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39890) 피엔에이치테크 - (1) 회사소개 ( 사업분야 & 연구개발 )

phtech

  • 유기전자 재료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로 OLED 소재, OLED 소재 합성에 필요한 촉매, 원료 등을 제조, 판매.
  • 설립 이후 지속적으로 OLED소재를 개발해오고 있으며 주요 OLED패널 제조사와 OLED TV 및 Mobile용 소재를 공동개발중.
  • OLED소재 부문에서 2,500종이 넘는 소재의 분자구조 모델링, 400건이 넘는 실제 합성 경험을 통해 방대한 연구개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음.

 

회사소개

CEO 인사말

회사개요

연혁

비전

사업장 소개

사업분야

기술소개

제품소개

일반재료 ▶

OLED 물질 중 특허가 만료되어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OLED재료

 

OLED 촉매 ▶

OLED 재료를 합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물질


유기합성시 반응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로 당사에서 생산하는 촉매는 OLED 재료를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촉매를 생산 판매

 

EBL ▶

발광층으로 이동한 전자가 정공수송층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재료로 발광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 HOMO : cyclic voltammetry(ref electrode : Ag/AgCl / 0.1M Bu4NBF in acetonitrile / Ferrocene)
■ T1 : DFT calculation

 

OLED 중간체

OLED 재료를 합성하는 과정에 있는 물질

■OLED 중간체

 

HTL ▶

정공발생층에서(HIL) 발생한 정공이 유기발광층(EML)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물질

■HTL Materials

■ HOMO : cyclic voltammetry(ref electrode : Ag/AgCl / 0.1M Bu4NBF in acetonitrile / Ferrocene)
■ T1 : DFT Calculation
■ Mobility : SCLC

 

기타 유기합성 재료

OLED 재료 등 유기합성에 필요한 재료

■기타 유기합성 재료

-제품-

(4-fluorophenyl)boronic acid
(9-phenyl-9H-carbazole-3-yl)boronic acid
(triphenylen-2-yl)boronic acid pinacol ester
1,1':2',1''-Terphenyl, 3-bromo-3',4',5'-triphenyl
1,1'-bis(diphenylphosphino)ferrocene
1,4-dibromo-2-chlorobenzene
1,8-Diazabicyclo[5.4.0]undec-7-ene(DBU)
1-Bromo-3-chloropropane
1-bromocarbazole
2-(4-bromophenyl)-4,6-diphenyl-1,3,5-triazine
2,3-benzofuran
2,4-dichloroquinazoline
2,7-dibromo-9,9'-spirobi[fluorene]
2,7-dibromospiro[fluorene-9,9'-xanthene]
2,8-dibromodibenzo[b,d]furan
3-bromo-9h-fluoren-9-one
3-bromo-9-phenyl-9H-carbazole
3-bromobiphenyl
3-bromophenanthrene-9,10-dione
4-(naphthalene-2-yl)phenylboronic acid
4,4,5,5-tetramethyl-2-(10-(naphthalen-2-yl)anthracen-9-yl)-1,3,2-dioxaborolane
5'-bromo-m-terphenyl
6-(9H-carbazol-9-yl)-9H-3,9'-bicarbazole
 6-Bromo-3-pyridinylboronicacid
 9-(biphenyl-3-yl)-3-(4,4,5,5-tetramethyl-1,3,2-dioxaborolan-2-yl)-9H-carbazole
 9-(biphenyl-3-yl)-3-bromo-9H-carbazole
 9-bromo-10(naphthalene-1-yl)anthracene
 9-bromophenanthrene
 9H-Carbazole
 Bis(pinacolato)diboron
 Phenylboronic acid
 Triphenyl phosphine
 triphenylen-2-ylboronic acid
 tri-tert-buthyl Phosphine-toluene
 tri-tert-buthyl Phosphine-Xylene
 Dibenzo[b,d]furan-2-ylboronic acid
 2-bromo-4-chloro-1-iodobenzene
 (4-bromo naphthalen-1-yl)byronic acid
 (4-fluoro-3-methylphenyl)boronic acid
 4-tert-Butylphenylboronic acid
 9,9'-(5-bromo-1,3-phenylene)bis(9H-carbazole)
 1,4-Phenylenediboronic acid
 4-iodobenzonitrile
 1-(4-Bromophenyl)naphtalene
 1,2-dichloro-3-iodobenzene
 1,3,5-tirazine
 1,3,5-tribromobenzene
 1,3,5-trichloroobenzene
 1,8-dibromonaphthalene
 10-Bromo-9-(naphtalen-2-yl)anthracene
 10-Bromo-9-[4-(naphtalene-2-yl)phenyl]anthracene
 11,12-dihydroindolo[2,3-a]carbazole
 1-Bromopyrene
 2-([1,1'-biphenyl]3-yl)pyridine
 2-(2-bromophenyl)-4,6-diphenyl-1,3,5-triazine
 2-(4-Bromophenyl)naphtalene
 2-(9,9'-spirobi[fluorene]-7-yl)-4,4,5,5-tetramethyl-1,3,2-dioxaborolane
 2-(dip-tolyamino)phenylboronic acid
 2-(Methoxycarbonyl)benzenboronic acid
 2,2'-Bithiophene
 2,2'-dibromobiphenyl
 2,3-Dibromonaphtalene
 2,7-dibromo-9H-carbazole
 2,7-dibromophenanthrene-9,10-dione
 2,8-dibromodibenzo[b,d]thiophene
 2-Amino phenol
 2-Amino-3-Bromo-6-methylpyridine
 2-Amino-4-tertbuthyl phenol
 2-Bromo-9,10-di(naphtalene-2-yl)anthracene
 2-Bromo-9,9-dimethyl fluorene
 2-bromo-9,9'-spirobi[9H-fluorene]
 2-Bromo-9-phenyl-9H-carbazole
 2-Bromobiphenyl
 2-Bromophenylboronic acid
 2-Bromospiro(fluorene-9,9'-xanthene)
 2-Bromotriphenylamine
 2-Dicyclohexylphosphino-2',6'-dimethoxybiphenyl
 2-Fluorophenylboronic acid
 2-NBA(2-Naphthaleneboronic acid)
 2-Phenylpyridine
 3-(4-Bromophenyl)-N-phenylcarbazole
 3,3'-dibromobiphenyl
 3,4,5-trifluorophenylboronic acid
 3,5-dichlorophenyl boronic acid
 3,6-dibromophenanthrene-9,10-dione
 3,6-dimethyl-9H-carbazole
 3,6-di-tert-butyl-carbazole
 3-Bromotriphenylamine
 3-Iodocarbazole
 3-Methyldiphenylamine
 3-Phenyl-1,3-dihydroindolo[2,3-b]carbazole
 3-Pyridineboronic Acid Pinacol easter
 4-(9H-carbazole-9-yl)aniline
 4-(diphenylamino)phenyl boronic acid
 4-(naphthalene-1yl)phenyl boronic acid
 4,4'-dimethyldiphenylamine
 4-[9-(4-aminophenyl)-9H-fluorene-3-yl)benzenamine
 4-4-dibromobiphenyl
 4-4'-diiodobiphenyl
 4-bromo-2,2':6'2"-terpydidne
 4-Bromo-4',4''-dimethyltriphenylamine
 4-Bromo-4'-iodo-1,1'-biphenyl
 4-bromo-9,9-diphenyl-9H-fluorene
 4-Bromobenzaldehyde
 4-bromodibenzo[b,d]furan
 4-Bromo-P-terphenyl
 4-Cyano-4'-n-haptyl biphenyl
 4-cyano-4''-phenyl biphenyl
 4-Iodobiphenyl
 5,7-Dihydro-indolo[2,3-b]carbazole
 9-(2-Bromophenyl)Carbazole 
 9-(4'-bromobiphenyl-4-yl)-9H-carbazole
 9-(4-Bromophenyl)-9-phenyl-9H-fluorene
 9-(9,9-dimethyl-9H-fluorene-2-yl)-9H-carbazole
 9-(Naphthalene-1-yl)anthracen-10-yl boronic acid
 9-(Naphthalene-2-yl)anthracene-10-yl boronic acid
 9-(phenyl-2-boronic acid)-9H-carbazole
 9,10-Dibromoanthracene
 9,9-dimethyl-9,10-dihydroacridine
 9,10-Phenanthrenedione
 9,9-Dioctyl-2,7-dibromofluorene
 9,9'-spirobi[9H-fluorene]-2-boronic acid
 9-Anthraceneboronic acid
 9-Bromo anthracene
 9-Bromo-10-phenylanthracene
 acenaphtalen-1,2-dione
 Benzamidine hydrochloride
 Biphenyl-2-ylboronic acid
 Bis(1,1-biphenyl-4-yl)amine
 Bis(4-biphenyl)amine
 Bis(4-Bromophenyl)amine
 Chlorodiphenylphos
 Flrpic
 Gd2O3
 Hexaketocyclohexane
 N-(4-Bromophenyl)-9H-carbazole
 bis(triphenylphosphine)palladium(ii) dichloride
 al grain(pure aluminum)
 Pure Copper
 Pyrene-1-boronic acid
 T2B
 Tetrabromothiophene
 Thiophene-3-Carboxaldehyde
 Thiophene-3-Carboxylic acid
 Triphenylene
 Tris(4-Bromophenyl)amine
 xant-phos
 x-phos

 

HOST ▶

전자와 정공이 만나면서 방출되는 에너지를 가시광선으로 만드는 역할을 하며, 재료 조성에 따라 적색, 녹색, 청색 발광을 하는 물질

■Phosphorescent HOST Materials

■ HOMO : cyclic voltammetry(ref electrode : Ag/AgCl / 0.1M Bu4NBF in acetonitrile / Ferrocene)
■ T1 : simulation (by DFT calculation)

 

■Blue Host & Dopant Materials

■ cyclic voltammetry(ref electrode : Ag/AgCl / 0.1M Bu4NBF in acetonitrile / Ferrocene)

연구개발

연구소 소개

개발장비

특허현황

 

반응형
반응형


(317330) 덕산테코피아 - (2)



동사는 OLED의 핵심구성요소인 유기재료와 반도체 전자재료 등의 화학제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사업을 영위.

HCDS 증착소재를 직접 합성부터 초고순도 정제까지 일관 제조하여 고객사에 공급하며, 해외원료에 의존하는 타사 대비 비교 우위를 점함.

투명PI(폴리이미드) 밸류체인의 하단에 속하는 초기 모노머를 합성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한 전문기업으로, 향후 투명PI관련 사업은 동사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



사업분야

Field of Business


OLED 소재

발광재료

About OLED 소재


OLED는 별도의 광원없이 적색,녹색,청색의 유기재료(Organic Material)가 광원 역활을 담당하며,전기에너지를 받으면 빛에너지로 전환하여 자체발광 합니다.


OLED 소재 Value chain



비발광재료

OLED 플라스틱 기판소재


OLED 플라스틱 기판소재의 모노머를 합성하며, OLED디스플레이 패널의 커버윈도를 대체하는 투명폴리이미드 필름까지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소재


About 반도체 소재

반도체 제조용 핵심소재인 증착소재(Precursor)와 합성수지용 고분자 촉매등 전자재료 소재의 유,무기 합성을 전문으로 생한하고 있습니다.

해외 수입에 100% 의존하던 기초 원재료를 국산화에 성공하여, 반도체 소재자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핵심 공정용 초고순도 반도체 증착 소재 생산


기능성 화학 소재

고분자 촉매/합성고무 첨가제

반도체 제조용 핵심소재인 증착소재(Precursor)와 합성수지용 고분자 촉매등 전자재료 소재의 유,무기 합성을 전문으로 생한하고 있습니다.

해외 수입에 100% 의존하던 기초 원재료를 국산화에 성공하여, 반도체 소재자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R & D


Fine Chemical 부문

연구소 소개

첨단소재연구소

덕산테코피아 첨단소재연구소는 혁신적(Innovative)이고, 창의적(Creative)인 자세와 열정(Passion)으로 미래 기술을 선도하는 소재 부품 전문기업의 주역이 되겠습니다.


연구개발 Process


연구분야

OLED 소재

OLED 디스플레이용 소자 발광층, 공통층에 적용되는 고순도 소재의 합성 및 양산화 공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Carbazole 유도체, Fluorene 유도체, Dibenzothiophene 유도체, Dibenzofuran 유도체, Anthracene 유도체, Naphthalene 유도체, Triazine 유도체 등



기능성 화학 소재


Customizing

고객의 요청에 따른 주문형 제품 합성 및 양산화 공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보유기술

Reaction Tech.

최적의 원료, 촉매 비율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반응 공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Purification Tech.

최적의 정제 공정을 통해 저비용, 고순도의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허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