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iX Pharmaceuticals Advances RNAi Approaches to Target Highly Conserved Regions of Coronavirus RNAs
OliX Pharmaceuticals, 고도로 보존 된 RNAi 접근 방식으로 발전 코로나 바이러스 RNA의 영역
o OliX는 폐에 siRNA를위한 새로운 전달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조직 o 분무를 통한 siRNA 약물의 OliX의 국소 폐 투여 치료 효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 o 특발성 폐 섬유증에 대한 OliX의 이전 연구에 따르면 흡입 된 siRNA 제형은 표적 유전자의 효과적인 녹다운을 허용 동물 모델에서 폐 조직에 표현 o OliX, 동물 모델에 적합한 cp-asiRNA 납 화합물 확보 계획 약 3 개월 후 테스트
2020 년 3 월 20 일 대한민국 수원 (GLOBE NEWSWIRE)-OliX Pharmaceuticals, RNA 간섭 (RNAi)의 선두 개발자 인 Inc. (KOSDAQ : 226950), 오늘 전 임상 전 연구를 활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호흡기 질환 치료시 siRNA 치료제 개발 COVID-19 요법 개발을위한 진전.
COVID-19는 호흡기를 유발할 수있는 코로나 바이러스 제품군에 속합니다 질병. 2002 년 말, SARS 코로나 바이러스가 등장한 후 크게 OliX Pharmaceuticals는 2004 년까지 사라졌습니다. 예방할 수있는 전임상 치료 후보 코로나 19. OliX는 siRNA가 매우 효율적인 녹다운을 나타냄을 확인했습니다 시험 관내 분석을 통한 바이러스 RNA 서열.
“OliX가 개발 한 일부 siRNA는 고도로 보존 된 코로나 바이러스 영역을 대상으로합니다. RNA”라고 OliX Pharmaceuticals의 CEO이자 CSO 인 이동기 박사는 말했다. "을 통하여 특발성 폐 섬유증에 대한 이전 연구에서 효과적으로 억제 할 수있는 흡입 가능한 siRNA 치료제 폐 조직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의 발현. 이 플랫폼 호흡기 감염성 질병을 해결하기 위해 기술을 직접 적용 할 수 있습니다. COVID-19와 같은. 후보 siRNA에서보고있는 초기 데이터 분자는 흥미 롭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초기 단계에 있지만 회사 내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 우리는 납 화합물을 3 개월 안에 동물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OliX Pharmaceuticals는 2020 년 2 월 25 일에 COVID-19에 대한 RNAi 치료제의 개발. 특허는 30 건 이상의 소액 청구에 대한 광범위한 법적 주장을 제공합니다 COVID의 이용 가능한 게놈을 표적으로하는 간섭 RNA (siRNA) 디자인 다른 코로나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고도로 보존 된 지역 인 바이러스, SARS 및 MERS와 같은 잠재적으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구체적으로, 표적 영역은 단백질을 코딩하고있다 바이러스 복제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예 : 3CL- 프로테아제, RNA- 의존성, RNA 폴리머 라제 및 스파이크 단백질). siRNA는 작동 할 것이다 RNAi 경로 내에서 유전자의 발현을 방해 전사 후 mRNA를 분해하여 상보 적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것, 변성이 없습니다.
OliX Pharmaceuticals, Inc.
OliX Pharmaceuticals는 개발중인 임상 단계 제약 회사입니다. 의 하향 조절 발현에 의한 다양한 장애에 대한 치료제 독자적인 RN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질병 유발 유전자. 그만큼 회사의 핵심 RNAi 플랫폼 인 비대칭 siRNA (asiRNA)는 독특한 유전자입니다 RNA 간섭 (RNAi)을 기반으로 한 소음 기술 가장 효율적인 유전자 침묵 기술. asiRNA 기술, OliX 기반 치료 RNAi 플랫폼 인 세포 침투 asiRNA (cp-asiRNA) 개발 비대와 같은 국소 적으로 관리 가능한 질병을 효과적으로 목표로 흉터, 건조 및 습한 연령 관련 황반 변성 (AMD), 망막 하 섬유증, 특발성 폐 섬유증 (IPF) 및 신경 병증 통증. OliX도 다른 치료 RNAi 플랫폼 인 GalNAc-asiRNA를 개발하여 다양한 간 질환.
OliX Pharmaceuticals Announces Publication of Peer Reviewed Study in Molecular Pharmaceutics
2020 년 3 월 12 일 대한민국 수원 (GLOBE NEWSWIRE)-RNAi 치료제 개발의 선두 개발자 인 OliX Pharmaceuticals, Inc. (226950.KQ)는 오늘 선도적 인 동료 검토 저널 Molecular Pharmaceutics의 주요 연구 발표를 발표했습니다. L- 형 칼슘 채널 차단제는 세포 투과 비대칭 siRNA의 세포 전달 및 유전자 침묵 효능을 향상시킨다.” 이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전임상 연구의 발견은 L- 타입 CCB가 RNAi 치료제를 증강시키는 데 상당한 치료 잠재력을 가질 수 있음을 나타 냈습니다 이 연구는 L- 타입 CCB가 세포-침투 asiRNA (cp-asiRNA)의 세포 내 세포 흡수를 증가 시킨다는 것을 증명 이들 소분자는 시험 관내뿐만 아니라 랫트 피부에서의 생체 내에서 cp-asiRNA의 효능을 실질적으로 개선시켰다 이 연구는 치료 siRNA의 효과를 강화시키는 소분자를 식별하기위한 대체 약리학 적 접근법을 제공했습니다.
“OliX의 cp-asiRNA 기술은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asiRNA의 세포 내 전달을위한 최고의 독점 RNAi 트리거링 구조입니다. 우리는 RNA 간섭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유전자 침묵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해 임상 연구를 계속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초기 연구는 L- 타입 CCB가 이전 연구가 모두 시험관 내에서와 같이 생체 내에서 콜레스테롤-접합 된 siRNA의 효능을 효과적으로 향상 시킨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우리는 향후 치료 적용을 위해 국소 적으로 전달 된 siRNA 기반 약물의 새로운 부류의 합리적인 설계에서 L- 타입 CCB의 잠재력을 더욱 입증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OliX Pharmaceuticals, Inc. OliX Pharmaceuticals는 독자적인 RNAi 기술을 기반으로 질병 유발 유전자의 발현을 하향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장애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하는 임상 단계 제약 회사입니다. 회사의 핵심 RNAi 플랫폼 인 비대칭 siRNA (asiRNA)는 가장 효율적인 유전자 침묵 기술로 간주되는 RNAi (RNA 간섭)를 기반으로하는 독특한 유전자 침묵 기술입니다. asiRNA 기술을 기반으로, OliX는 비대성 흉터, 건성 및 습성 연령 관련 황반 변성 (AMD), 망막 하 섬유증, 특발성 폐와 같은 국소 적으로 관리 가능한 질병을 효과적으로 표적으로하는 치료 RNAi 플랫폼 인 세포 투과형 asiRNA (cp-asiRNA)를 개발했습니다. 섬유증 (IPF) 및 신경 병증 통증. OliX는 또한 다양한 간 질환을 목표로하는 또 다른 치료 RNAi 플랫폼 인 GalNAc-asiRNA를 개발했습니다.
올릭스는 미국 바이오기업 AM케미칼로부터 핵산치료제를 간 조직에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인 'N-아세틸갈락토사민(갈낙) 접합 기술'에 대한 독점 권리를 도입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올릭스는 갈낙과 후보물질을 합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질인 갈낙-포스포아미다이트와 제어된 다공성 유리(CPGs)를 공급 받는다. AM케미칼은 올릭스로부터 선급금과 향후 개발 단계에 따른 추가 수익을 받게 된다.
올릭스는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RNA간섭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이 회사는 별도의 전달체 없이 세포 안으로 질병 관련 RNA의 발현을 간섭할 수 있는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인 '비대칭 siRNA'을 보유하고 있다. 비대흉터, 황반변성, 망막색소변성증, 특발성 폐섬유증, 탈모 등 10여 개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 3월에는 프랑스의 바이오기업 떼아에 황반변성 치료제의 유럽 판권을 이전했다.
RNA간섭 치료제 분야에서 가장 앞서 있다고 평가받는 미국의 앨나이람은 갈락 기술을 이용해 급성 간성 포르피린증 치료제 기보시란에 대한 판매허가를 받았다. 애로우헤드, 다이서나 등 RNA간섭 치료제 기업들은 갈낙 기반의 후보물질을 글로벌 제약사에 기술이전했다.
이동기 올릭스 대표는 "이번 기술 도입을 통해 독자적인 약물 간 전달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세계적인 RNA간섭 치료제 기업들과 기술적으로 대등한 수준을 달성했다"며 "AM케미칼의 갈낙 접합기술과 우리의 비대칭 siRNA 기술을 접목하면 다양한 난치성질환에 효과적인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다"고 했다.
올릭스, RNA간섭 기반 간 질환 치료제 플랫폼 핵심 기술 확보
올릭스는비대칭 siRNA 플랫폼 기반 간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해 미국 AM 케미컬로부터 핵산치료제를 간조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술 N-아세틸갈락토사민(GalNAc, 이하 갈낙)-접합 기술의 특허권과 노하우에 대한 세계 권리를 독점 도입하는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올릭스는 RNA간섭 플랫폼 기술 기업이다.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RNA간섭 치료제를 개발 중이며 자체 기반기술로 임상에 진입한 아시아 최초의 기업이다. 올릭스는 화학적 변형을 통해 별도 전달체의 도움 없이 세포 안으로 전달 가능한 '자가전달 비대칭 RNA간섭 원천 기술(cp-asiRNA)'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비대흉터, 황반변성, 망막색소변성증, 특발성 폐섬유화, 탈모 등 국소 투여 가능 질환에 대한 10여개 신약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다. 지난해 3월에는 프랑스 안과 기업 떼아(Thea)에 황반변성치료제의 유럽 판권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올릭스가 갈낙 기술을 도입하기로 한 결정은 그동안 진행해온 국소 투여 치료제 개발을 넘어서서 현재 글로벌 제약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심혈관계 및 대사 질환을 포함한 간 질환 치료제 개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겠다는 의도다. 이동기 올릭스 대표는 "갈낙 기술을 이용한 siRNA의 간조직으로의 전달은 앨나이람의 급성 간성 포르피린증 치료제 기보시란 (Givosiran)의 FDA 승인으로 가능성이 검증되었으며 현재 RNA간섭 선도기업들이 신약 개발에 주력으로 사용하고 있는 기술"이라며 "앨나이람 뿐 아니라 애로우헤드(Arrowhead), 다이서나(Dicerna) 와 같은 RNA간섭 기업들은 갈낙-접합 간조직 전달기술을 바탕으로 각각 수조원에 달하는 대형 기술이전 계약을 글로벌 제약사들과 체결했다"고 말했다.
그는 "올릭스는 이번 AMC로부터의 독점적 기술도입 계약 체결을 통해 독자적인 간 전달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세계 선도 RNA간섭 기업들과 기술적으로 대등한 수준을 달성했다"며 현재 논의 중인 복수의 글로벌 제약사 들과의 플랫폼 기술이전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올릭스는 갈낙-비대칭 siRNA 합성을 위해 AMC의 갈낙-포스포아미다이트 및 제어된 다공성 유리(controlled pore glasses, CPGs)를 공급받게 된다. AMC는 선급금과 향후 개발 진행에 따라 단계별 마일스톤 및 로열티를 받게 된다.
이 대표는 “AMC의 핵산치료제 간 전달 기술을 도입하게 된 것을 큰 기회로 여기고 있다”면서 “AMC의 갈낙-접합 기술과 올릭스의 비대칭 siRNA의 접목을 통해 다양한 난치성 간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표적 치료제의 개발을 크게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피씨엘, 올릭스와 신종코로나 검사법 관련 업무협약 체결
바이러스 검사용 분자진단시약 공급 계획
체외진단 의료기기 제조기업 피씨엘(241820)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검사법에 분자진단시약을 공급하기 위해 올릭스(226950)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달 31일 검사속도와 편의성이 개선된 새로운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검사법인 ‘실시간 유전자 증폭검사(Real Time RT-PCR)’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검사법은 기존 장시간(1~2일)이 소요되던 ‘판코로나 검사법’과는 달리 6시간 이내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한 번의 검사로도 확진 확인이 가능하다.
<피씨엘은 올릭스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검사법에 필요한 분자진단시약을 공급하기 위해 올릭스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2002년에 발생한 사스(SARS) 바이러스와 유사한 RNA 바이러스로, 검사 방법에는 바이러스 유전자를 역전사해 증폭하는 분자진단방법과 면역진단방법이 있다. 올릭스는 세포 내 RNA 합성 기술을 이용해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RNA 바이러스를 통해 분자진단방법에 필수적인 양성대조물질을 피씨엘에 제공한다.
김소연 피씨엘 대표는 “현재 중국을 비롯해서 코로나바이러스 분자진단에 필요한 시약 및 재료 공급에 어려움이 있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경우 현재 양성대조물질의 공급에 어려움이 있는데 이번 올릭스와의 협업을 통해 해결할 수 있어졌으며, 중국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검출이 가능한 분자진단시약의 공급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질병관리본부와 코로나 바이러스의 고감도 현장진단 검사 시스템 구축 및 관련 특허도 출원한 바 있다.
올릭스, 황반변성 치료제 관련 미국 특허 취득
올릭스는 노인성 황반변성 치료 물질과 관련, 'ANGPT2 및 PDGFB를 표적화하는 RNA 복합체를 사용하는 혈관신생 관련 질환의 치료(Treatment of angiogenesis-associated diseases using RNA complexes that target ANGPT2 and PDGFB)'이라는 내용의 미국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올릭스 연구진은 안구 질환 치료를 위해 비대칭 siRNA 기술에 기반한 RNA 복합체를 이용해 안구 질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그 중 ANGPT2 및 PDGFB를 타겟으로 하는 RNA 복합체에서 치료 효과를 확인했다. RNA 복합체는 올릭스의 독자 기술인 asiRNA, cp-asiRNA를 이용해 설계한 RNA 분자로 화학적 변형을 통해 세포막의 침투를 가능하게 한 것이 특징이다.
올릭스 관계자는 "RNA 복합체를 통해 과도하고 비정상적인 혈관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다"면서 "동물 모델을 통해 습성 황반변성에서의 효력을 확인했으며, 신생 혈관 생성을 억제하는 RNA 복합체를 황반변성 등과 같은 안질환에 적용하여 치료, 예방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릭스, 독일 2019 OTS서 황반변성 치료제 및 기반기술 발표
올릭스는 독일 뮌헨에서 열린 2019 OTS(Oligonucleotide Therapeutics Society, 올리고핵산 치료제 학회)에서 황반변성 치료제(OLX 10020)의 동물 시험과 기반기술(cp-asiRNA)의 효력 검증 시험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올해로 15회째를 맞이하는 OTS는 올리고핵산 분야를 연구하는 주요 석학들이 참여하는 행사로 해당 분야의 공신력있는 글로벌 전문 학회다.
첫 번째 발표 주제로 다뤄진 황반변성치료제(OLX10020)는 올릭스가 개발 중인 황반변성 치료 물질로 건성과 습성 황반변성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는 혁신신약(First-in-class)이다. 특히 건성 황반변성은 치료제가 없는 상황으로 혁신 신약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OLX10020의 동물 시험은 인간의 유전자와 가장 유사한 원숭이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원숭이 안구에 황반변성 병증을 유도해 진행됐다. 단회 투여로 56일(8주) 이상 약효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했다.
올릭스는 두 번째 발표를 통해 자사의 세포 전달 기술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특정 물질을 대상으로 올릭스의 기반기술인 cp-asiRNA와 효력 검증 시험을 한 결과 세포, 동물 시험에서 세포 전달 기술의 향상으로 기존 대비 약물의 효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cp-asiRNA는 올릭스가 개발보유하고 있는 독자적인 구조기술로 비대칭을 특징으로 한다. RNA 간섭 현상을 이용한 치료제가 목적으로하는 위치에서 효율적으로 발현할 수 있도록 설계한 핵심 기반기술이다. cp-asiRNA는 원하는 유전자만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로 독성 위험 등 부작용을 축소했다.
올릭스 관계자는 "이번에 발표한 기술은 올릭스가 개발 중인 기존 플랫폼에 도입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기존 대비 적은 용량으로도 약효를 낼 수 있어 원가 절감 등의 이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저히 낮은 시총이 매력적인 올릭스
올릭스의 주가가 매력적이라는 분석
올릭스는 RNAi(RNA interference, RNA 간섭) 기술로 신약을 개발하는 바이오 업체다. RNAi 기술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이중 가닥의 siRNA(small interfering RNA)에 의해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기술로 이를 이용해 기존 의약품으로 치료가 어려웠던 난치성 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이 가능하다.
"특별한 악재나 개별 이슈가 없었음에도 다른 바이오 업체 대비 하락폭이 커 주가 매력은 높아진 상황"
"해외 RNAi 업체와 비교하면 더 매력적"
"해외 RNAi 업체 중 애로우헤드(Arrowhead)는 알파-1 항트립신결핍증 치료제인 ARO-AAT와 B형간염 치료제 JNJ-3989가 임상 2상에 진입했고 대부분 후보물질이 임상1상 및 전임상 중"
"디서나(Dicerna)는 임상 1/2상 중인 원발성 옥살산뇨증 치료제와 임상1상 중인 B형간염 치료제를 제외하고 대부분 리서치 단계에 있다"
"두 업체 모두 올릭스와 파이프라인 개발 단계가 크게 차이 나지 않지만 Arrowhead의 시가총액은 32.6억 달러, Dicerna는 9.6억 달러에 달한다"
"올릭스와 피어 그룹 간의 시가총액 차이는 글로벌제약사 대상 기술이전 유무에 있다"며 "상반기에 OLX101의 임상1상 결과와 OLX301A의 영장류 데이터 등을 발표했기에 하반기 기술이전 계약을 기대해도 좋다는 판단"
올릭스, 글로벌 15兆 시장 황반변성 치료제 효력 확인
RNA치료제 새 지평 열렸다...올릭스, 'GalNAc 접합기술' 전세계 독점권 확보
기술이전 '몸값' 높이는 핵심기술..."해외 선도기업과 대등한 수준 올라서" 주가 저평가 지적 받던 요인 해소..."빅파마 기술이전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 확보"
올릭스가 RNA간섭 기술의 가치를 대폭 끌어올리게 됐다. '간 질환 타게팅'에 필요한 핵심기술의 '전세계 독점권'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글로벌 라이선스 아웃에서 몸값이 더 높아지게 됐다는 평가다.
올릭스는 미국 AM케미컬(AMC)로부터 핵산 치료제를 간 조직으로 전달할 수 있는 'N-아세틸갈락토사민(GalNAc, 갈낙)-접합기술'의 특허권과 노하우에 대한 전세계 권리를 독점 도입하는 내용의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 '유도 미사일'로 업그레이드...플랫폼 가치↑
GalNAc은 핵산치료제를 간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GalNAc은 간 세포 표면의 ASGPR 수용체와 결합하는 성질을 갖기 때문이다. 핵산치료제의 염기 말단에 GalNAc을 연결하면 핵산치료제가 간으로 투여되게 된다. 쉽게 말하면 GalNAc이 핵산치료제를 간으로 끌고 가는 '유도체'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동기 올릭스 대표는 "기존 올릭스 cp-siRNA를 미사일로 비유한다면, GalNAc 접합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유도 미사일'을 만들 수 있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GalNAc 접합기술 확보는 매우 큰 의미를 갖는다. 우리 돈 '조 단위' 기술이전 계약을 맺은 글로벌 siRNA 기업들과 올릭스의 가장 큰 차이점이 바로 'GalNAc 확보 여부'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그동안 증권가에서는 올릭스가 GalNAc 기술을 확보하면 플랫폼 가치가 크게 높아질 것이라고 이야기해왔다.
"기존 siRNA의 한계인 세포 내 전달 이슈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간 조직 전달성을 높이는 GalNAc 기술 확보가 중요하다."
"GalNAc-siRNA 기술 플랫폼을 확보하게 되면 최근 RNAi 기술 트랜드에 맞는 플랫폼 확장성으로 기술이전에 우호적인 상황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올릭스 주가 부진 이유는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 받고 있는 GalNAc 플랫폼 기술 부재"
"GalNAc 플랫폼 기술 확보로 활발한 공동개발 파트너링이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올릭스는 "이번 계약을 통해 독자적인 간 전달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세계 선도 RNA간섭 기업들과 기술적으로 대등한 수준을 달성했다."며, "현재 논의 중인 복수의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플랫폼 기술이전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게 됐다."고 밝혔다.
■ 국소투여 넘어 '전신투여' 치료제로 확장
이번 기술 확보를 통해 플랫폼 가치가 더욱 높아진다는 것도 자신감의 배경이다. GalNAc 기술을 활용하면 기존 '국소투여' 방식을 넘어서 '전신투여'가 가능한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올릭스는 GalNAc 기술이 없어 안구와 피부 등 국소투여 방식 위주로 치료제를 개발해왔다. 이번 기술 확보를 통해 '심혈관계 및 대사성 질환 치료제' 개발로 플랫폼을 확장함으로써, 글로벌 기술이전에 우호적인 환경을 만들게 됐다는 평가다.
서 연구원은 "올릭스는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GalNAc 플랫폼 기술 부재로 siRNA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질환의 범위가 국소 투약으로 제한적이었으나, 기술 확보 후에는 간과 관련된 질환에 대해 적응증을 확대할 수 있다."며, "따라서 향후 GalNAc 플랫폼 기술 활용을 원하는 타 바이오 업체와의 공동 개발이 활발해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 대표는 "AMC의 핵산치료제 간 전달기술을 도입하게 된 것을 큰 기회로 여기고 있다."면서 "AMC의 갈낙-접합기술과 올릭스의 비대칭 siRNA의 접목을 통해 다양한 난치성 간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표적 치료제 개발을 크게 가속화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조 단위' 기술이전 공통점 'GalNAc'..."빅파마 협상에서 우위"
GalNAc 접합기술의 '있고 없고'는 RNAi 기업 가치에 하늘과 땅 차이라는 지적이다. 적응증 개발 범위가 넓어지는 것은 물론, 몸값이 높은 치료제 개발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기존 안구, 피부 등 국소투여 치료제보다 간 질환 등 전신투여 치료제가 훨씬 큰 시장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해외 RNAi 기업이 '수조원대' 기술이전에 성공한 배경에도 하나같이 GalNAc 기술이 있었다. 앨나일람(Alnylam)은 최초의 GalNAc이 결합된 기보시란(Givosiran, 급성 간성 포르피린증 치료제)으로 지난 2019년 FDA 승인을 획득한 GalNAc 플랫폼 기술의 선두주자다.
뿐만 아니라 디서나(Dicerna)는 지난 2018년 일라이릴리(EliLilly)와 5.5억달러, 2019년 로슈(Roche) 및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와 각각 16.7억달러, 38억달러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애로우헤드는 얀센(Janssen)과 HBV 치료제로 개발 중인 ARO-HBV에 대해 최대 37억달러 규모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가장 최근에는 영국 사일런스 테라퓨틱스(Silence Therapeutics)가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와 현지시간 25일 최대 20억달러 규모 계약을 맺기도 했다.
다국적 제약사들에게 RNAi 기술은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차세대 플랫폼으로 꼽힌다. RNA 기반 치료제는 호르몬·인슐린(1세대), 항체 의약품(2세대) 등에 이어 3세대 기술로 불린다.
이동기 올릭스 대표는 "다국적 제약사들이 미래를 위해 GalNAc-siRNA 플랫폼을 갖추려 하지만 아직 파트너를 확보하지 못한 곳이 많다."며, "플랫폼 핵심기술을 확보함으로써 빅파마와 협상력에서 더 좋은 위치에 설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올릭스는 실제 다양한 글로벌 제약사와 기술이전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논의가 없던 빅파마를 상대로도 GalNAc 기술 확보를 계기로 더 적극적인 프로모션이 가능할 전망이다.
다국적 제약사 가운데 길리어드(Gilead), 화이자(Pfizer), 머크(Merck), 애브비(AbbVie), BMS 등이 GalNAc-siRNA 개발사를 확보하지 못한 상황이다.
이미 올릭스는 오래 전부터 GalNAc 플랫폼 활용을 준비해왔다. 간 섬유화 치료제(OLX701) 개발을 위해 약 1년 전부터 GalNAc 기술 접목을 테스트해왔다. 동물 실험에서 피하주사를 통해 간으로 약물이 전달되는 것을 확인하기도 했다.
이 대표는 "AM케미컬 GalNAc 접합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1년 정도 공들여 왔다."며, "계약 전부터 상당한 테스트를 진행해 많은 데이터를 확보했고,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빅파마와 중요한 논의를 진행하는 것도 있다."고 말했다.
(226950) 올릭스 - (3) R & D < 제품개발 소개 , 연구발표 및 특허 , 기술이전/공동개발 >
제품개발 소개
Pipeline
저비용으로 단기간에 다수의 신약을 개발하고 siRNA의 체내 전달 및 독성 문제 극복을 위해 피부/안과/폐 질환 등국소투여 가능 질환에 집중
OLX101A
비대흉터란
진피층의 콜라겐이 과다하게 증식하여 결정형태로 튀어나오는 것으로 통증을 동반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자신감 상실 및 대인기피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반드시 치료가 필요함
현재까지 난치성 비대 흉터를 치료하는 제품으로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제품은 없음
흉터의 생성 기전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여 흉터 생성을 억제하는 치료제가 개발될 경우, 기존 치료제와의 경쟁에서 수월하게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흉터 치료제 시장
세계비대흉터/켈로이드 흉터 치료 시장은 2016년 기준 약 4조 8천억원 정도로 추산됨 (출처 : Grand View Research 2017)
메카니즘
흉터 억제 표적 유전자 -연결 조직 성장인자 (Connect Tissue Growth Factor, CTGF)
개발현황
동물모델에서 효과적인 섬유화 억제 확인
휴젤에 아시아 판권 기술이전(2013.11.01)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논문발표(비임상효력시험)
자체개발 RNA 간섭치료제 아시아 최초 1상 임상 종료(2018. 5. 16), 2상 임상 허가 (2018.11.7.휴젤 진행)
영국1상 임상종료(2019.11)
미국 FDA 2상 IND 신청 예정
정부과제 선정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 선정
OLX101 추가 적응증
└ OLX101은 특발성 폐섬유화를 비롯하여 과섬유화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질병에 적용 가능
논문발표
Hwang, J., Chang, C., Kim, J. H., Oh, C. T., Lee, H. N., Lee, C., Oh, D., Lee, C., Kim, B., Hong, S. W., & Lee, D. K. (2016). Development of Cell-Penetrating Asymmetric Interfering RNA Targeting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36(11), 2305-2313.
OLX201A
특발성 폐 섬유화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개 요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간질성 폐질환의 하나로, 병의 경과가 좋지 않고 증명된 치료 방법이 없는 질환
폐 섬유화란 피부에 상처가 나면 흉터가 생기듯이 폐 조직에 상처가 나서 딱딱하게 굳는 현상을 말함
증 상
호흡곤란과 기침
청색증 (저산소증에 의해 입술주변이 파랗게 질리는 현상)
곤봉지 (만성적인 저산소증에 의해 손가락 끝이 둥글게 되는 현상)
시장 현황
유럽 기준, 현재 폐섬유화 환자 수는 8만~11만명으로 추정되고 매년 35,000명의 새로운 환자가 생기고 있음(출처 : European IPF Charter)
IPF 치료제 시장은 2015년 9천억원, 2025년에 미국 유럽 통산 3조 2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출처 : GlobalData Healthcare 2016)
현재까지 폐 이식 이외에는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는 상황으로, 질환의 진행속도를 늦추고 폐 기능 상실을 막을 수 있는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됨. 이에 따라 다국적 제약사의 관심이 매우 큰 산업/경제적으로도 개발의 가치가 충분히 있는 시장으로 사료됨
정부과제 선정
한-싱가포르 국제공동연구 과제 선정 (2014.10~2017.09)
개발현황
동물모델에서 탁월한 효력 확인(논문 발표준비 중)
OLX301A
노인성 황반변성
시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황반에 존재하는 망막색소상피 (Retinal Pigmented Epithelium, RPE) 부분에 드루젠 (Drusen), 망막색소상피위축 (Retinal Pigment Epithelial Atrophy), 맥락막신생혈관 (Choroidal Neovascularization)등의 변성이 생겨 시력상실을 초래함
전세계적으로 주요 실명 원인 질환의 하나이며, 특히 서구에서는 65세 이상의 인구에서 발생하는 실명 원인 1위 질환임
건성 황반변성과 습성 황반변성 두 종류가 있음
습성황반변성은 노인성 황반변성 모든 증례의 약 10%를 차지하며, 건성황반변성이 약 90%를 차지
눈은 안내주사로 국소적 접근이 가능한 장기이며, OLX301을 적용하기 가장 적합한 장기
시장 현황
전세계적으로 주요 실명 원인 질환의 하나이며, 선진국에서 성인의 실명원인 1위 질환
전 세계적으로 황반변성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여 2020년에는 환자 수가 2억 명, 2040년에는 3억 명으로 예상됨.(출처 : 2014년 싱가포르 안과연구협회)
미국의 노인성 황반변성 환자수는 2014년 기준 175만명으로 추산(출처 : All about vision, Understanding AMD 2014)
황반변성 치료제 글로벌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약 5.5조, 2026년까지 약 13조원으로 성장 전망됨(출처: GlobalData 2018, 주요 7개국)
개발현황
미국 버지니아 의대 Dr. J. Ambati 교수와 공동연구 진행 중
복수의 건성황반변성 동물 모델에서 탁월한 효력 확인
습성황반변성 동물 모델에서도 효력 확인
Théa Open Innovation by Laboratories Théa S.A.S에 OLX301A 기술이전 (2019.03.15)
미국 FDA 1상 IND 신청 예정
OLX301D
망막하섬유화증이란
망막하섬유화증 (subretinal fibrosis)은 망막주변에 섬유조직이 증식하는 현상으로 황반부종과 박리(macular edema and detachment)를 유도하여 시력을 영구적으로 훼손함
습성황반변성 (exudative/neovascular AMD), 당뇨병성망막병증 (diabetic retinopathy), 중심망막혈관폐색증 (central retinal vein occlusion), 시신경신경병증 (optic neuropathy) 등 주요 만성 망막 질환들의 대부분에서 공통적으로 망막 섬유화가 발생하고 있지만 치료제가 전무함
개발현황
미국 하버드의대 Dr. Vavvas 교수의 과학자문 진행 중
습성황반변성 환자의 맥락막신생혈관과 망막하섬유화증 동시 치료가 가능한 First-in-Cass 치료제 개발 중
동물 실험을 통해 맥락막신생혈관과 망막하섬유화증 동시 치료 효능 확인
미국 FDA 1상 IND 신청 예정
연구발표 및 특허
올릭스의비대칭 RNAi원천기술
OliX 보유 RNAi 구조
asiRNA
siRNA와 유사한 효율, 오프타겟 효과 및 면역 부작용 최소화
특허 : PCT/KR2008/007530 등록 : 한국, 유럽, 일본, 호주, 중국출원 : 미국
lasiRNA
향상된 유전자 억제 효율, 오프타겟 효과 및 면역 부작용 최소화
특허 : PCT/KR2011/006632 등록 :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중국출원 : 캐나다
cp-asiRNA
자가전달 비대칭 RNA 기술
특허 : PCT/KR2013/004463 등록 :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중국
tiRNA
세포 내 전달능이 증가된 다중 siRNA 복합체
특허 : PCT/KR2010/000678 등록 : 한국, 유럽, 일본출원 : 미국
bg-asiRNA
Bulge 도입을 통한 부작용 최소화
특허 : PCT/KR2010/007771 등록 : 한국, 미국
OliX 보유 RNAi 기술 관련 논문
Hwang, J., Chang, C., Kim, J. H., Oh, C. T., Lee, H. N., Lee, C., Oh, D., Lee, C., Kim, B., Hong, S. W., & Lee, D. K. (2016). Development of Cell-Penetrating Asymmetric Interfering RNA Targeting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36(11), 2305-2313.
Hong, S. W., Park, J. H., Yun, S., Lee, C. H., Shin, C., & Lee, D. K. (2014). Effect of the guide strand 3′-end structure on the gene-silencing potency of asymmetric siRNA. Biochemical Journal, 461(3), 427-434.
Chang, C., Hong, S. W., Dua, P., Kim, S., & Lee, D. K. (2013). The design,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asymmetric small interfering RNA for specific gene silencing in mammalian cells. siRNA Design: Methods and Protocols, 135-152.
Jo, S. G., Hong, S. W., Yoo, J. W., Lee, C. H., Kim, S., Kim, S., & Lee, D. K. (2011). Selection and optimization of asymmetric siRNA targeting the human c-MET gene. Molecules and cells, 32(6), 543-548.
Chang, C. I., Kim, H. A., Dua, P., Kim, S., Li, C. J., & Lee, D. K. (2011). Structural diversity repertoire of gene silencing small interfering RNAs. Nucleic acid therapeutics, 21(3), 125-131.
Chang, C. I., Yoo, J. W., Hong, S. W., Lee, S. E., Kang, H. S., Sun, X., Rogoff, H. A., Ban, C., Kim, S., Li, C. J., & Lee, D. K. (2009). Asymmetric shorter-duplex siRNA structures trigger efficient gene silencing with reduced nonspecific effects. Molecular Therapy, 17(4), 725-732.
Kim Y, Kang YG, Choe JY, Lee D, Shin C, Hong SW, Lee DK (2018) RNA Interference-Mediated Gene Silencing by Branched Tripodal RNAs Does Not Require Dicer Processing, Nucleic Acid Therapeutics, 28(1):4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