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런 숫자를 보게 될 줄이야…김포공항 국제선 이용 9만→0명

1년 전엔 9만명 '북적'
코로나로 항공편 올스톱
지난주 여행객 한 명도 없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김포공항 국제선 여객 수가 '0'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9일 김포공항 국제선 탑승수속 창구가 텅텅 비어 있다. 

지난주 김포국제공항을 이용한 국제선 이용객이 단 한 명도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김포공항이 국제노선을 운영하기 시작한 1969년 10월 2일 이후 승객이 없어서 1주일간 국제선 비행기를 못 띄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9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지난주(3월 29일~4월 4일) 김포공항에서 환승객을 포함해 국제선을 이용한 승객은 0명이었다. 1년 전 같은 기간에는 8만9189명에 달했다. 1년 만에 한 주 9만 명가량의 승객이 김포공항에서 사라진 셈이다.

2001년 문을 연 인천국제공항으로 국제선을 모두 옮겼던 시기를 빼고 국제선을 띄우지 못한 사상 초유의 일이 벌어진 것이다. 국내 항공사 관계자는 “1997년 외환위기 때도 없었던 일”이라며 “항공산업이 ‘셧다운’ 상태라는 걸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김포공항뿐만 아니라 제주 청주 대구 무안 양양 등 대부분의 지방 공항에서도 지난주 국제선 이용객이 한 명도 없었다. 부산 김해공항이 그나마 유일하게 328명이 이용했다. 이마저도 1년 전보다 99.8% 감소한 것이다.

동북아시아의 허브공항으로 불리는 인천국제공항도 심각하다. 3월 마지막 주 국제선 이용객은 5만4618명에 그쳤다. 1년 전(132만1383명)과 비교하면 96%의 승객이 사라졌다. 3월 한 달간 인천공항 이용객은 지난해 1009만 명에서 174만 명으로 급감했다. 김포공항 국제선 이용객도 같은 기간 38만 명에서 1만 명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항공사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산업 전체가 붕괴 직전 상황에 몰렸다며 정부의 과감하고 신속한 지원을 호소했다. 국내 1위 대한항공은 비상경영체제에 들어가며 1만9000여 명 전 직원이 순환 휴직에 돌입했다. 2위 아시아나항공은 HDC현대산업개발의 인수가 무산되면 한두 달도 버티기 어려운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독일은 국적사인 루프트한자에 무제한 금융지원을 결정할 정도로 항공업을 살리려는 의지가 강하다”며 “연관 산업의 줄도산을 막기 위한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항공기 멈추자…기내→리무진→여행사 부도·실직 '연쇄 충격'
공항 국제선 95% 급감…무너지는 항공업 생태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국내 항공산업의 탈출구가 보이지 않고 있다. 항공사뿐 아니라 연관 산업들도 연쇄 도산 위기에 놓여 있다.

9일 기준 국내 항공사들이 보유한 374대 비행기 중 324대가 멈춰서 있다. 사람들이 공항에 가지 않으니 공항버스, 기내식업체, 여행사 등이 연쇄 충격으로 직원을 해고하기에 이르렀다. 정부가 지원에 손을 놓은 사이 국내 항공 생태계가 붕괴되고 있는 것이다.


○“5월 초 항공표 환불되면 버틸 곳 없어”

현재 운항 중인 9개 항공사가 고용하고 있는 인원은 3만9360명 정도다. 이 중 3분의 1이 휴직 상태다. 항공사들은 비행기가 뜨지 않으니 매출이 없고 월급을 줄 돈이 없으니 무급 또는 유급 휴직을 강제하고 있다. 경영난이 가장 심각한 이스타항공은 희망퇴직 신청을 받은 뒤 그래도 남는 인원은 해고한다는 방침까지 세웠다. 국내 1위 항공사 대한항공은 월 6000억원의 매출 손실을 보고 있다.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은 최근 김포~제주 등 일부 국내 노선을 늘리면서 기지개를 켜고 있지만, 시장 상황이 좋아져서라기보다 운영비를 대기 위한 것이라는 게 LCC들의 설명이다. 한 LCC 관계자는 “김포~제주의 경우 비행기가 한 번 뜨면 1000만원을 벌어야 손익분기점이 되는데, 요즘엔 3000원짜리 표가 넘쳐난다”며 “100명을 태워도 30만원이란 얘긴데, 손실을 보더라도 현금을 구하기 위해 운영하고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

국내 항공사들은 일본의 연휴가 있는 다음달 초를 두려워하고 있다. 코로나19 전에 예매한 항공권을 아직 취소·환불하지 않은 채 보관하고 있는데, 코로나19 사태가 지속되면 이들 예매가 한꺼번에 취소될 수 있어서다. 다른 LCC 관계자는 “손실을 감내하고 버티고 있는데, 다음달 환불 사태가 이어지면 현금 흐름이 막혀 LCC 중 몇 곳은 손들고 나갈 수 있다”고 했다.

○84만 개 항공산업 일자리도 위험

항공사들이 이렇게 버티고 있는 사이 기내식, 리무진, 청소, 여행사 등 연관 산업들은 연이어 쓰러져 가고 있다. 대한항공에 기내식을 대는 한 협력회사는 최근 직원 1800명 중 1000명을 권고사직 형태로 내보냈다. 기내 청소를 담당하는 이케이(EK)맨파워는 단기계약직 52명을 정리해고한 데 이어 정규직 300명을 추가 해고할 계획이다. 아시아나항공의 협력업체인 아시아나KO는 무기한 무급휴직을 한다고 공지했다. 공항 리무진 업체들도 버스 운행을 70% 줄이고 인원을 줄였다. 비행기가 뜨지 않자 벌어지는 일들이다.

한국을 찾는 해외 관광객이 없어지고, 한국 관광객마저 해외로 나가지 못하게 되자 정부에 고용유지 지원금을 신청한 관광업체도 2000여 곳에 달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2017년 기준 국내 항공산업 일자리는 83만8000개에 달한다. 항공사와 공항 등 직접고용 형태의 일자리가 15만8000개고, 항공 관련 제품과 서비스를 고용하는 간접고용 일자리는 21만5000개다. 나머지는 관광 등의 일자리다. 항공산업이 창출하는 부가가치는 연간 476억달러(약 58조원)에 달한다.

○“정부 지원 절실”

항공 셧다운 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한국공항공사 관계자는 “지난달 30일부터 하계 스케줄이 시작됐는데, 입국 제한 때문에 이달 24일까지 국제선 운항이 전혀 없다”며 “25일 이후에도 재개할지 여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항공업계는 정부가 항공산업에 대한 대책을 내놓을 것을 간절히 바라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항공사들도 유·무급 휴직, 자발적 급여 반납 등 고통을 분담하며 뼈를 깎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으나 이로는 부족한 상황”이라며 “코로나19가 항공산업의 잘못이 아닌 만큼 산업 기반이 붕괴되지 않도록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다른 국가 정부들은 항공업을 미래 산업으로 보고 수십조원을 넣는 등 막대한 지원을 하는데 현재 정부 지원은 너무 초라하다”고 덧붙였다.

그나마 정세균 국무총리의 지난 8일 발언을 계기로 현실적인 지원책이 나올 것으로 항공업계는 기대하는 눈치다. 정 총리는 “코로나19 사태로 가장 피해를 많이 본 업종은 ‘모빌리티’(이동수단)로 비행기(항공) 쪽은 80% 이상, 관광과 숙박 쪽 피해도 크다”며 “이 부분은 국가적 차원에서 흑자도산을 막기 위해 가능한 모든 정책을 취한다는 원칙을 갖고, 해당 부처와 협의를 통해 적절한 조치를 하겠다”고 언급했다.

 

면세점 명품 매출 74억→1억원…까르띠에·티파니 '사실상 제로'

3월 매출, 1월보다 90% 감소
관광객·내국인 발길 '뚝'
백화점 명품관도 '비명'

도도하던 명품업계마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고개를 떨구고 있다. 주요 판매처인 면세점의 지난 3월 매출이 연초 대비 90% 이상 고꾸라지면서 ‘철수설’까지 나도는 브랜드도 있다.

9일 한국경제신문이 롯데 신세계 신라 등 3대 주요 면세점에 입점한 명품 시계·주얼리 브랜드의 매출을 긴급 조사한 바에 따르면, 까르띠에 티파니 태그호이어 브라이틀링 등 유명 브랜드 매장의 지난달 매출 감소폭이 1월 대비 90%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제로’를 기록한 곳도 있었다.

시계·주얼리업계 부동의 1위인 까르띠에의 롯데면세점 소공점 매출은 1월 74억원대에서 3월 1억4000만원대로 98% 줄었다. 티파니(-97%) 피아제(-92%) 불가리(-93%) 등 대부분 주얼리 브랜드가 90% 이상 떨어졌다. 시계 전문 브랜드의 타격도 컸다. 브라이틀링의 3월 매출(현대 무역센터점)은 1월보다 76% 줄었고 티쏘는 99% 급감했다. 위블로, IWC, 라도 등은 신세계면세점 명동점에서 3월에 매출을 아예 내지 못했다. 론진(-98%) 몽블랑(-99%) 등 인기 브랜드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명품업계 관계자는 “전체 명품 매출의 70~80%를 차지하는 면세점에 여행객과 내국인 발길이 뚝 끊기면서 명품 시장이 개점휴업 상태가 됐다”고 말했다.

내수 소비를 가늠할 수 있는 백화점에서도 명품 매출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백화점과 신세계백화점의 지난달 명품 부문 매출은 지난해보다 각각 19.3%, 10.7% 감소했다.

문제는 언제쯤 소비심리가 회복될지 알 수 없다는 데 있다. 시계업계에 15년째 근무하고 있는 한 마케팅 담당자는 “하반기에 중저가 명품 브랜드 몇 곳이 한국에서 철수할 수 있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며 “명품 브랜드가 한국에 들어온 이후 지금이 최대 위기”라고 했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베인&컴퍼니는 코로나19로 인해 올해 세계 명품 시장 규모가 지난해보다 최대 35% 쪼그라들 것으로 전망했다.


승승장구하던 면세점·명품 브랜드 '코로나 직격탄'
일부 명품 철수說


불황을 모르고 승승장구하던 국내 명품 시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았다.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때도 이렇게 어렵진 않았다” “한국 진출 후 이런 불황은 처음”이라는 매장이 한둘이 아니다. 한 달 매출이 ‘제로(0)’인 브랜드도 있다. 철수설이 나도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면세점 매출 초토화

명품 브랜드들은 전체 매출의 70~80%를 면세점에서 올리는 곳이 많다. 고가 브랜드일수록 ‘큰손’인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면세점 매장을 백화점보다 더 많이 운영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코로나19로 2월부터 면세점 매출이 뚝 떨어졌다.

지난달 인천국제공항 이용객 수는 약 61만 명. 지난해 같은 달(588만 명)의 10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코로나19 이전에 하루 10만 명을 넘던 이용객 수는 이달 들어 5000명 밑으로 떨어졌다. 2001년 개항 이래 최저 수준이다.

손님이 끊기면서 면세점은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다. 최근 들어 코로나19 위험을 감수하고 면세점 매출을 올려주던 중국인 보따리상(따이궁)까지 발길을 끊으면서 상황이 더 심각해졌다. 따이궁이 중국과 한국을 오가면서 영업하려면 각 국가에서 14일씩 총 28일간 격리돼야 한다. 사실상 활동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따이궁은 서울 시내면세점 매출의 70% 이상을 올려주는 큰손이다.

증권업계에선 롯데·신세계·신라 등 주요 면세점 매출이 지난 1분기 적자 전환한 것으로 추산했다. NH투자증권은 신라면세점을 운영하는 호텔신라의 1분기 손실액을 281억원으로 추정했다. 유안타증권은 신세계면세점의 1분기 적자 규모를 261억원으로 제시했다.

고가 주얼리 매출 급감

면세점 입점 브랜드 중 고가 브랜드들이 더 큰 타격을 입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업계 관계자는 “고가 브랜드들은 큰손인 외국인을 겨냥해 면세점 매장을 더 많이 보유하고 있다”며 “백화점보다 면세점 매출 비중이 높은 브랜드일수록 타격은 더 크다”고 설명했다.

까르띠에의 롯데면세점 소공점, 신세계면세점 명동점 등 주요 채널 3월 매출이 연초 대비 97~99% 급감한 것은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잘 보여준다. 티파니, 쇼파드, 불가리, 골든듀 등 다른 고가 주얼리 브랜드들도 상황은 비슷하다. 티파니는 롯데면세점 소공점에서 3월 매출이 1월보다 97% 줄었고 신세계면세점 명동점에서도 매출이 99% 감소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국내 면세점업계가 큰 타격을 입고 있는 가운데 9일 서울의 한 시내면세점 입구가 한산하다. >

IWC·오메가는 3월 한 개도 못 팔아

시계 전문 브랜드들도 직격탄을 맞았다. 브라이틀링은 현대백화점면세점 무역센터점에서 3월 매출이 1월보다 76% 줄었다. 같은 매장에서 티쏘는 무려 99%나 매출이 급감했다. 3월 매출 ‘제로’를 기록한 브랜드도 있다. 신세계면세점 명동점에선 위블로, IWC, 브라이틀링, 오메가, 라도 등이 3월에 매출을 내지 못했다. 소비자들이 해외여행을 취소하면서 반품이 들어온 브랜드들은 시계를 한두 개 팔았어도 매출 0원을 기록하거나 적자를 냈다.

몽블랑의 신세계면세점 명동점 시계 매출도 99% 줄었고 예거르쿨트르가 -98%(현대 무역센터), 론진이 -98%(현대 무역센터), 태그호이어가 -97%(신세계 명동) 매출이 고꾸라졌다.

백화점 명품 매출도 감소

백화점도 형편이 좋은 것은 아니다. 롯데백화점의 1월 명품 부문 매출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28.1% 증가했다. 그러나 2월엔 6%로 줄었고, 3월엔 -19.3%로 돌아섰다. 신세계백화점도 비슷한 모습이다.

문제는 이 같은 상황이 단기간에 그치지 않을 것이란 데 있다. 한 시계 브랜드 관계자는 “벌써부터 매출이 저조한 몇몇 브랜드에서 한국 철수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세계 명품 시장 전망도 불투명해졌다. 글로벌 경영전략 컨설팅업체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올해 세계 명품 시장 규모를 지난해 3500억달러(약 426조원)보다 1200억달러 줄어든 2300억달러로 예상했다. 지난 2월엔 작년보다 40억달러 감소한 3460억달러로 예상수치를 발표했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하자 이를 수정한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