리츠 관련정보느 공개시장에 대부분 즉시 유통되기 때문에 부동산시장에 대한 정보가
동시에 투자자에게 제공되어 부동산 시장의 투명성을 제고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높은 유동성(환금성)

리츠의 주식은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기 때문에 투자원금의 회수기회를 신속히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자본조달의 용이성

리츠는 증자나 전통적인 자본조달 및 신용한도를 통하여 많은 자본을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조달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츠의 자본비용은 개인투자자 또는 유한 파트너쉽이 자본을 조달할 때 보다 낫습니다.

직접관리부담의 면제

부동산의 직접투자와는 달리 리츠(REITS)주식 매입을 통해 부동산에 간접 투자한 투자자들은
부동산 자산관리의 일상적인 업무에 관여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투자자의 입장에서 부동산 자산관리에 따른 직접관리비용 부담이 없어집니다.

위험분산

리츠(REITS)의 여러 종류의 부동산에 투자함으로써 지역적인 분산투자를 통하여
단일 부동산에 내재하고 있는 위험을 희석시키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왜 리츠에 투자하나?

 

리츠 투자 이유

    1. 리츠에 투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리츠는 높은 배당,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합니다. 리츠 주식의 총 배당금은 고위험, 고성장 상품의 수익보다는 낮으나 안정적이며, 예금․채권같은 저위험 상품의 수익보다는 높습니다.

      - 리츠는 주주들에게 매년 배당가능이익의 90% 이상(단, 자기관리리츠는 50%)을 의무적으로 배당하고 있어 주주들에게 가장 높은 배당금을 지급하는 회사 중 하나입니다. 특히 배당 재원이 리츠 자산을 구성하는 부동산의 임차인이 지불하는 임대료에서 발생하여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합니다.

      • ① 장기적이고 높은 수익 : 리츠는 다른 주식 또는 채권의 수익 대비 장기적이고 높은 수익을 제공
      • ② 높은 배당 수익률 : 시장 상황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꾸준한 현금흐름을 통하여 일반 주식 평균 대비 높은 배당 수익률을 달성 가능
      • ③ 유동성 : 리츠 투자 후에도 장외시장에서 주식의 매매를 통하여 쉽게 현금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리츠 상장 시 한국거래소에서 주식 매매를 통하여 유동성 확보 가능
      • ④ 자산운용전문인력 : 숙련되고 경험이 풍부한 부동산 전문가에 의해 운영
      • ⑤ 관리·감독 : 국토교통부의 정기적인 관리․감독, 리츠사의 준법감시인들을 통하여 국민의 소중한 투자자산을 관리
      • ⑥ 공시 의무 : 분기 및 연간 재무 보고서를 포함한 투자보고서 및 영업보고서를 리츠정보시스템에 등록하여 투자판단의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정기적으로 공시


리츠에 투자하는 방법

    1. 리츠 투자는 어떻게 하나요?

      - 리츠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주식시장에 상장된 리츠의 주식을 사거나 새로 만드는 리츠가 공모를 실시할 때 참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리츠 투자대상은 보통주, 우선주 및 사채 등이 있습니다.
      - 리츠 투자 시 판매회사, 외부평가기관 및 부동산신탁회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이들을 통하여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투자대상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주식 발행 관련 기관]구분업무판매회사외부평가기관부동산신탁회사
      리츠 주식의 모집 및 판매 업무를 수행(증권회사, 투자신탁회사 은행 등)
      리츠 투자대상 부동산에 대한 가치평가 업무를 수행(회계법인, 감정평가법인 등)
      리츠 소유 부동산 관련 각종 증서 등을 보관하는 업무를 수행
      [상장리츠* 현황]
      에이리츠 ’11.7.14 자기관리 www.areit.co.kr
      케이탑리츠 ’12.1.31 자기관리 www.ktopreits.co.kr
      모두투어리츠 ’16.9.22 자기관리 www.modetourreit.com
      이리츠코크렙 ’18.6.27 기업구조조정 www.ereits.co.kr
      신한알파리츠 ’18.8.8 위탁관리 www.shalphareit.com
      롯데리츠 ’19.10.30 위탁관리 www.lottereit.co.kr
      NH프라임리츠 ’19.12.05 위탁관리 www.nhreits.com

        * 리츠 투자형태는 사모(기관투자자 등 대상) 및 공모(일반투자자 대상)로 구분됨

      - 리츠 주식 투자대상 결정 시에는 통상적으로 아래(예시)와 같은 요소들이 고려됩니다.

      • 주당 순이익의 성장가능성
      • 예상 투자수익률(주가 및 배당의 성장가능성을 통하여 추정)
      • 다른 수익증권(채권, 유틸리티 주식 및 기타 고소득 증권)과 비교한 현재 배당 수익률
      • 배당 성향
      • 경영 품질과 기업 구조
      • 리츠의 기초 자산인 부동산의 가치, 대출 및 기타 자산 등

 

  1. 리츠에 투자 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나요?

    -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 회사는 지속적인 수익, 높은 주가수익률을 동반한 높은 투자수익을 가져올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리츠에 투자하기 전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 안정적인 수입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적 기반이 있는 리츠.

    * 예를 들어, 현재의 시장 수준 이하의 임대료를 받는 자산을 투자대상으로 하는 리츠는 안정적인 시장에서는 성장가능성을, 성장이 둔화된 시장에서는 가격 하락에 대한 보호장치를 제공합니다.

    • 시간 및 예산 내에서 지속적으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완수 할 수 있는 인적 기반이 있는 리츠.

    *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현금을 재투자하고, 신규 투자전략을 개발할 능력을 가진 자산운용전문인력을 보유한 리츠가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

    • 효과적인 기업 지배 구조 절차, 세입자와의 강한 유대관계 및 경쟁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운용 전략 등의 특성이 있는 리츠.

 

세제 혜택

구분관련세법규정법인설립시 등록면허세부동산 매입시 취득세등공공임대주택리츠의 취득세 감면현물출자시 출자자의 과세이연부동산 보유시 재산세등공공 임대주택리츠의 재산세등 감면부동산 보유시 종합부동산세등임대주택의 종합 부동산세 합산배제법인세 소득공제부동산 임대소득부동산 매각소득

1. 등록면허세 : 0.4%
2. 지방교육세 : 0.08%
3. 국민주택채권 매입의무면제
4. 대도시내 신규법인설립(설립후5년이내에 자본증가 포함)에 대한 3배중과 배제(2021.12.31.까지)
(지방세특례제한법 제180조의2제2항제3호)
  단, 자기관리리츠의 경우 설립시(설립후 5년이내 증자시 포함) 등록면허세 3배중과
취득세 : 4%
지방교육세 : 0.4%
농어촌특별세 : 0.2%
취득세 20%감면: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로서 해당 부동산투자회사의 발행주식 총수에 대한 국가, 지방자치단체, 한국토지주택공사 및 지방공사가 단독 도는 공동으로 출자한 것으로 보는 소유주식 수의 비율이 100분의 50을 초과하는 요건이 충족되어야 하며, 요건 충족시 임대목적으로 공동주택 및 오피스텔을 건축 또는 매입하기 위하여 취득하는 부동산에 대하여 취득세30%감면 (2021년12월31일까지) (지특법 제31조의4)
법인: 설립후 5년 이상 경과한 법인이 다른 법인에 현물출자하여 사업을 승계할 경우 과세이연 제도존재
(법인세법제47조의2)
개인: 임대주택을 투자대상으로 하는 부동산투자회사에 대한 개인의 토지나 건물을 현물출자하는 경우 양도 소득세 과세이연제도존재(조특법 시행령 제97조의6)
주식처분누적비율이 50%미만 처분시에는 당해 처분비율만큼, 50%를 초과할 경우 납부 이연 양도 소득세 전액을 처분시점에 납부
1. 토지분
  재산세 : 0.2%(분리과세)
  지방세법 제106조제1항제3호제마목 및 시행령 제102조제8항3호
  지방교육세 : 0.04%
  지역자원시설세 :0.04~0.12%

2. 건물분
  재산세 : 0.25%
  지방세법제111조제1항제2호
  재산세도시지역분 : 0.14~0.23%
  지방교육세 : 0.05%
  지역자원시설세 :0.04~0.12%
  (화재위험 건축물 2배중과, 대형 화재위험 건축물 3배중과)

3. 주택분
  재산세 : 0.1~0.4%(4단계초과누진세율)
  재산세도시지역분 : 0.14~0.23%
  지방교육세 : 0.02~0.08%
1. 전용면적 60제곱미터 이하일 경우: 재산세 및 재산세도시지역분은 40%감면
  (2021년12월31일까지) (지특법 제31조의4)
2. 전용면적 60제곱미터초과 85제곱미터 이하인 경우: 재산세만 15%감면 (2021년12월31일까지)
  (지특법 제31조의4)
1. 토지분 : 분리과세토지로 과세대상아님
2. 건물분 : 과세대상아님
3. 주택분 : 2주택이하 0.5% ~ 2.7%, 3주택이상 0.6% ~ 3.2%
4. 농어촌특별세 : 2주택이하 0.1% ~ 0.54%, 3주택이상 0.12% ~ 0.64%
과세표준의 합산의 대상이 되는 주택의 범위에 포함하지 않음
1. 건설임대주택, 전용면적 149제곱미터이하, 2호이상, 공시가격 6억원이하, 5년이상 임대
2. 매입임대주택, 공시가격 6억원이하(수도권외 3억원이하), 5년이상 임대
  (종합부동산세법제8조2항)
  (종합부동산세법시행령제3조)
배당가능이익의 100분의 90 이상을 배당한 경우 그 금액은 해당 사업연도의 소득금액에서 공제
(법인세법제51조의2제1항제4호)
(자기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경우 적용x)
자기관리 부동산투자회사의 경우에만 2018년12월31일이전 신규 취득한 국민주택임대소득 100% 소득공제적용 (조특법 제 55조의 2 제 5항)
법인세 소득공제 제도로 인하여 부동산 양도차익도 배당소득공제 규정 적용으로 리츠 단계에서는 법인세가 사실상 과세되지 않으며, 배당소득을 수취한 투자자 단계에서 소득세 또는 법인세가 과세됨
반응형
반응형

리츠 투자의 장점

직접 투자방식 대비 장점을 가진 리츠 투자

 

NH프라임리츠, reits, 롯데리츠, 리츠, 모두투어리츠, 상장리츠, 신한알파리츠, 에이리츠, 이리츠코크렙, 케이탑리츠

 

주요 금융투자상품구조

 

REITS 투자 시 장점 1.

사옥매입

건물주에 준하는 지위를 가질 수 있으며 투자 및 임차에 따른 재무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자산관리회사(AMC)의 전문적인 자산관리 노하우 활용을 통한
자산 운영의 효율성 극대화 가능

 

 

장점

구조도

 

 

REITS 투자 시 장점 2.

보유자산유동화

재무제표 상 고정자산을 BOOK-OFF하면서
운영자산 확보 및 재무지표 개선 가능

 

장점

구조도

 

 

REITS 투자 시 장점 3.

개발사업

개발 리츠가 명목상 시행사 및 차주로
금융도관체(SPC) 역할을 수행

 

장점

구조도

 

 

리츠의 구조

리츠의 운영 프로세스

리츠의 수익과 비용

리츠의 수익과 비용구분일반임대차책임임대차(ex.이리츠코크렙)

영업수익 임대료,관리비 등 고정 임대료(임차인 직접 관리로 관리비 X)
영업비용 빌딩비용 위탁관리비, 수도광열비,제세공과금,
감가상가비,보험료 등
위탁관리비, 감가상각비
(수도광열비, 제세공과금, 보험료는 임차인 부담 – Triple Net)
펀드비용 자산관리/사무수탁/자산보관수수료 등 좌 동
영업외수익 이자수익 좌 동
영업외비용 이자비용

좌 동

 

리츠투자와 세금

 

리츠 법인세/주주배당소득 과세/주주양도소득 과세

 

리츠의 법인세


통상 미발생배당가능이익(당기순이익+이월 이익 잉여(결손)금)의 90% 이상 배당 시 그 금액은 당해 사업연도 소득 금액에서 공제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라 감가상각비 범위 안에서 이익을 초과하여 배당 가능하므로 특별한 세무조정사항이 발생하지
않는 한 법인세 과세소득 이상의 금액을 배당할 수 있어 통상 법인세 미발생)

 

리츠 → 주주 배당소득 과세

개인 국내거주자 배당금의 15.4% 원천징수 (단, 배당소득이 종합과세되는 경우, 원천징수된 세액은 종합소득산출세액에서 공제)
국내 비거주자 배당금의 22% 원천징수 (단, 한국과 조세조약이 체결된 국가의 거주자일 경우, 조세조약 제한세율 적용)
법인 내국법인 법인의 소득 금액과 합산하여 법인세 납부 (단, 법인세법 10조의 2,3에서 규정한 배당소득 익금불산입 규정 미적용)
외국법인 배당금의 22% 원천징수 (단, 한국과 조세조약이 체결된 국가의 법인일 경우, 조세조약 제한세율 적용)

 

주주↔ 주주 양도소득 과세

개인 국내거주자 주식양도소득세 비과세(단, 소득세법 제94조 제1항 제3호 및 동법 시행령 제157조에 따른 주권상장법인의 대주주에 해당하는 경우, 주식양도소득세(22~33%) 과세)
국내 비거주자 min(양도 대가의 11% or (양도 대가-취득가액-양도비용)*22%) 원천징수(단, 주식의 양도일에 속하는 연도와 그 직전 5년의 기간 중 계속하여 지분율 25% 미만인 투자자가 양도하는 경우 비과세)
법인 내국법인 주식양도차익을 연간 소득 금액에 합산하여 법인세 납부
외국법인 min(양도 대가의 11% or (양도 대가-취득가액-양도비용)*22%) 원천징수(단, 주식의 양도일에 속하는 연도와 그 직전 5년의 기간 중 계속하여 지분율 25% 미만인 투자자가 양도하는 경우 비과세)

 

 

반응형
반응형

리츠의 정의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reits, 건설 시장, 리츠, 배당금, 부동산 가격, 부동산 간접투자, 부동산 직접투자, 부동산투자회사법, 부동산펀드

리츠 REITs란?

다수의 투자자들로부터 모집된 투자금을 변동성이 적고 향후 가치상승
잠재력이 높은 오피스, 쇼핑몰 등 대형 부동산에 투자하고, 이로부터
발생되는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분배하는 부동산투자회사입니다.
리츠주식은 유사한 금융투자상품인 부동산펀드와 달리 설정기간이 없으며,
유가증권시장에서 언제든 사고 팔 수 있어 현금화가 가능합니다.

리츠의 구조 및 특성

리츠의 종류

리츠의 종류유형형태투자대상내용

기업구조조정(CR)REITs Paper Company (명목회사) 기업구조조정용 부동산 자산의 투자·운용·자산관리를 전문 자산관리회사
(코람코자산신탁 등)에 위탁하는 형태
위탁관리 REITs Paper Company (명목회사) 일반 부동산
자기관리 REITs 일반 회사 일반 부동산 자산의 투자·운용·자산관리를 자체 인력으로
직접 수행하는 형태. 실체 회사로서 법인세 혜택 없음

리츠의 종류별 비교

리츠의 종류별 비교종류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기업구조조정부동산투자회사자기관리부동산투자회사투자대상영업개시설립주체감독회사형최저자본금주식분산주식공모상장현물출자자산구성*(매분기말)자산운용전문인력배당개발사업처분제한자금차입회사존속

일반부동산 기업구조조정부동산 일반부동산
공모형 :국토교통부 영업인가
사모형: 국토교통부 영업인가 또는 등록
(주주구성,부동산개발사업에 대한
투자비율 등 요건을 갖출 경우)
국토교통부 영업인가 또는 등록
(금융위 사전협의)
국토교통부 영업인가
발기인(발기설립) 발기인(발기설립) 발기인(발기설립)
국토교통부, 금융위원회 국토교통부, 금융위원회 국토교통부, 금융위원회
명목회사
(상근없음)
명목회사
(상근없음)
실체회사
(상근임원직)
50억원 50억원 70억원
1인당 50% 이내 제한없음 1인당 50% 이내
주식총수의 30% 이상 의무사항 아님 (사모 가능) 주식총수의 30% 이상
요건 충족 즉시 요건 충족 즉시 요건 충족 즉시
최저자본금 확보 이후 가능 최저자본금 확보 이후 가능 최저자본금 확보 이후 가능
부동산: 총자산의 70% 이상
부동산, 부동산관련
증권 및 현금 : 총자산의 80%이상
기업구조조정부동산: 총자산의
70% 이상
부동산: 총자산의 70% 이상
부동산, 부동산관련
증권 및 현금 : 총자산의80% 이상
자산관리회사(5인)에 위탁운용 자산관리회사(5인)에위탁운용 5인 (리츠 상근 고용)
90% 이상 의무 배당(초과 배당 가능) 90% 이상 의무 배당(초과 배당 가능) 90% 이상 의무 배당
주주총회 투자비율 결의 주주총회 투자비율 결의 주주총회 투자비율 결의
주택 1년, 비주택 1년 제한없음 주택 1년, 비주택 1년
자기자본의 10배 이내(주총 특별결의 시) 자기자본의 10배 이내(주총 특별결의 시) 자기자본의 10배 이내(주총 특별결의 시)
선택적 (일반적으로) 한시적 선택적

 

 

근거법령

1.부동산투자회사법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04212&efYd=20181115#0000

2.부동산투자회사법 시행령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05159&efYd=20181115#0000

3.부동산투자회사법 시행 규칙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37698&efYd=20130323#0000

 

 

리츠의 도입 배경

리츠는 1960년 미국에서 최초 도입을 시작으로 2000년 이후 유럽 및 아시아로 급속히
확산되었으며,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의 보유 부동산 유동화를 통한
기업구조조정으로 급락한 부동산 시장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부동산투자회사법'을
제정(2001.5.7) 하여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일반인에게 부동산 간접
투자 기회 제공

(부동산투자회사법 제 1조)

부동산 투자 접근이 어려운 소액투자자에게
우량 부동산에 대한 투자기회를 부여함으로
써 일반인의 부동산 투자 욕구를 충족함

 

부동산 가격 안정

인구증가와 경제발전에 따른 지가 상승 등에
의한 투기적 부동산 시장을 건전한 투자시장
으로 전환하여 가격 안정을 도모함

 

건설시장 활성화 도모

외환위기 이후 건설산업의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자본시장에서 안정적 자금조달이
가능한 투자도 관체(conduit)가 필요함

 

부동산산업의 발전

상대적으로 낙후된 부동산시장을 선진화하고
우수 전문 인력을 육성함으로써 대외개방에 따른
경쟁력을 제고하고 유동화하기 어려운 부동산
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부동산 거래의 활성화를 도모함

 

연혁

반응형
반응형

068270, 램시마SC, 바이오시밀러, 비후성심근증, 셀트리온, 셀트리온제약, 셀트리온헬스케어, 자가면역 치료제, 코로나 19치료제, 트룩시마

 

(068270) 셀트리온 - (2)

Pipeline

세계인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다양한 기회를 모색합니다

 

CT-P39 Omalizumab XOLAIR® 천식, 두드러기 연구

 

CT-P17 Adalimumab HUMIRA®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염증성 장질환 등 임상3상

 

CT-P16 Bevacizumab AVASTIN® 전이성 직결장암, 전이성 유방암, 비소세포폐암 등 임상3상
  • * About registered trademark of reference products
  • REMICADE®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JANSSEN
  • AVASTIN®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GENENTECH
  • HUMIRA®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ABBVIE
  • XOLAIR®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Novartis

 

 

 

CT-P27 유행성·계절성 독감 임상 2상

 

CT-G20 비후성심근증 (Cardiomyopathy) 임상

 

Research & Development

혁신 의약품 및 생명공학 기술 개발로 미래 성장 동력을 발굴합니다

 

연구소

인천 송도에 위치한 셀트리온 생명공학 연구소는 신약 후보물질 탐색, 유전자 재조합을 통한 세포주 개발 및 발현, 바이오의약품 대규모 생산, 품목 허가를 위한 동등성 평가, 제품 특성, 작용기전 연구 등 바이오 산업 전 과정에 걸쳐 축적한 연구 역량 및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대 규모 R&D 전문 인력

전체 임직원의 33%

세포주∙배양 공정∙정제 공정 개발 분야의

선도적 기술력과 역량

 

물리화학 및 생물학적 분석을 위한

최신 연구 설비

 

핵심 기반기술 Platform Technology 축적

항체 개발 및 ADC 융합기술 등

 

감염성 바이러스 치료 신약 개발을 위한

BL-2 Bio Safety Level 2


연구시설 별도 보유

 

*바이오시밀러

항암치료제

유방암, 대장암, 신장암,
자궁경부암, 비호지킨림프종,
만성림프성 백혈병 등

 

면역질환치료제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강직성 척추염 등

 

표적치료제

직결장암, 골다공증, 천식,
염증성 장질환, 이상지질혈증

 

*바이오신약

항체신약

감염성 질환, 항암치료제,
면역질환

 

백신

바이러스성 질환,
세균성 질환

 

융합기술

ADC
(Antibody-Drug Conjugate)

 

*케미컬 제약신약 및 제너릭

신약 플랫폼 기술 개발

서방형주사제
Hot Melt Extrusion
고분자 약물전달시스템
연속공정기술개발

 

미충족의료수요

서방화, 소형화, 복합화,
가용화, 안정화, 흡수개선,
제형변경, 방습력 강화

 

신사업 모델

신약 리포지셔닝,
Open Innovation,
CDMO

 

FIRST FOLLOWER 전략 개발

특허전략
시장 선점 전략
제품 경쟁력 강화

 

 

기술개발

후보항체 선별

  • 후보항체 탐색
  • Target Product Profile development

세포주 개발

  • 고발현 생산세포주 개발
  • 지적재산권 확보를 통한 원천기술 보유

공정개발

  • 세포배양공정개발
  • 정제공정개발
  • 상업생산을 위한 공정 최적화

분석법 개발

  • A-QbD 기반 분석법 개발
  • 물리화학 및 생물학적 품질 특성 분석
  • 동등성ᆞ안정성 입증
  • 약물 작용기전 규명
  • 임상분석법 평가

제형개발

  • 초기단계의 제형개발연구
  • 제형 특성 심화 연구
  • 약물 전달장치개발
  • Primary container closer system 연구

약물평가

  • 약력학 시험
  • 약동학 시험
  • 독성 시험

 

 

 

Technology

셀트리온의 의약품과 다양한 바이오·케미컬의약품 정보를 전해드립니다

Products

세계 시장에 판매되는 셀트리온의 의약품입니다

생산

글로벌 GMP 시스템과 철저한 품질 관리를 통해 신뢰받는 의약품을 생산합니다

 

 

품질관리

셀트리온은 유럽과 미국을 포함한 최신 글로벌 GMP규정에 부합하는 엄격한 품질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품질 관리

셀트리온은 개발과정에서 확인된 과학적 정보 및 축적 데이터에 품질 리스크 관리(ICH Q9 Quality Risk Management)와 제약 품질 시스템(ICH Q10 Pharmaceutical Quality System)을 적용하여 제품의 품질(Quality), 안전성(Safety), 효능(Efficacy)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평가를 수행합니다.
또한 우수한 제품 품질을 항시 유지하기 위해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품질특성(CQA, Critical Quality Attribute) 및 주요 공정변수(CPP, Critical Process Parameter)를 설정하고 있으며, 이의 모니터링 및 개선을 통해 지속적인 품질 유지 및 제고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품질 정책

셀트리온은 품질에 타협하지 않습니다. 셀트리온은 생산하는 모든 제품에 대해 우수한 품질을 유지하는 한편, 지속적인 품질 개선을 위해 자체 정책을 제정하여 이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의 품질 정책은 아래와 같습니다.

  • 셀트리온에서 생산하는 모든 제품, 공정, 절차, 방법, 서비스 등은 높은 품질 수준을 보증해야 한다.
  • 셀트리온의 품질시스템은 전세계 GMP에서 정의된 세계 의약품 규제기관 및 업계의 품질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그 보다 강화된 기준을 적용하여 관리되어야 한다.
  • 셀트리온의 품질시스템은 일관된 제품 품질 및 제조공정을 보증하기 위해 품질 목표를 다른 어떤 목표보다 우위에 둔다.

 

품질 수준

셀트리온은 높은 수준의 품질 정책을 통해 1공장 누적 생산 성공률 98%, 2공장 97% 수준의 높은 생산 기록을 이어가고 있으며, 장기간의 무오염, 무사고 생산 기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은 매년 세계 각국 규제기관 감사를 통해 생산 품질 및 설비 수준의 적절성을 검증 받고 있으며,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철저한 교육 및 문서관리, 위험관리를 통해 우수한 품질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은 이를 위해 뛰어난 품질 관리 전문가로 구성된 품질담당 조직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의 상시적 감사를 위한 팀을 별도로 구성하여 품질 지원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생산

글로벌 GMP 시스템과 철저한 품질 관리를 통해 신뢰받는 의약품을 생산합니다

 

생산설비

바이오의약품생산 설비

인천 송도에 위치한 셀트리온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은 아시아 최초 동물세포 배양 설비에 대해 FDA의 cGMP 인증을 획득했으며, 원료의약품부터 완제의약품까지 생산 가능한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2019년 1공장의 5만 리터 규모 설비 증설을 완료했으며, 송도에 20만 리터 규모의 3공장 신설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케미컬의약품생산 설비

셀트리온의 케미컬의약품 개발·생산기지인 셀트리온제약 청주공장은 국내 최초로 미국 및 유럽 규제기관으로부터 내용고형제의약품 제조시설에 대한 GMP 승인을 획득한 생산시설입니다.
청주공장은 전세계를 대상으로 정제 및 캡슐 제형을 공급할 수 있는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으며 포장 및 물류 체인 전반에 걸친 제품공급사슬(SCM) 인프라를 갖춘 글로벌 종합 케미컬 생산 기지입니다

시설 개요

  • 청주공장50억정 생산 능력

    셀트리온제약 청주공장은 프리필드시린지(Pre-filled Syringe)와 오토인젝터(Auto-injector) 등 생산 라인 증설을 진행하고 있으며, 의약품 생산 포트폴리오를 주사제형 분야로 확대해나갈 계획입니다.

 

실적자료

 

실적 요약

 

 

4분기 일시적 원가 상승 요약 및 대책

 

연간 실적 트렌드

 

실적요약

 

제품 포트폴리오

 

 

재무상태

 

중장기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중장기 글로벌 케미컬 파이프라인

 

반응형

'*기업 & 종목 소개 > - KOSPI 코스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0640) 한진칼 - (2)  (0) 2020.02.29
(180640) 한진칼 - (1)  (0) 2020.02.29
(068270) 셀트리온 - (1)  (0) 2020.02.28
(012600) 청호컴넷 - (1)  (0) 2020.02.27
(336260) 두산퓨어셀 - (1)  (0) 2020.02.26
반응형

068270, CDMO, HIV 치료제 테믹시스, 램시마, 리툭시맙, 셀트리온, 트룩시마, 항체 바이오시밀러, 헬스케어, 혈액암

(068270) 셀트리온 - (1)

 

Embrace Life

글로벌 헬스케어 리딩기업 셀트리온
인류의 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우리의 도전은 계속됩니다

 

Biologics
that make more sense

셀트리온의 항체 바이오시밀러는 환자들에게 합리적 비용으로

고품질 바이오의약품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Pharmaceuticalsreinnovated

1,000조 원 규모의 글로벌 케미컬의약품 시장을 개척하며
미래 성장을 위한 새로운 동력을 확보합니다

 

Pioneering into the
future

세계적 수준의 바이오의약품 R&D 역량과 전문성을 바탕으로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첨단 의약품을 개발합니다

 

 

기업 개요

셀트리온은 제약산업의 불모지에서 세계 최초로 ‘항체 바이오시밀러’ 라는 신 산업을 개척한 대한민국 대표 글로벌 종합생명공학 기업입니다.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개척하며 눈부신 성과를 일궈온 셀트리온은 케미컬의약품과 신약 개발, U-헬스케어 플랫폼 사업 등 차별화된 사업 전략을 기반으로 글로벌 생명공학 기업으로 지속 성장해나갈 것입니다.

비전

셀트리온은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및 케미컬의약품 개발을 통해 인류의 건강과 복지 증진의 가치를 실현하는세계적인 종합생명공학 기업으로 성장해나가겠습니다.

핵심가치

창의성발상의 전환과 창의적인 사고로 문제를 해결합니다.

 원칙준수원칙을 준수하며 신념과 신뢰의 가치를 중시합니다.

 도전정신난관에 굴하지 않고 새로운 길을 찾기 위해 끊임없이 도전합니다.

 세계제일주의세계 시장을 주도하기 위한 최고의 전문성과 경쟁력을 강조합니다.

 

 

글로벌 헬스케어의새로운 장을 열어갑니다 셀트리온그룹 회장 서정진

출범 당시 우리의 꿈은 막연했는지 모릅니다.
처음엔 이렇게 파괴력이 큰 사업인지 몰랐습니다.
이렇게 힘든 사업인지 몰랐습니다. 이렇게 돈이 많이 들어가는 사업인지도 몰랐습니다.

우리는 수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기술력, 자금력의 한계가 있었고, 경험도 없었으며 제도적 어려움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끊임없는 연구개발과 투자, 그리고 불굴의 도전정신으로 허들을 통과해 여기까지 왔습니다.

세계 굴지의 다국적 제약사들도 예견하지 못했던 ‘항체 바이오시밀러’라는 신시장을 만들어냈고, 이 시장을 선점해 나가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은 이제 세계로 나아갑니다.
글로벌 회사로 성장하여 대한민국 바이오산업의 미래를 열겠습니다.

우리는 우리만의 힘으로 여기까지 왔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셀트리온의 오늘이 있기까지 도움을 주신 많은 분들을 기억하면서
우리 사회에, 우리 국가에, 더 나아가 인류에 도움이 되는 회사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인류의 행복한 삶을 위한 공존의 내일을 만들어 갑니다 셀트리온 대표이사 부회장 기우성

셀트리온은 세계 최초로 항체바이오시밀러 ‘램시마’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소수 다국적 제약회사가 독점해온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영세했던 국내 제약산업이 새롭게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창조한 바이오 기업입니다.

최근 국내외 여러 기업들이 바이오의약품 시장에 도전하고 있지만,
셀트리온이 처음 이 길을 선택했을 무렵에는 누구도 그 도전에 쉽게 나설 수 없었습니다.
막대한 자본과 기술력이 필요하며, 성공을 장담하지 못했기에, 그 길은 더욱 어렵고 외로운 길이었습니다.

그러나 셀트리온 임직원들에게는 꿈이 있었습니다.

고가의 바이오의약품을 대체할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여 더 많은 환자에게 그 혜택을 제공하겠다는 꿈,
혁신 신약을 개발하여 세계적인 생명공학회사로 성장해 가겠다는 꿈.
그 꿈을 현실로 만든 것은 철저한 전략과 깊은 확신, 끝없는 도전이었습니다.

누구도 가본 적 없던 길에 도전하여 그 꿈을 이뤄왔던 지난 날처럼, 셀트리온은 미래를 향한 걸음을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나아가 셀트리온은 단순히 외향적인 성장만을 이루는 기업이 아닌, 세계의 환자들에게 더 저렴하고 효과적인 의약품을 공급함으로써
인류가 더욱 건강하게 살아가는 데 기여하는 회사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앞으로도 글로벌 종합생명공학 기업으로 도약해 나가는 셀트리온에 아낌없는 사랑과 격려를 부탁드립니다.

 

사회공헌

셀트리온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기 위해 셀트리온복지재단을 설립하는 한편, 전 임직원의 자발적 봉사를 통해 이웃과 함께하는 나눔을 실천해가고 있습니다.

셀트리온복지재단은 셀트리온의 사업장이 위치한 인천, 충북 지역을 중심으로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소외계층에게 부식, 의료비, 생계비와 학자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매월 푸드마켓, 청소년 쉼터, 무료급식소 지원사업, 아프리카 및 아시아 등 저개발국가에 의약품 지원사업도 전개하고 있습니다.

 

환경경영

셀트리온은 의약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내외 환경법규를 철저히 준수하며, 환경 보전을 위한 설비 및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유해화학물 관리

  • 장외영향평가에 따른 사업장 위험성 관리
  • 화학사고 감시 시스템 및 사고대응반 구성
  • 화학사고 발생 대비 민·관 합동훈련
  • 시설운영 안전성 평가 적격 인증

에너지 ∙ 자원 관리

  • 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 챔피온 기업 인증
  • 사내 자원 절약 캠페인 지속 실행
  • 폐기물 전용 보관소 설치 및 재활용 자원 분류
  •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배출권 준수

대기환경 보호관리

  • 대기총량 배출권 준수
  • 저녹스 버너(Low-NOx)* 설치
  • 폐수처리장에 바이오필터 설치
  • 외부 공인 분석기관을 통해 지속적 악취 분석 ∙ 관리

* 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NOx) 배출을 감소시키는 버너

물환경 보호관리

  • 공장별 폐수처리장 설치
  • 물리·화학·생물학적 처리 후 종말처리장 배출
  • 물환경보전법 배출허용기준치 엄격 준수
  • 전문 분석기관의 주기적 폐수 오염도 분석

 

준법경영

셀트리온은 전 임직원이 근무 시 준수해야 하는 준법윤리정책을 확립하고 있습니다.
임직원과 회사, 회사와 파트너, 회사와 기관 등 공사 관계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도덕적으로 해결하고 나아가 투명하고 공정한 준법 윤리경영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습니다.

Biosimilar

환자들에게 합리적 비용의 고품질 바이오의약품 치료기회를 제공합니다

 

자가면역질환

퍼스트 무버를 넘어게임 체인저로

셀트리온은 세계 최초로 항체 바이오시밀러인 램시마를 글로벌 시장에 선보이며 합리적인 비용으로 더 많은 환자에게 치료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사회경제적 혁신을 이루었습니다. 누적 처방 기록과 장기 임상 결과를 통해 효능과 안전성을 입증한 램시마는 전세계 의약품 규제 기관과 환자의 신뢰를 받고있는 최초의 항체 바이오시밀러입니다.

램시마 세계 최초 항체 바이오시밀러

램시마는 특허가 만료된 블록버스터 바이오의약품 시장에 가장 먼저 진입하는 ‘퍼스트무버’ 전략으로 유럽 자가면역질환시장의 약 60%를 점유하며,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항체 바이오시밀러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램시마SC 새로운 치료 옵션

셀트리온은 다년간 쌓아온 램시마의 누적 처방 자료와 성공적인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램시마IV의 한계를 극복한 램시마SC의 개발에성공했습니다. 유럽의약품청(EMA)로부터 판매 허가 승인을 획득한 램시마SC는 환자의 투약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의사의 치료 옵션을 확장함으로써기존 TNF-α억제제의 한계를 극복,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게임체인저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은 총 9개의 자가면역질환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CT-P17은 약 25조 원 규모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고농도 제형으로 개발되어 타 경쟁제품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었습니다.

 

항암제

항암제
바이오시밀러
퍼스트 무버

셀트리온은 항암제 바이오시밀러 분야에서 빠른 시장 성장으로 높은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이 개발한 혈액암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트룩시마는 지난 2017년 유럽 EMA의 판매허가를 받은 후 출시 1년 만에 유럽시장 점유율 32%를 달성했으며, 유방암∙위암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허쥬마는 출시 반년 만에 유럽 시장에서 약 10%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습니다.

트룩시마 유럽 시장 점유율 추이

 

미국 최초 리툭시맙
바이오시밀러
허가 획득

셀트리온은 2018년 미국 FDA로부터 최초로 리툭시맙 바이오시밀러인 트룩시마의 판매허가를 받아 약 5조 원 규모의 세계 최대 리툭시맙 치료제 시장인 미국 진출을 앞두고 있습니다. 미국 리툭시맙 시장은 경쟁사의 임상 중단 및 미국 시장 진출 포기로 미국에서 독점적 바이오시밀러 제품으로 시장을 선제적으로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유럽에서와 마찬가지로 압도적 시장 지위를 확보해 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셀트리온은 7개의 항암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고 있으며 그 중 전세계에서 약 8조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비소세포폐암, 대장암 치료제 아바스틴(성분명 : 베바시주맙, Bevacizumab)의 바이오시밀러 CT-P16 의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Small Molecules

글로벌 케미컬의약품 시장을 개척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합니다

 

글로벌 케미컬 프로젝트

프로젝트 개요

세계의약품 시장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케미컬의약품 시장은 2021년까지 그 규모가 약 1,00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케미컬의약품 산업에서 새로운 성장 가능성을 발견한 셀트리온은 세계 케미컬의약품 시장 진출을 위한 글로벌 케미컬 프로젝트 (Global Chemical Project, GCP)를 추진하여 세계 제약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한 종합 생명공학 기업으로 거듭나고자 합니다.

사업 전략

셀트리온은 2018년 말 미국 FDA로부터 허가 받은 첫 케미컬 개량신약인 HIV 치료제 테믹시스를 시작으로 미국 및 국제 입찰 시장 공략, 자체 글로벌 유통망 구축을 통해 세계 케미컬의약품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하는 전략을 실현해 나가고 있습니다.

 

 

셀트리온그룹은 성공적인 글로벌 케미컬 프로젝트를 위해 사업 전반을 관리하는 셀트리온 케미컬사업본부와 연구·생산을 담당하는 셀트리온제약으로 업무를 이원화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두 조직은 각각 특화된 업무에서 전문성을 십분 활용하는 한편, 기술 분석 협의체를 구성해 후보 제품을 발굴하고 포트폴리오를 확보합니다.

 

신제형

램시마 SC

셀트리온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IV(정맥주사제형)의 투약 편의성을 개선한 램시마SC(피하주사제형)의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환자가 스스로 투여할 수 있는 램시마SC는 세계 블록버스터 의약품 시장에 지각변동을 가져올 게임체인저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램시마SC는 현재 유럽 EMA로부터 판매 허가 승인을 획득했습니다.

유효성 · 안전성

셀트리온은 대규모 임상을 통해 램시마SC의 효능과 안전성을 검증했습니다.
램시마SC는 임상 3상에서 의약품의 효능을 확인하는 지표인 ACR, EULAR 반응 결과에서 램시마IV와 비교하여 근소하게 우수한 효능을 보였으며, 임상 결과 램시마IV 대비 유효성과 안전성 면의 비열등성을 입증했습니다.

 

 

바이오베터

ADC 기술

항체-약물 접합(ADC, Antibody-Drug Conjugate) 기술은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선별하는 항체에 항암 치료 약물을 결합해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차세대 치료 기술입니다. 셀트리온은 글로벌 제약 기업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유방암을 비롯한 다양한 종양 타겟의 ADC 바이오베터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ADED 플랫폼

셀트리온이 개발 중인 ADC 항암 치료제는 ADED(Antibody Delivery Enhancing Domain)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항체-약물 접합체의 암세포 전달 효율과 약물의 세포 침투율을 높여 항암 치료효과를 비약적으로 상승시킨 바이오베터 입니다.
셀트리온의 ADC 항암 치료제는 HER-2 발현율이 높은 양성 유방암 환자는 물론 HER-2 발현율이 낮은 양성 유방암 환자에게도 치료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셀트리온은 ADC기술 응용을 통해 HER-2뿐만 아니라 다른 종양특이항원을 타겟으로 하는 항체로 개발 영역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신약개발

파트너십을 통한
신약 개발

셀트리온은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과 전략적 협업을 통해 신약개발의 R&D 효율성을 증대하고 국내외 바이오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해 나갈 것입니다. 이를 위해 라이선스 인·아웃 및 공동 개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CDMO

셀트리온의 CDMO 사업은 개발·생산·임상 운영·허가 분야의 전문 역량을 제공하고 개발 비용을 분담하여 파트너사의 신약 후보물질을 공동 개발하는 모델입니다. 셀트리온과 CDMO 계약을 맺은 파트너사는 셀트리온의 역량을 활용하여 신약 후보물질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으며, 셀트리온은 해당 후보 물질에 대해 우선적인 도입 권리를 확보할 수 있어 양사간 효율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합니다.

 

 

셀트리온 그룹 VISION 2030

 

GLOBAL NETWORKS

2021년까지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 미국, 캐나다를 비롯 글로벌 유통 직판 체계 확립

 

반응형

'*기업 & 종목 소개 > - KOSPI 코스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0640) 한진칼 - (1)  (0) 2020.02.29
(068270) 셀트리온 - (2)  (0) 2020.02.28
(012600) 청호컴넷 - (1)  (0) 2020.02.27
(336260) 두산퓨어셀 - (1)  (0) 2020.02.26
(336370) 두산솔루스 - (1)  (0) 2020.02.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