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로나19 악영향 본격화… 3월 고용지표 보기 겁난다

17일 통계청 발표 앞두고 긴장 / 취업자수 최대 60만명 이상 감소 / 노인일자리 포함 땐 110만명 줄듯 / 음식·숙박·여행업종 특히 타격 / 정규·비정규직 전방위 악화 예상 / 2020년 증가폭 마이너스 기록 전망

오는 17일 통계청이 발표하는 ‘3월 고용동향’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고용지표 악화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3월부터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하기 시작해 올해 연간 취업자 수 증가폭이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뒷걸음질 칠 것이라고도 전망한다.

통계청 관계자는 12일 “2월 고용동향 조사 기간에는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많지 않았고,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조치가 없어 영향이 적었다”며 “3월 지표에는 코로나19 영향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발표된 통계청 2월 고용동향에서는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49만2000명 증가했는데 이는 조사 기간이 2월9일부터 15일까지로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28명 수준에 그쳐 사실상 코로나19 영향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 3월 고용통계는 지난달 15일부터 21일까지 조사가 진행돼 코로나19에 따른 고용 상황 변화가 본격적으로 수치로 나타난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3월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최대 60만명 이상 감소하고 연간으로도 마이너스를 기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신천지교회를 중심으로 코로나19가 본격 확산하기 시작한 2월20일부터 열흘간의 산업활동동향 지표를 토대로 3월 취업자 수를 추산한 결과 정부의 노인일자리 50만명을 제외하고도 취업자 수가 최대 60만명 감소한다는 설명이다. 정부의 노인일자리를 포함하면 취업자 수 감소가 최대 110만명에 달한다는 계산이다.

김 교수는 “20대에서 15시간 미만 아르바이트 등의 단기 일자리가 급격히 줄고 40대 취업자가 몰려 있는 제조업에서도 취업자 수가 심하게 감소할 것“이라며 “업종별로는 음식·숙박업, 여행사를 포함하는 사업시설 등 임대사업, 제조업, 여가 관련 서비스업 등에서 취업자 수가 많이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역대 연간 취업자 수가 감소를 기록한 것은 1963년 통계 작성 이래 네 차례뿐이다. 중화학공업 구조조정이 있었던 1984년(7만6000명),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127만6000명),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카드사태가 겹쳤던 2003년(1만명),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던 2009년(8만7000명)이다.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때는 취업자 수가 전년 대비 28만1000명 증가했는데 전년도 증가폭 59만8000명에 비교하면 반 토막이 났다.

코로나19의 경우 지난 1월 첫 확진자 발생을 시작으로 사망자 수 200명·확진자 수 1만명을 넘기며 사태가 장기화하고,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등의 조치가 경제에 직격탄으로 작용하면서 유례없는 취업자 수 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

고용노동부 고용보험통계에 따르면 지난 2월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 가운데 실업급여를 받은 인원은 총 54만3000명으로 지급액이 8083억원에 달했다. 실업급여 지급액이 8000억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실업급여가 지급되는 고용보험 가입자는 전체 취업자의 절반에 불과하다.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은 특수고용직 종사자나 프리랜서, 일용직 근로자 등을 포함하면 실업자나 비경제활동인구가 많이 늘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정규직 근로자부터 비정규직 근로자 가운데 한시적, 시간제, 비전형(파견·용역·특수형태 등) 근로자와 자영업자를 포함하는 비임금근로자까지 전방위적으로 고용이 악화하는 셈이다.

코로나19로 직장에서 무급 휴직 통보 등을 받은 일시 휴직자의 경우 6개월까지는 취업자로 잡히지만 향후 상황 악화에 따라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로 전환될 수 있어 앞으로의 고용지표 악화 가능성도 높다.

통계청 관계자는 “과거 사스나 메르스 당시 환자가 추가로 발생하지 않는 등 진정이 되고 나서도 고용지표가 안정되는 데 2개월여가 걸렸다”면서 “코로나19는 아직 진정세로 볼 수 없는 상황이어서 향후 고용 상황을 예측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반응형
반응형

코오롱티슈진, 美 FDA '인보사' 임상 재개 승인 '낭보'

11일 코오롱그룹 고위 관계자 "인보사 임상 3상 재개 사실 확인"

미국 FDA가 '성분 변경' 논란중인 코오롱티슈진의 인보사에 대한 임상 3상 재개를 승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지난해 열린 '인보사케이주 대책안 발표 기자회견'에 참석한 이우석 코오롱생명과학 대표. 

11일 코오롱그룹 고위 관계자 "인보사 임상 3상 재개 사실 확인"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성분 변경' 논란을 빚은 코오롱티슈진의 골관절염 유전자치료제 인보사케이주(인보사)에 대한 임상 재개를 승인한 것으로 확인됐다.

11일 코오롱그룹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미국 FDA가 이날(미국시간) 인보사의 임상 3상 재개를 허용하기로 하고 관련 내용을 통보했다. 이 관계자는 이날 오후에 "미국 FDA에서 코오롱생명과학의 자회사인 코오롱티슈진 인보사케이주에 대한 임상 재개를 승인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벼랑 끝에 몰려 있던 코오롱생명과학과 코오롱티슈진은 기사회생의 전기를 마련했다.

당초 미국 FDA는 현지시간으로 11일 인보사의 임상 3상 재개 여부에 대한 입장을 통보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코오롱티슈진 측이 지난달 11일 임상 재개 건과 관련한 두 번째 추가자료를 제출한 것에 따른 것으로 통상 FDA 심사는 서류 접수 후 30일의 검토 기간을 가지는 것으로 규정돼 있다.

이와 관련 코오롱생명과학 측은 관계자는 "인보사 임상 3상 재개와 관련해 미국 FDA의 승인을 기다리는 건이 있는 것은 맞다"며 "인보사 임상 재개에 대한 건과 관련해 (서류 제출 후) 30일 정도 된 상황이다. (승인이 났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모르겠다"고 말했다.

인보사는 앞서 2액이 기존 허가신청자료에 기재됐던 연골세포가 아닌 신장세포인 것으로 드러나면서 국내에서 품목허가 취소를 받았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5월 3일 성분 변경을 이유로 임상 3상이 중단된 바 있다.

이에 코오롱티슈진 측은 FDA에 임상 3상 재개를 요청하고 지난해 8월 23일과, 지난달 11일 총 두 차례 추가자료를 제출했다.

당시 FDA 측이 인보사에 추가로 요구한 사항은 '임상 시험용 의약품 구성성분에 대한 추가 특성분석이다. FDA는 △HC(제1액)의 연골세포 특성 분석 자료 보완 △TC(제2액)의 gag, pol 유전자 염기서열분석 △방사선 조사 전·후의 형질전환 세포에 외피 유전자(env gene)를 각 도입 후 레트로바이러스 생성 여부 확인이 필요하다고 요했다.

업계는 인보사에 대한 미국 FDA 임상 3상 재개 결정이 떨어진 만큼 코오롱생명과학이 반전의 기회를 얻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코오롱생명과학 제공

벼랑 끝에 몰린 코오롱생명과학에 남은 기회는 미국 FDA 측의 임상 재개 승인뿐이었던 만큼, 업계는 이번 결정에 따라 코오롱생명과학이 극적인 반전을 꾀할 수 있게 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미국 임상 재개를 통해 인보사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국내에서 진행 중인 인보사와 관련된 소송 등 불리한 상황을 뒤엎을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현재 코오롱 측은 국내 인보사 품목허가 취소와 이에 따른 다양한 소송에 직면해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5월 29일 인보사 품목허가를 취소했으며, 한국거래소는 지난 7월 코오롱티슈진에 대해 상장적격성 실질심사가 필요하다고 결정했다. 현재 코스닥시장위원회는 코오롱티슈진에 12개월의 개선기간을 부여한 상태다.

법조계와 업계에 따르면 인보사를 둘러싼 손해배상 소송은 규모는 알려진 것만 700억 원이 넘는다. 원고로 참여한 소송 인원은 2900명에 달한다. 소송에는 인보사 사태로 피해를 본 소액주주들이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으며, 소액주주 2209명의 청구액은 711억 원에 달한다.

여기에 인보사를 투약한 환자들도 코오롱생명과학과 코오롱티슈진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1차와 2차 원고는 각각 244명, 523명이며 소송액은 25억 원, 52억3000만 원이다. 이외에도 DB손해보험, 삼성화재보험, KB손해보험, MG손해보험 등 보험업계에서도 손해배상 청구소송에 참여하고 있다.

한편 인보사케이주는 코오롱생명과학이 개발한 세계 최초 골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다. 인보사는 중등도의 무릎 골관절염환자의 치료에 사용됐으며, 1번 주사하는 데 드는 비용은 600~700만 원에 달했다. 지난 2017년 국내 허가를 받았으며, 2019년 3월 판매가 중단되기까지 3700여 명의 환자들에게 판매됐다.

그러나 지난해 인보사 치료제 주성분이 승인된 형질전환 연골세포가 아니라 실험실에서 쓰던 293세포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美FDA "코오롱티슈진, 인보사 3상 재개하라"

미국 FDA, 코오롱티슈진에 공문 보내 "임상 재개하라"
임상 3상 중단된 지 11개월 만에 재개 가능해져
앞서 성분 변화 발생 등 문제로 임상 중단돼
인보사는 세계 첫 골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
코오롱 "철저하게 수행해 세계 최초 만들 것"

미국 FDA(식품의약국)가 코오롱티슈진이 개발 중인 골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 '인보사'의 미국 임상 3상을 재개하라고 밝혔다.

코오롱티슈진은 12일, 미국 FDA가 인보사의 미국 임상 3상에 대한 보류를 해제하고 3상 시험을 재개하도록 결정했다고 밝혔다. 임상 3상이란 1상, 2상을 거친 약물을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 투여해 안전성 등을 검토하는 단계이다.

FDA는 전날(11일), 코오롱티슈진에 '임상보류 해제(Remove Clinical Hold)' 공문을 보내 "인보사에 대한 모든 임상 보류 이슈가 만족스럽게 해결됐다"며 "FDA는 임상보류를 해제했고 코오롱티슈진은 인보사의 임상 3상 시험을 진행해도 좋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5월 3일, FDA는 인보사의 미국 임상 3상에 대한 임상 보류를 결정한 바 있다.

당시 FDA는 인보사 구성 성분에 대한 ▲특성 분석, ▲성분 변화 발생 경위, ▲향후 조치사항을 제출하라고 요구했고 같은 해 9월에는 코오롱티슈진에 보완자료도 요청했다.

이에 코오롱티슈진은 해당 자료와 추가 자료 등을 FDA에 제출하는 등 협의를 진행했고 약 11개월 만인 전날 끝내, 미국 임상 3상 재개를 받아냈다.

코오롱티슈진은 "미국 FDA가 코오롱티슈진이 이전까지 제출한 임상시험 데이터의 유효성을 인정하며 이를 기초로 형질 전환된 신장유래세포(인보사2액)로 환자 투약을 포함한 임상 3상 시험을 계속해도 좋다는 점을 인정해준 의미"라고 설명했다.

코오롱티슈진은 FDA와 협의해 임상시험계획서와 임상시험환자 동의서류 등에 대한 보완 절차를 마치는 대로 임상시험 환자투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코오롱티슈진 관계자는 "앞으로 진행할 미국 임상 3상 시험을 철저하게 수행해 세계 최초의 골관절염 세포유전자치료제로서의 인보사 가치를 입증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인보사는 사람의 연골에서 추출한 연골세포(제1액, HC)와 TGF-β1 유전자를 도입한 형질전환세포(제2액, TC)를 3:1의 비율로 섞어 관절강 내에 주사해 골관절염을 치료하는 세포유전자 치료제다.

 

반응형
반응형

(226950) 올릭스 - (7) 해외보도 ( bloomberg 블룸버그 통신 ) 번역

OliX Pharmaceuticals Advances RNAi Approaches to Target Highly Conserved Regions of Coronavirus RNAs

OliX Pharmaceuticals, 고도로 보존 된 RNAi 접근 방식으로 발전
코로나 바이러스 RNA의 영역

   o OliX는 폐에 siRNA를위한 새로운 전달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조직
   o 분무를 통한 siRNA 약물의 OliX의 국소 폐 투여
     치료 효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
   o 특발성 폐 섬유증에 대한 OliX의 이전 연구에 따르면
     흡입 된 siRNA 제형은 표적 유전자의 효과적인 녹다운을 허용
     동물 모델에서 폐 조직에 표현
   o OliX, 동물 모델에 적합한 cp-asiRNA 납 화합물 확보 계획
     약 3 개월 후 테스트

2020 년 3 월 20 일 대한민국 수원 (GLOBE NEWSWIRE)-OliX Pharmaceuticals,
RNA 간섭 (RNAi)의 선두 개발자 인 Inc. (KOSDAQ : 226950),
오늘 전 임상 전 연구를 활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호흡기 질환 치료시 siRNA 치료제 개발
COVID-19 요법 개발을위한 진전.

COVID-19는 호흡기를 유발할 수있는 코로나 바이러스 제품군에 속합니다
질병. 2002 년 말, SARS 코로나 바이러스가 등장한 후 크게
OliX Pharmaceuticals는 2004 년까지 사라졌습니다.
예방할 수있는 전임상 치료 후보
코로나 19. OliX는 siRNA가 매우 효율적인 녹다운을 나타냄을 확인했습니다
시험 관내 분석을 통한 바이러스 RNA 서열.

“OliX가 개발 한 일부 siRNA는 고도로 보존 된 코로나 바이러스 영역을 대상으로합니다.
RNA”라고 OliX Pharmaceuticals의 CEO이자 CSO 인 이동기 박사는 말했다. "을 통하여
특발성 폐 섬유증에 대한 이전 연구에서
효과적으로 억제 할 수있는 흡입 가능한 siRNA 치료제
폐 조직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의 발현. 이 플랫폼
호흡기 감염성 질병을 해결하기 위해 기술을 직접 적용 할 수 있습니다.
COVID-19와 같은. 후보 siRNA에서보고있는 초기 데이터
분자는 흥미 롭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초기 단계에 있지만
회사 내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 우리는 납 화합물을
3 개월 안에 동물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OliX Pharmaceuticals는
2020 년 2 월 25 일에 COVID-19에 대한 RNAi 치료제의 개발.
특허는 30 건 이상의 소액 청구에 대한 광범위한 법적 주장을 제공합니다
COVID의 이용 가능한 게놈을 표적으로하는 간섭 RNA (siRNA) 디자인
다른 코로나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고도로 보존 된 지역 인 바이러스,
SARS 및 MERS와 같은 잠재적으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구체적으로, 표적 영역은 단백질을 코딩하고있다
바이러스 복제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예 : 3CL- 프로테아제,
RNA- 의존성, RNA 폴리머 라제 및 스파이크 단백질). siRNA는 작동 할 것이다
RNAi 경로 내에서 유전자의 발현을 방해
전사 후 mRNA를 분해하여 상보 적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것,
변성이 없습니다.

OliX Pharmaceuticals, Inc.

OliX Pharmaceuticals는 개발중인 임상 단계 제약 회사입니다.
의 하향 조절 발현에 의한 다양한 장애에 대한 치료제
독자적인 RN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질병 유발 유전자. 그만큼
회사의 핵심 RNAi 플랫폼 인 비대칭 siRNA (asiRNA)는 독특한 유전자입니다
RNA 간섭 (RNAi)을 기반으로 한 소음 기술
가장 효율적인 유전자 침묵 기술. asiRNA 기술, OliX 기반
치료 RNAi 플랫폼 인 세포 침투 asiRNA (cp-asiRNA) 개발
비대와 같은 국소 적으로 관리 가능한 질병을 효과적으로 목표로
흉터, 건조 및 습한 연령 관련 황반 변성 (AMD), 망막 하 섬유증,
특발성 폐 섬유증 (IPF) 및 신경 병증 통증. OliX도
다른 치료 RNAi 플랫폼 인 GalNAc-asiRNA를 개발하여
다양한 간 질환.

 

반응형
반응형

(226950) 올릭스 - (6) 해외보도 ( Globe News wire ) 번역본

OliX Pharmaceuticals Announces Publication of Peer Reviewed Study in Molecular Pharmaceutics

2020 년 3 월 12 일 대한민국 수원 (GLOBE NEWSWIRE)-RNAi 치료제 개발의 선두 개발자 인 OliX Pharmaceuticals, Inc. (226950.KQ)는 오늘 선도적 인 동료 검토 저널 Molecular Pharmaceutics의 주요 연구 발표를 발표했습니다. L- 형 칼슘 채널 차단제는 세포 투과 비대칭 siRNA의 세포 전달 및 유전자 침묵 효능을 향상시킨다.” 이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전임상 연구의 발견은 L- 타입 CCB가 RNAi 치료제를 증강시키는 데 상당한 치료 잠재력을 가질 수 있음을 나타 냈습니다
이 연구는 L- 타입 CCB가 세포-침투 asiRNA (cp-asiRNA)의 세포 내 세포 흡수를 증가 시킨다는 것을 증명
이들 소분자는 시험 관내뿐만 아니라 랫트 피부에서의 생체 내에서 cp-asiRNA의 효능을 실질적으로 개선시켰다
이 연구는 치료 siRNA의 효과를 강화시키는 소분자를 식별하기위한 대체 약리학 적 접근법을 제공했습니다.

“OliX의 cp-asiRNA 기술은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asiRNA의 세포 내 전달을위한 최고의 독점 RNAi 트리거링 구조입니다. 우리는 RNA 간섭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유전자 침묵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해 임상 연구를 계속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초기 연구는 L- 타입 CCB가 이전 연구가 모두 시험관 내에서와 같이 생체 내에서 콜레스테롤-접합 된 siRNA의 효능을 효과적으로 향상 시킨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우리는 향후 치료 적용을 위해 국소 적으로 전달 된 siRNA 기반 약물의 새로운 부류의 합리적인 설계에서 L- 타입 CCB의 잠재력을 더욱 입증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OliX Pharmaceuticals, Inc.
OliX Pharmaceuticals는 독자적인 RNAi 기술을 기반으로 질병 유발 유전자의 발현을 하향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장애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하는 임상 단계 제약 회사입니다. 회사의 핵심 RNAi 플랫폼 인 비대칭 siRNA (asiRNA)는 가장 효율적인 유전자 침묵 기술로 간주되는 RNAi (RNA 간섭)를 기반으로하는 독특한 유전자 침묵 기술입니다. asiRNA 기술을 기반으로, OliX는 비대성 흉터, 건성 및 습성 연령 관련 황반 변성 (AMD), 망막 하 섬유증, 특발성 폐와 같은 국소 적으로 관리 가능한 질병을 효과적으로 표적으로하는 치료 RNAi 플랫폼 인 세포 투과형 asiRNA (cp-asiRNA)를 개발했습니다. 섬유증 (IPF) 및 신경 병증 통증. OliX는 또한 다양한 간 질환을 목표로하는 또 다른 치료 RNAi 플랫폼 인 GalNAc-asiRNA를 개발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226950) 올릭스 - (5) IR < Investor Relations 2020 >

 

자체 개발 RNA간섭 플랫폼 원천기술 기반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

다년간의 연구성과 기반, 축적된 파이프라인의 글로벌 시장 진출

R&D 및 임상시험, 사업화 영역 등 모든 단계별 전문인력으로 구성

세계적 석학으로 구성된 과학기술자문단이 R&D, 임상 개발 및 기술사업화 자문

저분자화합물(1세대), 항체(2세대) 신약 개발 기술의 경우 생성된 단백질에 작용

올리고 핵산(3세대) 신약 개발 기술의 경우 단백질 생성 전 단계에서 작용

RNA 간섭기술은 제 3세대 신약개발 기술인 올리고 핵산 기술로서

모든 질병 단백질에 대해 접근 가능하고 효율적으로 질병 유전자 발현 억제 가능

RNA간섭기술: 현실화된 가장 강력한 올리고 핵산 기술

기존 siRNA 구조적 단점으로 부작용 및 세포 내 전달 이슈 존재

asiRNA는 현재까지 가장 효율적인 유전자 조절 기술로 알려진 RNA 간섭 기술을 바탕으로

OliX가 개발한 독자적인 유전자 억제기술

기존 siRNA 치료제의 세포 내 전달 이슈 극복: 국소 투여 치료제 개발 플랫폼

올릭스의 비대칭 siRNA 기술에 간 표적 리간드인 GalNAc chemistry 도입 완료

다양한 난치성 희귀 질환 치료제를 중심으로 글로벌 RNA 치료제 개발 활발

글로벌 RNA 치료제 주요 기술이전은 2,000억원 이상 규모 Big Deal 14건 이상, 1조원 이상 규모 Mega Deal 7건 이상

플랫폼 기술 기반 신속한 후보물질 선정과 이론적으로 모든 유전자에 대하여 높은 효율로 발현억제 가능

RNA간섭 치료제 플랫폼 활용 다양한 난치성 질환 대상 치료제 개발

RNA간섭 치료제 플랫폼 활용 다양한 난치성 질환 대상 치료제 개발

외과수술 및 사고 등으로 진피층 손상 시 높은 비율로 비대흉터 발생

- 기존 치료법의 한계로 Unmet Medical Needs 존재

자체 개발 RNA간섭기술 플랫폼과 검증된 표적 유전자를 통해 우수한 효력 확인

건성 노인성 황반변성 및 망막하 섬유화증 관련 치료제 부재 및

습성 노인성 황반변성과 연관 발생하여 동시치료 신약에 대한 높은 상업적 가치 기대

치료제 부재한 건성 노인성 황반변성 및 습성 노인성 황반변성 동시 치료 가능한 First-in-class 치료제

프랑스 안과 전문기업 ‘떼아’에 총 807억원 규모 기술이전 계약 체결 (2019.03.15)

치료제 부재한 망막하 섬유화증 및 습성 노인성 황반변성 동시 치료 가능한 First-in-class 치료제

진단 후 3-5년 내 사망에 이르는 치명적 질환으로

기존 신약의 효과가 제한적, 근본적 치료제 수요 증가 될 전망

흡입제형을 이용한 폐섬유화 억제 효력 확인으로 비임상 독성시험 단계 진행

요약 재무제표

( 요약 재무상태표 , 요약 손익계산서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