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빚투·영끌'에 가계부채 126조 급증...빚 내용·속도 모두 나빠졌다.

가계 빚 1700조 돌파...증가율도 7.9%로 가팔라져
빚 대부분 투자 자산에 흘러가...소비 촉진 효과 미미
실물 경기 바닥 속 '빚 잔치'...경제 뇌관 될라 불안

코로나19가 휩쓸고간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126조원 가까이 증가해 역대 두 번째로 높았다.


코로나19 여파로 생활고를 겪는 가계가 늘고 부동산 '영끌 대출(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에 ‘빚투(빚내서 주식 투자)'까지 급증하면서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 빚 증가액이 전년 대비 2배 가까이 늘어나 사상 처음으로 1,700조원을 넘어섰다.

가계 빚 대부분이 경제 활력을 이끌 수 있는 소비와 큰 관련이 없는 데다가, 빚 규모도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빚 자체의 내용뿐 아니라 증가 속도도 악화됐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특히 가계부채 규모가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규모에 육박하는 등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확대돼, 향후 우리경제 전체를 흔들 수 있는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가계부채 126조 급증... 전년比 증가폭 2배

가계신용 추이.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0년 4분기 가계신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가계신용(부채) 잔액은 1,726조1,000억원으로 전년도 말에 비해 125조8,000억원 늘었다. 126조원에 달하는 연간 증가폭은 부동산 대출 규제를 대폭 완화해 가계부채가 크게 늘었던 2016년(139조4,000억원) 이후 최대 액수이며, 역대 두 번째다.

2019년 가계부채 연간 증가액이 63조6,000억원에 그쳤던 것을 고려하면 1년 만에 빚 증가 규모가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규모도 그렇지만, 증가 속도가 너무 빨라지고 있다는 게 더 큰 문제다. 당국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강력한 '가계 대출 옥죄기'에 들어갔지만, 가계대출 증가율은 오히려 4% 안팎에서 7% 후반까지 치솟았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지난해 4분기 가계부채 연간 증가율(7.9%)은 2017년 4분기 이후 최대치"라며 "증가 규모 자체도 2003년 통계편제 이후 역대 세 번째로 클 정도로 가계부채가 빠른 속도로 불어났다"고 분석했다.

가계 빚 내용 자체도 좋지 않다. 가계 대출 대부분이 위험 자산인 주식이나, 부동산 투자에 사용되면서 경제 선순환을 이끌 수 있는 소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실제 가계신용은 금융기관에서 직접 대출한 '가계대출'과 자동차 할부금이나 신용카드 이용액 등 외상 대금을 의미하는 '판매신용'으로 나뉘는데, 지난해는 판매신용이 2,00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는 전년도(5조6,000억원)에 비하면 30분의 1에 불과한 규모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소비 습관이 신용카드에서 온라인 중심으로 늘어난 영향도 있겠지만, 지난해 해외여행이 급감하고 오프라인 중심 소비가 줄면서 판매신용 증가액이 급감한 것으로 보인다"며 "소비가 살아나지 않는 상황에서 자산으로 부채가 집중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 구조"라고 말했다.

영끌·빚투 합작... 제2은행권·증권사에서도 빚냈다

이달 초 한 시민이 서울의 한 부동산중개업소에 붙어 있는 매물 정보를 보고 있다. 재건축 규제 완화 기대감과 전셋값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서울 아파트값이 7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천정부지로 치솟은 부동산 가격과 하반기부터 본격화한 주식투자 열풍은 가계빚 폭증의 1등 공신이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생활자금 수요도 부채 증가에 한몫했다. 실제로 지난해 전체 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67조8,000억원,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 증가액은 57조8,000억원을 기록하며 각각 전년도 대비 2~3배나 규모가 커졌다.

특히 1분기 1조9,000억원에 불과했던 기타대출의 경우 본격적으로 '빚투(빚내서 투자)'가 시작된 3분기부터 큰 폭으로 늘어나 4분기엔 24조2,000억원까지 몸집을 키웠다. 가계부채 총량 관리를 위해 금융당국이 11월 말부터 대출 규제 고삐를 세게 쥐기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한 분기 만에 2019년 연간 증가액 규모를 넘어선 것이다.

송 팀장은 "11월 가계 신용대출에 대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추가 규제 등의 발표가 있었지만, 규제가 어느 정도 효과를 보일 때까지는 시간이 걸리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제2금융권(비은행예금취급기관)과 증권사 대출이 유난히 큰 폭으로 늘어난 것도 주식시장을 향한 '빚투'와 '영끌'의 영향으로 보인다. 지난해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 등을 포함한 비은행예금취급기관에선 신용대출이 11조6,000억원이나 늘어나면서 전년의 2배 가까이 증가폭을 키웠다.

기타금융기관 중에서는 증권회사가 포함된 기타금융중개회사의 대출액이 가장 크게 늘었다. 특히 개인들이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회사에서 빌리는 신용공여액이 2분기 이후 비중을 키우며 해당 항목 대출 증가액이 전년도 3조9,000억원에서 지난해 26조3,000억원으로 눈에 띄게 늘어났다.

실물경제는 여전히 바닥인데... 금리 오르면 어쩌나

지난달 서울 서대문구 대현동 이화여대 인근 거리의 한 상점에 전기 사용 계약 해지 안내문과 미납액 고지서가 부착돼 있다. 지난해 민간소비는 서비스(음식숙박·운수)와 재화(음식료품 등) 소비가 모두 위축돼 전체적으로 1.7% 감소했다. 

가계부채는 매해 증가해왔지만, 코로나19라는 전대미문의 상황 속에서 벌인 지난해의 '빚잔치'는 부실 위험이 유난히 크다.

소비, 고용 지표가 좀처럼 회복되지 않는 등 실물 경기가 바닥을 기고 있는 상황에서 자산 가격 거품은 커져만 가고, 시장금리 인상 부담까지 떠안게 됐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갚기 어려운 빚'이 과도하게 늘어난 셈이다.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가계부채 증가규모 자체는 2016년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그때와의 차이점은 아직 실물경기 회복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점"이라며 "아직은 금리가 낮아 부채 수준이 금융권에 부담이 될 정도는 아니지만, 시장 금리가 높아지면 저소득 차주들을 중심으로 부실 위험이 눈덩이처럼 커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반응형
반응형

JP모건 (JP Morgan Chase & Co) 3200 전망

금융투자업계에선 JP모건의 내년 코스피의 목표치를 3200포인트로 예상한다는 내용의 보고서가 공개

국내 증권사의 최고 전망치인 3080포인트(대신증권)보다 높고,

지난달 골드만삭스가 내년 말 코스피지수가 2800선에 달할 것이란 전망보다도 400포인트 높은 수치

JP모건은 "내년 신흥국 증시가 강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한국 증시의 상승 여력이 특히 높다"며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시중 유동성이 주식 시장으로 집중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

다만 시장에선 국내·외 금융사들의 전망이 내년도를 기준으로 하고 있고,

단기 급등 부담에 따른 조정도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코스피가 단기적으로 너무 올라서 숨고르기 올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주가가 많이 올라서 안 쉬고 가느게 이상할 정도 많이 올라갔다"며 "시장은 아무리 좋아도 쉬면서 가는 것"이라고 조언

"내년 코스피 3200 간다…부동산 규제로 주식투자 선호"

글로벌 투자은행인 JP모건이 내년 한국의 코스피 지수가 3200선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에 따른 주식 투자 선호와 주요 성장기업의 기업공개(IPO) 등이 내년도에도 증시를 이끌 것이라는 분석이다.

JP모건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보고서를 통해 내년 말 코스피 지수 목표치를 현재보다 17% 오른 3200선으로 제시했다. JP모건은 “2021회계연도에 한국기업의 영업이익이 2019회계연도보다 50% 이상 개선될 것이고 모든 업종의 이익이 견고하게 증가할 것”이라며 이렇게 전망했다.

MSCI코리아 지수에 포함된 비금융기업 중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합한 비중이 25%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함께 주주 환원정책 강화와 ESG(환경·사회적 책임·지배구조)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기업 지배구조가 개선되고 안정적인 이익 구조가 더해지면서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증시를 끌어올리는 구체적인 요인으로는 △부동산시장 규제에 따른 투자 선호 △주요 성장기업의 IPO △바이든 행정부 정책 수혜 △정부의 집값 억제 정책 △코로나19 백신 △K-콘텐츠의 존재감 △전자상거래 시장의 구조적 성장 등 일곱 가지를 꼽아 한국 정부의 부동산 규제 정책이 증시를 부채질하는 주 요인이 될 것으로 봤다.

"3200 간다" vs "IT버블 수준"

'2021년 투자전략' 수정 보고서 "내년 코스피 상단을 3000포인트로, 종전보다 300포인트 상향한다." 

내년 코스피 예상 등락범위 최고점을 2700으로 잡았는데, 최근 코스피가 2700선을 뚫어냈기 때문.

 "코스피 기업의 순이익 전망치가 10% 늘어난 점을 반영했다"

코스피가 연일 최고점을 새로 쓰자 증권가에선 장밋빛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코스피가 내년에 3200까지 오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주가가 짧은 기간 너무 뛰다 보니 코스피가 조만간 조정을 받을 것이란 목소리도 있다.  

낙관론 팽배…일부 "내년 3200 갈수도"

낙관론의 근거는 ▶시중에 풀린 막대한 유동성 ▶달러 약세 장기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치료제 기대 ▶경기 정상화와 기업 실적 회복 가시화 ▶부동산 규제에 따른 주식투자 선호 등이 꼽힌다. JP모건은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낙관론과 기업 실적 회복 가시화 등으로 인해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현상이 축소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수급 전망도 나쁘지 않다. "외국인의 국내 주식 매수 여력이 아직 남은 것으로 본다"며 "외국인이 11월 이후 7조원가량 순매수했지만, 이는 올해 1~10월 순매도액의 25% 수준에 불과하다"고 분석했다. 정부가 주식 양도세 과세 대상 대주주 기준을 현행 10억원을 유지하기로 하면서 개인 투자자의 연말 대규모 매도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한풀 꺾인 상황이다.  "2009~2011년의 차화정(자동차·화학·정유주) 랠리와 비슷한 '차화전'(자동차·화학·전자) 랠리가 펼쳐질 것"

신중론 고개…"백신 기대감 소멸 후 조정 가능"

반면 신중론자의 생각은 다르다. 증시 흐름에 대해 "오버슈팅(단기 과열) 성격이 짙다"는 걱정이 크다. 먼저 단기 급등 우려다. 코스피는 지난 3월 연저점(1457.64) 대비 9개월 만에 88%나 상승했다. 같은 기간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와 일본 닛케이는 60~70% 올랐다. "주가가 기초체력에 비해 너무 많이 올랐다"며 "국내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시가총액이 평균 추세치를 벗어났는데, 이는 2000년 IT 버블 때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분석. "코로나19 불확실성도 여전히 남아 있다",  "백신이란 재료가 소진되면 백신 접종 부작용, 거부 움직임 등 부정적 소식이 나와 장이 조정받을 수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 여부도 부담 요인이다.  
 
이코노미스트는 "지금은 주가가 기대감만으로 올라간 상태다. 내년에 경기가 굉장히 좋지 않고선 올라간 가격대를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