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머나먼 '반도체 자립' 꿈…중국 20조원대 프로젝트 좌초

HSMC, 남은 직원 240여명 모두에 사직 요구…청산으로 갈 듯

중국 반도체 굴기 (PG)

투자 계획이 20조원대에 달했던 중국의 대형 반도체 프로젝트가 청산 절차로 가고 있다.

중국이 자국의 가장 큰 약점 중 하나인 반도체 외부 의존 문제를 해결하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강한 의지만 갖고서는 '반도체 자립'이라는 꿈을 이루는 것이 녹록지 않다는 냉혹한 현실을 보여준 사례라는 평가가 나온다.

28일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財新)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우한훙신반도체제조(HSMC)는 최근 240여명의 전 임직원에게 회사의 재가동 계획이 없다면서 퇴사를 요구했다.

이 회사는 7나노미터(㎚) 이하 최첨단 미세공정이 적용된 시스템 반도체를 제작을 목표로 2017년 우한에서 설립됐다.

우한시의 중대 프로젝트로 지정된 이 회사에 투자됐거나 투자될 자금은 총 1천280억 위안(약 22조원)에 달했다.

특히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로 성장한 대만 TSMC의 최고 기술자였던 장상이(蔣尙義)를 최고경영자(CEO)로 영입해 반도체 업계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사업 초기 단계부터 자금난에 봉착하면서 사업이 표류하기 시작했고 채권자들에게 토지가 압류되는 사건이 벌어지면서 회생이 사실상 어려워졌다.

CEO 장상이도 짧은 HSMC 시절을 '악몽'이라고 묘사하면서 중국 최대 파운드리 업체 SMIC(中芯國際·중신궈지)로 옮겼다.

우한시 정부가 작년 이 회사를 직접 인수하면서 회생 가능성이 잠시 거론되기도 했지만 결국 이번 해고 통보를 계기로 청산 수순으로 갈 가능성이 커졌다.

SCMP는 "이 프로젝트 실패는 반도체 자립을 실현하려는 중국의 야망이 좌절된 가장 최근의 사례"라고 지적했다.

중국은 5세대 이동통신(5G), 클라우드,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무인기 등 여러 첨단 기술 분야에서 약진 현상이 두드러지지만 반도체 산업만큼은 다른 선진국들보다 많이 뒤처진 편이다.

반도체 칩 조달을 원천 차단한 미국의 화웨이(華爲) 제재는 중국이 반도체 분야에서 얼마나 큰 약점을 가졌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줬다.

중국에도 SMIC나 메모리 반도체를 만드는 칭화유니그룹(淸華紫光) 계열사인 YMTC(長江存儲·창장춘추) 같은 기업이 일부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들 업체가 만드는 제품은 선진 제품 수준과는 거리가 멀고 생산량 역시 세계 시장 규모와 대비했을 때 아직은 미미한 수준이다.

중국의 2020년 반도체 수입액은 전년보다 14.6% 증가한 3천500억 달러 규모였다. 이는 2020년 중국 전체 수입액의 13%를 넘는다.

반응형
반응형

하루새 3.97% 하락 7만5천원
서버D램 재고 많아 가격 하락
화웨이 제재에 메모리 타격
삼바와 1조差…시총 2위 위태


삼성전자와 함께 국내 시가총액 투톱이자 글로벌 2위 메모리 제조사인 SK하이닉스의 하락세가 좀처럼 멈추지 않고 있다. 서버 D램 가격 하락과 화웨이 사태 등으로 메모리 반도체 업황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19일 거래소에 따르면 SK하이닉스 종가는 이날 7만5000원으로 전일 대비 3.97% 떨어졌다. 지난 11일부터 6거래일 연속 하락한 것이다.

주가 하락이 이어지면서 시총 2위 자리도 위협받고 있다. 이날 시총은 54조6002억원으로 시총 3위 삼성바이오로직스(53조5275억원)와 차이는 1조원 남짓에 불과하다. 지난 1월 2일 기준 SK하이닉스 시총이 68조9418억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약 7개월 만에 14조원 넘게 증발한 셈이다.

증권가는 서버 D램 부진과 화웨이 사태를 주가 부진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 지난 상반기 아마존 등 주요 고객사들이 비축해둔 서버용 D램 물량이 워낙 많아 하반기에 추가 수요가 부진할 것이란 설명이다.

이수빈 대신증권 연구원은 "3분기 서버 D램 가격은 전 분기 대비 10% 하락을 예상한다"며 "클라우드 고객사의 평균 D램 재고는 5월 4~5주에서 8월 7~8주까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화웨이 사태 악영향도 여전한 것으로 전해진다. 미국의 제재로 화웨이는 미국 퀄컴의 AP '스냅드래건'을 쓸 수 없게 되면서 최고급 스마트폰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하이엔드 스마트폰 생산이 어려워지면서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메모리 반도체 주문도 줄어든 것"이라며 "SK하이닉스 매출 중 10% 이상을 화웨이가 차지하고 있어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반면 삼성전자 주가는 크게 변동이 없는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반도체만 있는 SK하이닉스와 달리 가전, 휴대폰, 디스플레이 등 사업을 갖고 있는 데다 가전과 모바일 부문은 코로나19로 인해 눌려 있던 수요가 하반기에는 어느 정도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에선 당분간 SK하이닉스 주가 약세를 예상하는 의견이 나온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SK하이닉스 목표가를 10만5000원에서 9만8000원으로 7% 하향 조정한다"고 말했다. 송 애널리스트는 "단기간 약세를 벗어나기 어렵다"면서도 "다만 9월이 메모리 반도체 출하가 가장 많은 달인 만큼 이때 출하량이나 분위기에 따라 주가가 반등할 여지는 있다"고 말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