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스닥 38개사 상폐 (상장폐지) 수순

2년 연속 상폐 사유 발생 14개사
3년 연속 상폐 사유 종목 6개사
신규 상폐 사유 발생 기업 18개사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지난달 31일까지 접수된 2021사업연도 12월 결산법인 사업보고서를 심사한 결과 상장폐지 사유 발생 38개사 등을 시장 조치했다.

거래소에 따르면 12월 결산법인 총 1524개사 중 외국법인 21개사를 제외한 1503개사가 사업보고서 심사대상에 올랐으며 이중 상장폐지 사유 발생이 38개사, 관리종목 신규지정 24개사와 지정해제 20개사 등이 시장조치됐다.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하는 법인 중 신규로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한 18개사는 상장폐지에 대한 통지를 받은 날부터 15영업일 이내에 이의 신청을 할 수 있으며 이의신청을 하는 경우 차기 사업보고서 법정제출기한의 다음날부터 10일 즉, 오는 2023년 4월10일까지 개선기간이 부여된다.

해당되는 기업은 △인트로메딕(150840) △베스파(299910) △지나인제약(078650) △바른전자(064520) △휴먼엔(032860) △에스맥(097780) △지티지웰니스(219750) △휴센텍(215090) △피에이치씨(057880) △오성첨단소재(052420) △시스웍(269620) △연이비앤티(090740) △이즈미디어(181340) △한송네오텍(226440) △에디슨EV(136510) △포인트모바일(318020) △CNT85(056730) △코센(009730) 등이다.

2년 연속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한 14개사는 지난 2020사업연도 감사의견 상장폐지 사유와 병합해 올해 기업심사위원회를 개최, 상장폐지 여부를 심의·의결할 예정이다. 3년 연속에 해당되는 6개사는 이미 상장폐지가 결정된 바 있으므로 추가적인 상장폐지 절차는 진행되지 않는다.

관리종목 지정의 경우 총 24개사가 관리종목으로 신규 지정됐고 20개사는 지정해제됐다. 거래소 측은 “관리종목 신규 지정 법인은 전년 21개사 대비 소폭 증가했지만 지정해제 법인은 14개사에서 20개사로 대폭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투자주의 환기종목에는 총 31개사가 내부회계 관리제도 비적정 사유로 투자주의 종목으로 신규지정됐으며 20개사는 내부회계관리 제도 비적정 사유를 해소해 지정 해제됐다. 이에 따라 11개사가 순증가했으며 이는 전년도 7개사 대비 증가한 수치다.

 

반응형
반응형

코스피·코스닥 상장폐지 위기 40곳 (종합)

코스피 7개사, 코스닥 33개사 상장폐지 절차 진행

한진重·동부제철 등은 관리종목 해제

<연도별 상장폐지 및 관리종목 지정·지정해제 현황>


국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40개사가 상장폐지 위기에 놓였다. 동부제철과 한진중공업 등 유가증권시장 일부 종목은 관리종목에서 벗어나 한숨을 돌렸다. 코스닥시장에서도 관리종목 지정 업체가 줄어드는 추세였다.

31일 한국거래소는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내 12월 결산법인의 2019년 사업연도 사업보고서 제출이 전일 마감되자 상장폐지절차 진행 업체와 관리종목 신규 지정 및 해제 업체를 발표했다.

◆코스피 7곳·코스닥 33곳 상장폐지 위기=유가증권시장에서는 감사의견 '거절'(부적정)을 받은 7개사가 상장폐지절차 진행사로 추려졌다. 이중 유양디앤유 , 지코 , 폴루스바이오팜 , 컨버즈 , 하이골드8호 등 5개사의 경우 이의신청서 제출하면 상장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상장폐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제출시한은 유양디앤유와 하이골드8호는 다음달 9일, 지코와 폴루스바이오팜은 20일, 컨버즈는 21일이다.

2년 연속 감사의견 '거절'을 받은 신한 과 웅진에너지 등 2개사는 다음달 9일까지 부여된 개선기간 종료 후 상장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상장폐지 여부가 결정된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총 33개사가 상장폐지절차 진행 대상이었다. 코나아이 등 32개사는 감사의견 비적정(범위 제한 한정, 의견거절)이 사유였다. 파인넥스 의 경우 사업보고서 미제출로 상장폐지기준에 해당됐다. 상장폐지절차 진행 대상 업체 중 올해 새롭게 추가된 기업은 23개였다. 전년도 25개사보다 소폭 줄었다. 피앤텔 등 10개사는 2018년도 감사의견 비적정으로 다음달 9일까지 개선기간이 부여된 상태다.

◆청호컴넷·흥아해운 등 관리종목 지정…코스닥은 감소추세=유가증권시장에서 관리종목으로 새롭게 지정된 업체는 청호컴넷 과 흥아해운 등 2개사였다. 청호컴넷은 자본잠식률 84%로 지난 20일 관리종목으로 지정됐다. 흥아해운은 사업보고서 미제출이 사유였다. 다음달 13일까지 사업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상장폐지절차를 밟게 된다. 그 밖에 키위미디어그룹 은 지난해 말 기준 자본금 전액잠식 사실을 해소하는 입증 서류와 분기 매출액 5억원 미달 사실 확인 등에 따라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여부가 판가름날 예정이다.

기존 관리종목 지정 9개사 중 동부제철 과 한진중공업 등 2곳은 관리종목에서 해제됐다. 동부제철은 감사의견 '적정'을 받았고, 한진중공업은 '자본잠식 50% 이상' 사유가 해소됐기 때문이다.

<코스닥업체 2019사업연도 상장폐지 및 관리종목 사유별 시장조치 현황>


한편 코스닥시장에서는 관리종목 지정 증가폭이 줄어드는 추세였다. 픽셀플러스 등 28개사가 4사업연도 간 영업손실 발생, 대규모 손실 발생, 상장폐지 사유 발생 등으로 관리종목으로 지정됐다. 신규지정된 업체에서 해제된 업체를 뺀 순증분은 14개사로 전년 23개사(신규지정 34개사, 해제 11개사) 대비 절반 가까이 줄었다.

한편 아이에이네트웍스 등 37개사는 내부회계관리제도 비적정 사유 때문에 투자주의환기종목으로 신규 지정됐다. 예스24 등 14개사는 내부회계관리제도 비적정 사유를 해소해 투자주의환기종목에서 해제됐다. 투자관리종목 순증분은 23개사로 전년도(신규지정 30개사, 해제 7개사)와 동일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