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032640) LG유플러스 - “단 한 번 후진, 주차 끝”…세계 최초 5G 자율주차 시연

“애플리케이션(앱)에서 파란색으로 표시된 주차장 빈 자리를 극장 좌석 고르듯 선택하면, 운전자 없이 주행부터 주차까지 자동 ‘발렛파킹’이 되는 겁니다.”

서울 마포구 상암산로에 대기하던 LG유플러스의 5세대(5G) 이동통신을 적용한 자율주행차량 ‘A1’이 앱 터치와 동시에 운전자의 조작 없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A1 5G를 이용해 신호 정보 등을 주고받으며 횡단보도 5개, 교차로 3개를 지나갔다. 중간에 오토바이와 다른 차량들이 끼어들었지만 A1은 장착된 5개의 센서로 이를 정확히 포착해나가며 안정적인 주행을 이어갔다.

차량은 6분여 만에 약 800m를 이동해 목적지인 상암1공영주차장에 도착했다. 주차장 입구는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이 지나가기에 다소 좁아보였지만, 멈춤 없이 통과해 지정된 주차 구역에 도착했다. 단 한 번의 후진만으로 주차를 마쳤고 시동도 꺼졌다. 한양대 자동차전자제어연구실 에이스랩 조성진 연구원은 “폐쇄회로(CC)TV 화면을 분석하는 인공지능 기술로 실시간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중에도 주차 위치를 바꿀 수 있다”고 설명했다.

LG유플러스는 에이스랩과 자율주행 연구기업 컨트롤웍스와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갖고 5G를 활용한 자율 주행과 자율 주차를 동시에 구현한 세계 첫 사례라고 소개했다. LG유플러스는 “무인 호출, 자율 주행, 무인 주차로 이어지는 미래 모빌리티 기술의 근간이 완성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자율 주차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이용이 불가능한 빌딩 내 지하주차장 등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LG유플러스는 “주행 후 주차장 찾기부터 주차까지 운전자가 감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상용화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빈 주차 공간을 알려주는 CCTV 설치부터 5G 관제 기술, 자율주행 때에도 탑승자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현행법 개정 등이 이어져야 한다. 일단 LG유플러스는 이르면 내년 초부터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공개 시연을 시작하기로 했다.

 

반응형
반응형

(032640) LG유플러스 - LGU+, 영업익 11.5% 늘었다…"언택트 사업 성장"

코로나 영향에도 언택트 사업 성장이 실적 호조 이끌어

LG유플러스가 코로나19 악재 속에서도 IPTV(인터넷TV)와 모바일, 초고속인터넷 등 주요 사업부문에서 고른 성장을 이어갔다.

LG유플러스는 지난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5% 증가한 2198억원으로 집계됐다고 8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1.9% 늘어난 3조2866억원, 당기순이익은 12.2% 증가한 1488억원을 기록했다.

모바일·IPTV·초고속인터넷 가입자 순증…5G 가입자 145만5000명

/사진제공=LGU+

코로나19로 어려운 경영환경에서도 모바일과 IPTV(인터넷TV), 초고속인터넷 등 사업분야에서 가입자 순증을 이어갔다. 또 실내 활동이 늘면서 모바일 소액결제, VOD(주문형비디오) 매출과 IDC(인터넷데이터센터) 고객 수요 증가 등 언택트 관련 사업이 성장하면서 호실적을 기록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서비스수익 증가는 지난해 12월 LG헬로비전의 자회사 편입에 따라 LG헬로비전 서비스수익 2320억원이 당기부터 연결손익계산서에 반영된 것이 주 요인으로 꼽힌다. LG헬로비전를 제외하더라도 서비스수익은 MVNO 가입자와 스마트홈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늘었다.

1분기 모바일 서비스 수익은 코로나19 영향으로 단말기 판매량이 감소했음에도 전년동기대비 6.2% 증가한 1조3360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 5G 누적 가입자는 29만1000명 증가한 145만5000명을 기록했다. 외부활동이 자제된 환경에서 스마트 홈트·AR쇼핑·클라우드 게임 등 차별화된 5G 콘텐츠를 제공해 5G 가입자 성장으로 이어졌다고 LG유플러스는 평가했다.

전체 모바일 누적 가입자는 1551만9000명으로 전년동기대비 7.8% 늘었다. 특히 MVNO(알뜰폰)는 KB의 리브엠의 성장과 LG헬로비전 채널확대, U+MVNO 파트너스 지원 효과로 지난해 1분기보다 38.2% 가입자가 증가했다.

LG유플러스는 올해 5G 품질 향상과 다양한 콘텐츠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며, MVNO 고객들에게도 양질의 5G 서비스를 제공하여 MVNO를 포함한 모바일 가입자 및 수익 성장세를 이어 나갈 계획이다.

 

언택트 소비 늘면서 IPTV·IDC 매출 쑥
스마트홈 수익은 IPTV와 초고속인터넷의 견조한 양적·질적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 늘어 5378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IPTV는 코로나19 사태에서 언택트 소비 증가로 기본료, VOD 수익 등이 동시에 증가했다. 지난해 1분기 대비 수익은 12.4% 상승한 2811억원을, 누적 가입자는 10.8% 증가한 459만7000명을 기록했다.

초고속인터넷도 고가치 가입자 증가로 ARPU(가입자당평균매출)이 늘면서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6.6% 증가한 2085억원을 기록했다.

대작 영화 개봉으로 인한 VOD 매출 증가, 소비심리 회복에 따른 광고시장 활성화와 스마트 요금제 등 고가치 인터넷 가입자 증가세를 고려할 때 올해 스마트홈 사업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 수익은 3800억원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여파로 국제전화 수익이 줄었고 기업 고객 마케팅 활동이 축소돼 중계 메시징 수익은 감소했다. 반면 대형 클라우드 사업자들의 데이터 사용량 증가로 IDC 수익이 전년동기대비 32.6% 증가했다.

특히 1분기에는 대형 은행의 백오피스 시스템을 구축하고 국제전용회선 사업을 수주하는 등의 성과로 중장기 수익 성장의 기반을 추가 확보했다.

코로나19에 따른 게임, 온라인쇼핑, 원격강의 등 언택트 사업 수요 증가가 예상돼 차별화된 기업 솔루션 제공으로 수익 성장을 이어갈 방침이다. 5G B2B 실증을 통한 신규 시장발굴도 병행한다.

1분기 마케팅비용은 5650억원을 썼다. 5G 상용화 이전인 전년 동기 대비로는 10.4% 늘었지만 전분기보다는 3.1% 줄었다. 5G에서 선택약정 요금할인 가입자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를 고려하면 마케팅비용 부담은 점차 줄어들 전망이다.

설비투자(CAPEX)는 5G 커버리지 확대 등으로 유무선 네트워크 모두 늘어 전년 동기 대비 35.3% 증가한 3746억원을 집행했다. 올해 인구밀집지역과 대형건물 인빌딩, 지하철 등에 5G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투자를 지속할 예정이다.

이혁주 LG유플러스 CFO(최고재무책임자)는 "1분기 코로나 악재가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쳐 수익 창출과 예측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도 위기를 극복하고 핵심 사업 분야에서 고른 성장을 이뤄냈다"면서 "연초 밝힌 경영목표 달성과 영업이익 개선을 위해 영업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시장 환경 변화를 주시하면서 코로나 이후 언택트 시대에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