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로나19 바이러스 '바이오센서 로 1분만에 진단'…

기초과학지원연구원, 그래핀 센서 코로나 바이러스와 결합시 전류 세기 변화 감지

국내 연구진이 첨단소재인 그래핀을 이용한 바이오센서로 1분만에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을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

환자의 코에서 채취한 검체를 그래핀과 항체가 있는 센서에 시험하는 과정.

검체 속 바이러스가 항체와 결합하면서 전류가 미세하게 달라지고 이를 그래핀이 포착한다./ACS Nano

박창균·김승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박사 연구팀은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 기반의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고 최근 ACS 나노 논문을 통해 밝혔다. 평평한 판 모양으로 생긴 이 센서는 바닥에 코팅된 그래핀 층과, 그 위에 코로나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과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특정 항체로 이뤄졌다.

이 센서는 항체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결합하면 FET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했다. 전류의 변화가 미세하지만, 전기가 잘 통하는 그래핀을 사용해 센서가 미세한 변화도 감지할 수 있도록 했다.

연구팀이 면봉으로 코에서 채취한 검체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이 센서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결합되자 1분도 안 돼 그래프상 전류의 세기가 변하는 모습을 보였다. 1분 만에 코로나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는 셈이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그래핀 기반의 센서는 간단하고 신속한 검사를 가능케 한다"고 했다. 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를 구별할 수도 있다"며 "(이 센서가) 코로나 바이러스를 매우 민감하게 검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했다.

다만 연구팀은 "보다 정확한 탐지를 위해서는 새로운 FET 센서 재료 개발이 필요하다"고 했다. 매우 미세한 전류 변화를 정확히 감지해야 하는 만큼 상용화를 위한 과제들이 남아있다는 것이다.

신기술 국내 연구팀 개발

기초과학지원연 김승일 박창균 박사팀
전기 잘통하는 그래핀 위에 항체 결합
코로나 바이러스 결합하면 전류 변화
바이러스 신호와 잡음 구분이 과제

벌집 모양의 그래핀 위에 바이러스에 결합하는 항체(파란색)을 붙인 새로운 코로나 진단기기.

항체에 코로나 바이러스의 돌기가 결합하면 그래핀에 흐르는 전류가 달라져 바로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다./ACS Nano

국내 연구진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1분도 안돼 진단하는 바이오 센서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의 유전자 검사는 물론, 항체 검사법보다 훨씬 간편해 상용화되면 코로나 감염 환자를 조기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의 박창균, 김승일 박사 연구진은 미국 화학회(ACS)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지에 “면봉으로 코에서 채취한 검체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있는지 1분 안에 알아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현재 코로나 진단은 면봉으로 코에서 채취한 검체에서 바이러스 유전자가 있는지 알아보는 유전자 검사 방식을 쓴다. 이 경우 검체에 극미량 있는 유전자를 증폭하는 과정이 필요해 진단까지 최소 3시간이 걸린다.

최근 새로 개발된 혈액 검사법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단백질(항원)을 키트에 붙여놓고 혈액에 이에 대항하는 면역물질인 항체가 있는지 알아보는 방식이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몸에 항체에 형성됐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혈액 검사법은 증상이 없는 감염자도 가려낼 수 있지만 피를 뽑아야 하고 아직 신뢰성을 인정받지 못해 널리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연구진은 기존 진단 방식의 단점을 바이러스 항체로 해결했다. 먼저 센서 바닥에 전기가 잘 통하는 그래핀을 깔았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가 6각형 벌집 모양으로 연결된 평평한 판(板) 형태 물질로 전기가 구리보다 100배 더 잘 통한다. 그 위에 코로나 바이러스의 돌기(스파이크) 단백질에 결합하는 항체를 붙였다. 이 항체에 환자의 검체에 있는 바이러스가 결합하면 전류가 미세하게 달라지는데 그래핀은 워낙 전기가 잘 통해 이런 변화도 감지할 수 있다.

연구진은 코로나 감염 환자와 건강한 사람의 코에서 채취한 검체를 새 센서로 검사했다. 아무런 준비 과정 없이도 바이오 센서는 환자와 건강한 사람을 정확하게 구분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하지만 상용화까지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연구진은 “아직 유전자 진단키트가 민감도에서 이번 바이오 센서보다 2~4배 나은 상황”이라며 “새로운 재료를 쓰면 바이러스 결합 신호와 주변 잡음을 더 잘 구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센서에는 중국에서 개발한 코로나 바이러스 항체를 썼다. 전문가들은 코로나 바이러스와 더 잘 결합하는 항체를 개발하면 진단 정확도가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반응형
반응형

(019170) 신풍제약 - (2) 제품정보

 

 

신제품

 10개의 제품이 있습니다.

 

전문의약품

 177개의 제품이 있습니다.

 

일반의약품

9개의 제품이 있습니다.

 

의료기기

2개의 제품이 있습니다.

 

자체원료합성제품

 

의약품 재평가

 

의약품 안정성평가

 

반응형
반응형


(065660) 안트로젠 - (1)






동사는 2000년 3월 설립된 바이오 벤처기업으로, 바이오 의약품의 일종인 세포치료제 중 다양한 조직의 세포로 분화하는 능력을 가진 줄기세포를 기반으로 치료제를 개발 및 생산하고 있음.

세계 최초로 희귀질환인 크론성 누공 질환에 대한 지방유래 줄기세포치료제인 큐피스템을 개발하였으며, 현재 시판중임.

주요 파이프라인으로는 당뇨병성 족부궤양 치료제(미국 임상 2상), 이영샹성수포성 표피박리증 치료제(일본 임상 완료)가 있음.





미국 Wagner grade II 임상 스타트


주주여러분께 공지말씀 드립니다.

미국에서 진행되는 중증 당뇨병성족부궤양 Wagner grade II 임상에 대한 임상준비과정(IND 승인 후 CRO 기관선정, 임상시험센터 선정, 임상시험기관센터와의 계약, 연구비 협의 등)을 마치고 본격적으로 임상을 시작함을 알려드립니다.

당뇨병성족부궤양은 궤양의 침투 정도에 따라 Wagner Grade I~V까지 구분됩니다. Wagner Grade I 등급의 비교적 경증인 당뇨병성족부궤양에 비해 근육, 힘줄, 관절막까지 궤양이 침투한 Wagner Grade II 등급의 중증 당뇨병성족부궤양은 회사가 파악하기로는 미국 FDA로부터 정식으로 허가 받은 의약품이 없습니다.

Wagner Grade II 등급의 중증 당뇨병성족부궤양의 최종 치료목적은 궤양부위의 상처를 치유하는동시에 족부 절단율(Amputation rate)과 재발을 낮추는 것입니다.
ALLO-ASC-Sheet는 국내 2상 임상시험에서 2년 추적 관찰한 결과 재발율이 0으로 그 치료효과가 뛰어남이 입증된 제품입니다.

또한 2상 및 3상 임상시험에 사용한 제품과 최종시판제품은 동일한 품질의 제품이어야 합니다.  당사는 지난 2년간 불철주야 노력하여 이러한 규격확보에 성공하였고 FDA의 승인을 받아 미국의 5개의 센터에서 임상을 시작합니다.

중증 당뇨병성족부궤양 Wagner grade II 임상은 총 64명을 대상으로 5개의 기관에서 진행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안트로젠 기업실적분석




안트로젠 뉴스보도



안트로젠 뉴스내용



안트로젠(065660)은 지난해 영업손실이 29억원으로 전년 대비 손실이 19% 늘었다고 20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41억원으로 15% 늘었고, 당기순손실은 48억원으로 402% 증가했다.




안트로젠은 중증 당뇨병성족부궤양(와그너 2급)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미국 임상 2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고 16일 밝혔다. 줄기세포치료제 'ALLO-ASC-Sheet'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안트로젠은 지난 해 9월 미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이번 임상을 허가받았다. 이후 임상위탁기관(CRO) 선정, 임상기관 선정 등을 마치고 2상을 시작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당뇨병성족부궤양은 궤양의 침투 정도에 따라 와그너 1~5급까지로 구분된다. 1급은 비교적 경증이다. 2급은 궤양이 근육 힘줄 관절막까지 침투한 중증으로, FDA로부터 정식으로 허가 받은 의약품이 없다고 회사 측은 파악하고 있다.

최종 목적은 궤양 부위의 상처를 치유하는 동시에 족부 절단율과 재발을 낮추는 것이다. 'ALLO-ASC-Sheet'는 국내 2상 임상시험에서 2년을 추적 관찰한 결과, 재발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트로젠 측은 "2상 및 3상 임상시험에 사용한 제품과 최종 시판제품은 동일해야 한다"며 "회사는 지난 2년간 이러한 규격 확보에 성공했고, FDA의 승인을 받아 미국 5개의 센터에서 임상을 시작한다"고 했다. 이번 임상은 총 64명을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안트로젠은 CSK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를 공동 개발하기로 합의했다고 17일 밝혔다.

CSK는 바이러스복제를 억제하는 신규물질을 이용해 미국과 한국에서 공동으로 항바이러스 신약 개발을 진행하는 벤처다. 현재 미국 조지아 주립대 및 미국 뉴욕주립대 업스테이트 의대(SUNY)와 여러 종류의 항바이러스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특히 재발성 대상포진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데, 15개의 후보물질을 합성해 업스테이트 의대와 시험관내 시험(in vitro)을 진행하고 있다.

약물 발굴, 설계 및 합성을 담당하는 조지아 주립대 합성팀은 이들 신규후보물질 중에서 몇 개의 물질은 분자구조상 코로나19 치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이들의 유효성시험을 미국 국립보건원(NIH)에 요청한 상태다. NIH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in vitro' 유효성 시험법이 확립돼 있다는 설명이다.

CSK는 NIH에서 실시하는 유효성 시험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를 도출할 경우, 이 화합물을 코로나19 치료제로 안트로젠과 함께 개발하기로 합의했다. 안트로젠은 항바이러스 치료제의 글로벌 개발 경험을 가지고 있어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CSK은 데일리파트너스 컴퍼니K 네오플럭스 SL인베스트먼트 등에서 투자받았다. 현재 개발중인 신규 물질은 CSK와 조지아 주립대가 특허권을 공동 소유하고 있다.



안트로젠 현재주가




한줄요약: 어려운 장세로 인한 나은 가격, 믿을만한 투자처와 해당기업의 기술력 그리고 호재뉴스까지!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