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 - 후계자에 그렉 아벨 낙점 (BERKSHIRE HATHAWAY INC. )

미국 투자사 버크셔 해서웨이의 워런 버핏 회장.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이 자신의 후계자로 그렉 아벨 부회장을 지목했다.

그렉 아벨 버크셔해서웨이 부회장.

버핏 회장은 3일(현지 시각) 미 경제전문매체 CNBC와 인터뷰에서 “만약 오늘 밤 내게 무슨 일이 생긴다면 다음날 그렉이 내 업무를 인수할 것이라는 데 동의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버핏 회장은 이어 “그렉에게도 일이 일어난다면 아지트가 이어받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지트는 아지트 자인 부회장을 뜻한다.

아벨은 현재 버크셔 해서웨이의 비보험 분야를 책임지고 있다. 버핏은 그렉이 회장에 오를 경우 그렉의 자리는 아지트 자인 부회장에게 돌아간다고 밝혔다. 자인은 버크셔 해서웨이의 보험 분야를 이끌며 줄곧 버핏의 후계자로 불렸던 인물이다.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

찰리 멍거 부회장은 앞서 지난 1일 열린 주주총회 질의응답에서 후계 구도에 대해 “그렉이  문화를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었다. 다만 그는 “버크셔해서웨이의 분권화된 본성이 나와 버핏을 능가할 것”이라며 아벨 부회장이 회장직을 승계해도 부문별 운영방식이 유지될 것이라고 시사했었다.

버핏 회장은 1965년 버크셔해서웨이를 인수한 이후 1974년 최고경영자(CEO)직에 올라 지금까지 회장과 CEO를 겸직하고 있다. 그는 15년 전에도 후계자 지명과 관련해 세간의 관심을 끌었지만 당시 후보자가 주식 내부거래 혐의로 사임하면서 다음 후보에 대한 기대감을 키워왔다.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최고경영자(CEO) 겸 회장(90)의 후계자로 그레그 아벨 현 그룹 부회장(58)이 내정됐다. 버핏 회장이 나이가 들면서 그의 후계 구도에 대한 추측이 지난 수십 년간 이어져 왔지만 이제 일단락된 것으로 보인다.

버핏 회장은 3일 CNBC방송에 “오늘밤 나에게 무슨 일이 일어난다면 내일 아침부터는 그레그가 경영권을 인수하기로 이사들 사이에서 동의가 된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2018년 아벨을 비보험 부문 부회장에, 아지트 자인(69)을 보험 부문 부회장으로 각각 승진시켰고, 이 때부터 차기 CEO 경쟁이 사실상 2파전으로 전개돼 왔다. 버핏 회장은 “만약 하늘이 허락하지 않는다면, 그레그에 오늘밤 무슨 일이 생긴다면 (차기 CEO는) 아지트”라며 “그들은 모두 멋진 친구들”이라고 덧붙였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역시 버크셔해서웨이 이사회 사정을 잘 아는 소식통을 인용해 아벨 부회장이 버핏이 그룹을 떠날 경우 차기 CEO로 내정돼 있다고 보도했다. 아벨 부회장은 그룹의 철도와 에너지, 유틸리티, 제조, 소매업, 자동차판매업 등을 담당한다. 해당 부문은 종사자가 25만 명에 이르고, 그룹 매출 1500억 달러를 책임지고 있다.

아벨 부회장의 후계자 낙점 소식이 사실상 공개된 것은 1일 온라인으로 열린 그룹의 연례 주주총회에서다. 이날 버핏 회장의 ‘오른팔’인 찰리 멍거 부회장(97)은 기업의 조직 관리 문제를 묻는 질문에 “그레그가 그룹 문화를 이어갈 것”이라고 답했다. 아벨 부회장이 사실상 그룹의 차기 CEO로 내정돼 있음을 질의응답 과정에서 실수로 드러내고 만 것이다.

캐나다의 평범한 근로자 가정에서 태어난 아벨 부회장은 1984년 앨버타대 무역학과를 졸업한 뒤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에서 회계사로 일하다가 전력회사 칼에너지로 옮겼다. 버핏 회장과 인연을 맺은 것은 미드아메리칸으로 이름을 바꾼 이 회사를 1999년 버크셔해서웨이가 인수하면서부터다. 아벨 부회장은 2008년 미드아메리칸 CEO가 됐고 나중에 이 회사 이름은 버크셔해서웨이에너지(BHE)로 바뀌었다.

CNBC 보도에 따르면 아벨 부회장이 버핏의 관심에 들게 된 것은 1990년대 중반이었다. 당시 그가 칼에너지에서 인수합병 작업을 처리하는 모습을 칼에너지의 주주이자 버핏의 어린시절 친구인 월터 스콧 주니어가 인상깊게 봤고 그 얘기가 버핏에게 흘러들어갔다는 것이다.

아벨 부회장은 2020년에 기본급 1600만 달러, 보너스 300만 달러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워런 버핏, 후계자 정했다…캐나다 회계사 출신 아벨 부회장

<90살 워런 버핏, 수십년 만에 후계자 확정‥"캐나다 출신 부회장 '아벨'">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가 마침내 자신의 후계자를 공개했습니다.

수십년 동안 회자된 중요 현안 중 하나였던 차기 CEO에 그레그 아벨 부회장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올해 아흔살인 버핏 회장은 CNBC 방송에 출연해 "오늘밤 내게 무슨 일이 일어난다면 내일 아침 경영권을 인수할 사람은 그레그가 될 것이라고 이사들이 동의한 상태"라고 말했습니다.

버핏 회장은 지난 2018년 캐나다 출신 아벨을 비보험 부문 부회장에, 인도 출신 아지트 자인을 보험 부문 부회장에 각각 발탁해 두 사람을 차기 CEO 후보로 공식화했습니다.

그중에서도 자인보다 11살 어린, 좀 더 유력한 후보로 여겨져 온 아벨 부회장은 그룹의 철도, 수도와 전기 가스, 제조업, 소매업, 자동차판매업 등을 이끌고 있습니다.

<후계자 아벨 부회장, 58세 캐나다 평범한 가정 출신 거래 전문가>


워렌 버핏읜 후계자로 낙점된 그레그 아벨 부회장은 58세의 캐나다 출신의 에너지 전문 경영인 입니다.

CNBC 방송 등에 따르면 캐나다 에드먼턴에서 태어난 아벨은 노동자 계층 주거지역에서 하키를 즐기며 평범한 청소년기를 보냈습니다.

캐나다 앨버타대에서 무역을 전공했으며 졸업 후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에서 회계사로 일하다 지열 전력회사 칼에너지로 직장을 옮겼습니다.

나중에 미드아메리칸으로 이름을 바꾼 이 회사가 1999년 버크셔해서웨이에 인수되면서 버핏과 처음으로 인연을 맺었습니다.

아벨이 버핏의 눈에 띈 것은 이보다 앞선 1990년대 중반이었습니다.

당시 영국의 한 수도·가스·전기 회사 인수를 처리하던 그의 일솜씨에 감탄한 칼에너지의 주주 월터 스콧 주니어가 마침 버핏의 유년 시절 친구이자 버크셔해서웨이 이사였던 덕분입니다.

아벨은 2008년 미드아메리칸의 CEO가 됐고, 이후 회사는 이름을 '버크셔해서웨이 에너지'로 변경했습니다.

지금도 그는 BHE CEO 겸 회장으로서 버크셔해서웨이 그룹의 다양한 에너지 사업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그 밖에 버크셔해서웨이가 소수 지분을 보유한 크래프트하인즈, 이지스 보험서비스, 캐나다하키재단의 이사직도 맡고 있습니다.

그를 가리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빈틈없는 거래 해결사"라고 평가했습니다.

버핏 회장도 지난 2013년 "그레그가 전화할 때마다 항상 시간을 낸다.

왜냐면 그는 내게 대단한 아이디어를 가져다주고 정말로 혁신적인 사람이기 때문"이라고 평가한 바 있습니다.

버크셔해서웨이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아벨은 지난 2019년과 2020년 각각 1천600만달러, 우리돈 약 179억3천만원의 기본급을 연봉으로 수령했고, 보너스는 연 300만달러, 약 33억6천만원에 이르렀습니다.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직은 아들이 이어받을 듯">


만약 아벨 부회장이 CEO직을 이어받을 경우 경쟁자였던 자인 부회장과의 관계가 어떻게 될지도 관심을 끄는데, 이들은 1일 주총에서 서로를 존경하고, 의사소통을 잘하는 사업적 관계라고 설명했습니다.

경쟁자였던 자인은 1972년 인도공과대학에서(IIT)에서 공학학위를 받고 IBM과 맥킨지에서 일하다 85년부터 버크셔헤서웨이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아지트 자인은 사석에서 워렌 버핏이 "나보다 더 똑똑한 사람"이라고 말할 만큼 두터운 신임을 얻어왔습니다.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직은 버핏의 아들인 하워드 버핏이 이어받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이 전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미국 행동주의 헤지펀드 엘리엇이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설립을 위한 자금 모집에 나선다.

(출처:JOHN MINCHILLO / ASSOCIATED PRESS)

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엘리엇 매니지먼트는 스팩 설립을 목표로 10억달러(약 1조1235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하고자 몇몇 은행들과 접촉 중이라고 보도했다.

WSJ는 "계획대로 스팩 설립이 추진될 경우 수십억달러 규모의 기업 인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며 "엘리엇이 어떤 산업군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고 전했다.

스팩은 기업을 인수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는 서류상회사(페이퍼컴퍼니)다. 기업공개(IPO)를 통해 자본을 모아 주식시장에 먼저 상장한 후 비상장 기업을 인수합병(M&A)해 시장 입성을 돕는다.

최근 미국 증시 호황 흐름을 타고 비상장 기업의 우회상장 경로로 활용되며 스팩 설립 붐이 일고 있다. 페이팔 공동창업자, 737 맥스 사태로 물러난 뮬렌버그 전 보잉 최고경영자(CEO), 크레이그 맥코 억만장자 등 많은 유명인들이 스팩 설립에 동참했으며, 이를 통해 지난달에만 90개의 신규 스팩이 설립됐다.

스팩리서치에 따르면 현재까지 총 116개의 스팩이 350억달러의 투자를 유치하며 자금 조달 규모가 지난해(약 800억달러)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엘리엇 매니지먼트는 행동주의 투자자 폴 엘리엇 싱어가 1977년 설립한 헤지펀드다. 기업의 주식을 매입해 경영에 참여해 주가를 끌어올리는 방식으로 수익을 추구하며, 운영자산 규모는 420억달러다. 국내에서는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에 반대하고 현대차그룹의 지배구조 문제를 공격하면서 주목을 받았다.

반응형
반응형

바닥일까, 아닐까.

투자자 사이 불붙은 논쟁이다. 7일(현지시간) 미국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2만2653.86으로 거래를 마쳤다. 지난달 23일만 해도 다우지수는 1만9000선까지 뚫리며 1만8591.93로 추락했다.

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는 보합세로 장을 마쳤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NYSE) 앞. 


이후 다우지수는 차근차근 하락폭을 만회하며 2만, 2만1000선에 이어 2만2000선까지 재탈환했다. 최악의 하루를 기록했던 지난달 23일과 비교하면 7일까지 상승률은 21.8%에 이른다.

이 기간 나스닥종합지수도 15%,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도 18.9% 올랐다. 뉴욕 증시가 불과 2~3주 사이 20% 안팎 상승률을 기록하고 미국과 유럽 지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 증가세도 한풀 꺾이자 금융시장에선 바닥 논쟁이 일기 시작했다.

이 논란에 대한 주요 해외 투자은행(IB)의 판단은 일치한다. ‘아직 최악은 닥치지 않았다’다.

골드만삭스 수석 자산전략가인 데이비드 코스틴은 미국 경제전문방송 CNBC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주가 하락 위험이 상승 가능성보다 훨씬 큰 상황”이라며 “(금융위기가 한창이었던) 2008년 4분기 때도 주가가 종종 20%씩 상승하기도 했지만, 결국 바닥을 친 건 2009년 3월 이후”라고 지적했다.

8일 일본 도쿄증권거래소 앞 전광판. 


코스틴은 “그때와 마찬가지로 지금은 ‘베어 마켓 랠리(Bear market rally)’가 나타나고 있을 뿐이며, 주가가 바닥인지 아닌지를 논하기엔 아직 이르다”고 경고했다.

베어 마켓 랠리는 주가가 장기간에 걸쳐 하락하는 걸 의미하는 ‘베어 마켓’, 주가 상승을 의미하는 ‘랠리’를 합친 말이다. 큰 흐름상 주가가 하락하곤 있지만 순간순간 지수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JP모건은 분석 보고서를 통해 “다음주부터 기업의 올해 1분기 실적 발표가 이어질텐데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충격이 어느 정도인지 수치로 확인하기도 전에 안도 장세가 나타나고 있는 건 위험한 현상”이라고 짚었다.

미 경제매체 마켓워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뉴욕주의 코로나19 신규 환자 수가 감소세로 돌아선 것을 두고 “터널 끝 불빛이 보인다”고 한 비유를 비틀어 시장 상황을 꼬집었다. 마켓워치는 “투자자들은 터널 끝 불빛을 보고 있는 것 같은데, 이게 달려오는 기차면 어쩔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프랑스 투자은행인 소시에테제네랄의 글로벌 전략가인 알버드 에드워즈는 마켓워치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투자자 사이에 자리하고 있는 낙관론은 이전 오랜 기간 이어온 강세장이 남긴, 과거의 유산일 수 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달 경제지표를 봤을 때 이미 세계 경제는 경기 불황기(Recession)에 진입했다는 증거는 차고 넘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블룸버그통신은 각국의 실업수당 청구 건수, 전 세계 무역량 등이 지난달을 기점으로 급하게 꺾였다는 점을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코로나19 환자 증가 속도가 잦아들긴 했지만 아직도 자가 격리, 직장 폐쇄 권고는 유지 중”이라며 “코로나19 감염 위험성을 어떻게 차단시켜 사람들이 일터로 돌아가게 할 지는 안갯속”이라고 보도했다. 이어 WSJ는 “경제 회복 여부는 여전히 코로나19에 대한 공공 의료 대응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따라 달려있다”고 덧붙였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