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부동산 폭등…거품 꺼지면 '2차 충격' 온다.

팬데믹 1년…국가경쟁력을 다시 생각한다
유동성 함정에 빠지나

작년 늘어난 유동성만 7350

초저금리에 주식·부동산 高高
성장률은 외환위기 후 첫 마이너스
자산시장-실물경제 괴리 심각

지난해 3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팬데믹(대유행)으로 번지자 각국은 기준금리를 제로(0) 수준으로 낮추고 대규모 자금을 방출했다. 경제가 급속도로 가라앉는 것을 막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조치였다. 하지만 그 여파로 주식과 부동산 등 자산가격이 치솟는 부작용이 발생했다. 자산시장은 초호황인 반면 실물경제는 여전히 차가운 괴리 현상이 새해 들어서도 이어지고 있다. 일각에선 코로나19가 주춤해지고 각국 중앙은행이 유동성을 회수하면 자산 거품이 꺼져 ‘2차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유동성 홍수…美 4200조원 늘어

한국경제신문이 국제통화기금(IMF)과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미국,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일본, 한국 등에서 광의의 통화량(M2)은 7350조원 증가했다. 역대 최대 규모다. 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등 단기 금융상품을 포함한 넓은 의미의 통화지표를 가리킨다.

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해 각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치로 내리는 동시에 시중에서 채권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유동성을 쏟아낸 결과다. 한국의 지난해 말 M2 31998357억원으로 2019년 말보다 2862261억원(9.8%) 늘었다. 증가폭 기준으로 통계를 작성한 1960년 후 최대치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3월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5월 사상 최저인 연 0.50%로 내린 영향이다. 지난해 3월부터 국고채를 사들이는 등 79조원을 시중에 공급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미국은 지난해 3월 연 1.50~1.75%였던 기준금리를 두 차례 인하해 연 0~0.25%로 낮췄다. 동시에 양적완화를 시행해 9개의 유동성 매입기구를 세워 국고채 등을 사들여 시중에 달러를 공급했다. 미국 M2는 지난해 말 192898억달러로 전년 말보다 24.9%(4조8542억달러·약 4200조원) 늘었다.

2016년 3월부터 제로금리를 유지하고 있는 유로존은 코로나19 직후 양적완화로 대응했다. 지난해 3월부터 자산매입프로그램(AAA)으로 1조3500억유로(약 1800조원)를 시중에 공급한 결과 M2는 지난해 말 144920억유로로 전년 말보다 11.5%(1조4965억달러·약 2000조원) 불었다. 일본의 지난해 M2 증가 규모는 821000억엔(약 870조원)으로 집계됐다.

과열된 증시, 급랭한 경기

홍수처럼 불어난 유동성은 자산시장으로만 흘러들고 있다. ‘유동성 장세’를 바탕으로 세계 각국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는 중이다. 미국 나스닥지수는 지난해에만 43.6% 뛰었다. 테슬라(743.3%), 엔비디아(121.9%), 애플(80.7%) 등 기술주는 지난해 폭등했다. 지난해 한국 코스피지수는 30.8%, 일본 증시도 16.5% 뛰었다. 갈 곳 잃은 유동성은 원자재 가격도 밀어 올렸다. 구리(41.6%), 콩(39.5%), 금(16.4%) 등이 지난해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한국 아파트값도 치솟았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3.3㎡당 4033만원으로 2019 12월(3352만원)보다 20.3%(681만원) 상승했다.

불어난 유동성은 자산가격을 띄웠지만 실물경제는 얼어붙었다. 한국(-1.0%), 미국(-3.5%), 유로존(-6.8%), 일본(-4.8%) 등의 성장률이 줄줄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각국은 당분간 ‘완화 정책’을 이어갈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115조원 규모의 대출 원리금 유예조치 종료 시점을 올 3월 말에서 9월 말까지 또 연장할 방침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코로나19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산업 구조개혁과 규제 혁파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인호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산업 구조조정이 빠르게 진행되는 이른바 ‘청소 효과’가 촉진돼야 한다”며 “정부가 기업이 투자하고 사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규제를 풀어 시장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대책도 필요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달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수익성을 끌어올리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반응형
반응형

중국 CATL, 현대차 E-GMP 3차 물량도 따내…국내 배터리 3사 위협

현대자동차(005380)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3차 배터리 공급사로 SK이노베이션과 중국의 CATL이 선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아이오닉 브랜드 제품 라인업 렌더링 이미지. 왼쪽부터 아이오닉6, 아이오닉7, 아이오닉5./현대자동차 

2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2023년 이후 출시하는 전기차 플랫폼 E-GMP 3차 물량의 배터리 공급사로 중국 CATL SK이노베이션을 선정해 최근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의 CATL은 이번에 발주된 3개 차종 가운데 2개 차종의 배터리를, SK이노베이션은 1개 차종을 따낸 것으로 알려졌다.

3차 물량 규모는 당초 알려진 20조원 보다는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E-GMP 3차 물량은 아이오닉7과 기아 스포츠유틸리티차(SUV) 3개 차종 등 총 4개 차종이 발주됐으나 아이오닉7이 빠지면서 규모가 9조원대로 축소됐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아이오닉7의 배터리는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인도네시아에서 추진중인 합작법인(JV)에서 생산할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

이번 3차 물량까지 현대차의 E-GMP 기반의 전용 전기차 모델의 배터리는 SK이노베이션과 LG에너지솔루션, CATL의 3파전이 됐다. CATL이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를 기반으로 한 전용 전기차에 배터리를 납품하는 것은 16조원 규모의 2차(아이오닉6 등) 물량을 LG에너지솔루션과 공동으로 따낸 데 이어 이번이 두번째다.

CATL은 중국정부의 지원 아래 급속도로 시장을 확대해가고 있다. SNE리서치가 발표한 지난해 세계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CATL의 점유율은 24.0%(34.3GWh)로 1위, LG에너지솔루션이 23.5%로 2위다. 이 가운데 CATL 2019 0.4%에 불과했던 중국 제외 시장 점유율이 작년에는 6.5%까지 늘었다. CATL은 최근 중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자동차 생산의 전초기지인 유럽에도 대규모 공장을 신축하는 등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中 CATL, 현대차 물량 따냈다...안방 '위협'

중국 CATL이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3차 배터리 공급사로 선정되며 안방을 위협하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2023년 이후 출시하는 전기차 플랫폼 E-GMP 3차 물량의 배터리 공급사로 중국 CATL SK이노베이션(096770)을 선정해 통보했다. 중국의 CATL은 이번에 발주된 3개 차종 가운데 2개 차종의 배터리를 납품하게 돼 1개 차종을 따낸 SK이노베이션을 제쳤다.

업계는 3차 물량 규모가 당초 알려진 20조원 보다는 줄어든 것으로 보고 있다. 당초 E-GMP 3차 물량은 아이오닉7과 기아 스포츠유틸리티차(SUV) 3개 차종 등 총 4개 차종이 발주됐으나 아이오닉7이 빠지면서 규모가 9조원대로 축소됐다는 것이다. 아이오닉7의 배터리는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인도네시아에서 추진중인 합작법인(JV)에서 생산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CATL이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를 기반으로 한 전용 전기차에 배터리를 납품하는 것은 16조원 규모의 2차(아이오닉6 등) 물량을 LG에너지솔루션과 공동으로 따낸 데 이어 이번이 두번째다.

이번 3차물량까지 현대차의 E-GMP 기반의 전용 전기차 모델의 배터리는 SK이노베이션과 LG에너지솔루션, CATL의 3파전이 됐다.

CATL은 중국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국내 배터리 3사(삼성SDI(006400) 포함)를 위협하고 있다. CATL 2019 0.4%에 불과했던 중국 제외 시장 점유율이 작년에는 6.5%까지 늘었다. 이에 힘입어 SNE리서치가 발표한 지난해 세계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CATL의 점유율은 24.0%(34.3GWh)로 1위를 차지했다. LG에너지솔루션(23.5)%이 뒤를 바짝 쫓고 있다. CATL은 글로벌 자동차 생산기지인 유럽에도 대규모 설비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반응형
반응형

(051500) CJ프레시웨이 -코로나 1년, 식자재 업체의 변신 - 어린이집서 웬 쿠킹 클래스? 

 CJ프레시웨이 아이누리 바다 채소학교의 쿠킹클래스에서 요리 중인 어린이. (CJ프레시웨이)

“오늘은 카우 샌드위치를 만들어볼 거예요. 재료 먼저 확인해볼까요? 먼저 맛있는 햄, 두 번째 재료는 여러분이 맞춰볼까요? 칼슘이 들어있어서 뼈를 튼튼하고 키가 쑥쑥 자랄 수 있게 해주는 재료에요. 맞아요. 치즈예요!! 세 번째는 피부가 반짝반짝하게 도와주는 오이!! 이번엔 비타민이 많이 들어있고 주렁주렁 열매처럼 열리는 채소, 뭘까요? 토마토죠. 이 야채는? 따라 해보세요. 파슬리!”
 
지난달 말 서울 영등포구 신길동의 한 어린이집. 아이들이 커다란 TV 화면 속 선생님을 따라 고사리손을 바삐 움직였다. CJ프레시웨이가 어린이집에서 연 영양교육 프로그램 ‘아이누리 채소학교’의 모습이다. 채소 소믈리에 자격증을 보유한 키즈 전담 영양사와 전문 셰프가 진행하는 쿠킹클래스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지난해 9월부터 비대면 온라인 교육으로 진행하고 있다.  
 

단체급식ㆍ외식업 무너지자 어린이집으로  

어린이집에서 진행 중인 CJ프레시웨이의 아이누리 바다 채소학교.

CJ프레시웨이를 비롯해 풀무원이나 아워홈 같은 식자재 업체들이 최근 어린이집 컨설팅에 공을 들이고 있다. CJ프레시웨이는 2014년 론칭한 키즈 전용 브랜드 ‘아이누리’를 통해 어린이집 아이들부터 교사와 학부모 교육을 비롯해 위생점검까지 부문을 가리지 않는다. 다른 주요 식자재 유통업체들도 마찬가지다. 풀무원은 2009년 출범시킨 ‘우리아이’ 브랜드를 ‘풀스키즈’로 통합했고, 아워홈도 2018년 ‘아워키즈’를 론칭한 후 비슷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지난해 식자재 유통 시장이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단체급식 식수는 30% 가까이 줄었고, 전방산업인 외식업도 부진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2.5단계로 강화된 지난해 12월 마지막 주를 보면 서울 지역 소상공인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41% 줄었을 정도다. 이에 반해 키즈 식자재 시장은 몇 년째 1조원 규모로 건재하다. 맞벌이 가구가 늘면서 어린이집의 수요가 커졌고, 저출산에도 아이 먹거리에 대한 투자는 더욱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9년 배우자가 있는 가구는 1230만5000가구로 이 중 46%가 맞벌이 가구다. 6세 이하 자녀를 둔 유배우 가구의 맞벌이 비중은 2016년 39.7%에서 2019년 44.6%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민간ㆍ가정 어린이집 수와 보육 아동은 줄어든 반면 선호도가 높은 직장ㆍ국공립 어린이집은 오히려 늘었다. CJ프레시웨이의 경우 지난해 식자재 유통 부문 매출은 전년보다 23.1% 감소했지만, 키즈 부문이 포함된 외식·급식 유통 부문만 보면 10.8% 감소에 그쳤다.  
 

프리미엄 식자재 공급 넘어 교육·위생 컨설팅도

아워홈의 키즈 전용 브랜드 아워키즈 전용 배송차량. (아워홈)

식자재 업체들이 친환경ㆍ유기농 등 프리미엄 식자재 시장을 넘어 어린이집 컨설팅에까지 경쟁적으로 뛰어드는 이유다. CJ프레시웨이는 뼈를 99% 이상 제거한 수산물, 무항생제 한우ㆍ한돈, 우리 밀을 활용한 소포장 간식 등 키즈 전용 상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해 6월엔 ‘아이누리 채소학교’에 이어 해조류를 다루는 ‘바다채소학교’도 신설했다. 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위생 점검 항목도 64개로 통합하는 등 위생 컨설팅도 진행한다.
 
풀무원푸드머스는 5500여개 식단을 식사 인원만 입력하면 주문할 수 있는 ‘간편메뉴 발주시스템’을 운영하는 한편 전국 100여명의 영양사가 영양교육, 위생안전 점검, 식단 감수 등의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워홈은 ‘키즈 전용 물류센터’와 전담 배송자 지정 제도를 운용한다. 지난해엔 직장어린이집 운영 업체인 킨더슐레경영연구소와 ‘어린이집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교육지원 사업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하고 어린이 전용 식재 상품 700여종을 비롯한 먹거리를 공급하고 있다. 
 
CJ프레시웨이 관계자는 “단순히 양질의 식자재를 납품하는 것만이 경쟁력이었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에는 간식 지원부터 교육 콘텐트 제공까지 그 범위가 넓어졌다”고 말했다.

반응형
반응형

2.5% vs 0.6% …법정으로 가는 OTT 음악저작권료

토종 OTT인 웨이브,왓챠,티빙

온라인 동영상서비스(OTT)에 사용되는 음악 저작권료를 놓고 OTT 업계와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음저협)의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이에 OTT 육성을 강조하는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에서 “(문화체육관광부가 승인한 개정안에) 비합리적인 부분이 보인다”고 말하며 정부까지 나서는 모양새가 됐다. 이런 갈등이 계속될 경우 국내 OTT 산업 발전에 걸림돌이 될 뿐 아니라 결국 구독료가 인상돼 소비자까지 부담을 짊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웨이브·티빙·왓챠, 행정소송 제기
음악저작권협회와 갈등 수면 위로
“넷플릭스 만큼” vs “한국은 무리”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OTT 서비스 시즌을 운영 중인 KT는 19일 “음저협의 음악 저작물 사용료 징수규정에 대응하기 위한 행정소송을 내부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OTT 업체인 웨이브·티빙·왓챠는 지난 5일 서울행정법원에 “문체부의 음악저작물 사용료 징수규정 개정안 승인을 취소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했다. 
 
KT 관계자는 “OTT 3사와 함께 소송을 진행할지, 따로 움직일지 등 구체적인 건 아직 정해진 바 없다”고 말했다. U+모바일tv를 운영 중인 LG유플러스도 “아직 논의 중”이라며 “소송 여부를 말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왜 OTT 업계는 정부 부처와 소송전에 돌입한 걸까.

서울 강서구에 있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사무실 현판.

음저협은 넷플릭스와 같은 글로벌 업체들이 대략 2.5% 요율을 적용한다는 점 등을 근거로 들어 문체부에 징수규정을 개정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문체부는 지난해 12월 음저협이 제출한 개정안을 수정 승인해 OTT에 적용할 ‘영상물 전송서비스’ 조항을 신설했다. 요율은 음저협이 주장했던 매출의 2.5%보다는 낮은 1.5%에서 올해부터 시작하기로 했다. 이후 2026년까지 1.9995%로 올릴 예정이다. 올해 매출이 1000억원이면 음악 저작물 사용료로 15억원을 내야 한다는 뜻이다. 
 
문체부는 국내 시장 상황을 고려해 OTT 업체를 배려했다는 입장이다. 해외의 경우 독일(GEMA) 3.125%, 프랑스(SACEM) 3.75%, 일본(JASRAC) 명목요율 2%(실질요율 1.5%), 캐나다(SOCAN) 1.9% 등이다. 문체부가 제시한 1.5%는 가장 낮은 수치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OTT 업계는 “넷플릭스와 단순 비교는 무리”라고 맞서고 있다. 넷플릭스는 직접 투자해서 만드는 오리지널 콘텐트가 많기 때문에, 저작권에 관한 한 이용자이면서 동시에 권리자다. 즉 넷플릭스가 2.5%를 낸다고 해도 이 금액의 일부가 다시 수익으로 돌아오기 때문에 실질 납부액은 2.5%보다 훨씬 적을 거라는 얘기다. 
 
이 때문에 국내 OTT 사업자에 대해서는 일반 방송사가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방송물 재전송 서비스(VOD)와 비슷한 요율인 0.6% 내외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OTT 업계는 특히 음저협을 시작으로 향후 다른 저작권 단체들도 도미노처럼 인상을 요구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음악 저작물 사용료를 올리면, 영상을 포함한 다른 저작권 사용료도 같이 인상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OTT 업계 관계자는 “이렇게 되면 전체적으로 매출의 8%는 저작권료로 내줘야 한다”며 “현재 OTT 업체들의 수익구조로 봤을 때, 저작권 비용이 늘어나면 당장은 아니지만 향후 월 이용요금이 오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반응형
반응형

- IBS 나노의학연구단, 골격근 손상 부위 맞춤형 인공 근육 개발

인공근육 조직 개발 및 생체 적용 모식도. ‘열 인장 기술’로 제작한 PCL 파이버에 ‘직접 교차 분화기술’로 제작한 근육세포를 배양했다. ‘탈세포 매트릭스’를 도입해 근육세포 성숙을 앞당겨(분화 촉진) 기능성 인공 근육 조직을 제작해냈다. 마우스의 골격근 결손 부위에 이식한 결과 손상된 근육조직과 혈관, 신경조직이 성공적으로 재생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의학 연구단 조승우 연구위원 연구팀은 미국 매사추세스 공과대학교(MIT) 연구진과 함께 근육 손상 질환 치료를 위한 맞춤형 인공 근육 제작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근육은 몸무게의 40%를 차지하는 가장 큰 기관으로 우리 삶을 영위하는 데 중요하다. 이 중 뼈나 힘줄에 붙어 움직임을 만드는 골격근은 뛰어난 자가 재생 능력이 있지만, 이를 넘어서는 외상이 생기면 영구적인 조직손상으로 이어져 치료가 매우 어렵다. 현재 유리 기능성 근육이식이 유일한 근육질환 치료법으로 꼽힌다. 그러나 이식 가능한 근육 조직을 구하기 어렵고 면역 거부 반응이 일어나거나 이식 후 조직 기능이 저하되는 등 여러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면역 거부 반응이 없는 환자 맞춤형 인공 근육을 개발하여 기존 의학의 한계를 극복했다.

연구팀은 먼저 골격 역할을 하는 미세한 다공성 구조의 ‘폴리카프로락톤(PCL) 파이버’를 개발했다. PCL 파이버는 골격근 결손 부위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길이와 다공성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환자 맞춤형 인공 근육 제작 플랫폼을 개발한 것이다.

개발한 PCL 파이버에 피부세포를 근육세포로 전환하는 ‘직접교차분화기술’을 사용해 근육세포를 배양했다. 비교적 채취하기 쉬운 자가 피부세포를 사용해 이식에 필요한 근육 세포를 확보하고 면역거부반응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또한 근육 조직 특이적 생화학적·물리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근육 탈세포 매트릭스’를 도입했다. 그 결과 근육세포 직접 교차분화 효율이 향상되어 기능성 인공 근육 조직 제작에 성공할 수 있었다.

연구진은 개발한 인공 근육 조직을 근육 손상 부위에 이식해 근육 재생 경과를 관찰했다. 그 결과 손상된 근육 조직이 재생될 뿐 아니라 기존 근육 재생법보다 혈관과 신경 조직의 재생정도가 크게 향상됐다. 인공 근육의 치료 성능을 실험으로 입증하여 임상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

조승우 연구위원은 “기존 근육질환 치료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의료기술 개발에 성공했다”라며 “추후 실제 임상 적용을 위해 대동물모델에서 근육 재생 효능과 안전성을 더욱 면밀히 평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융합 소재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2월 19일 게재됐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