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바닥일까, 아닐까.

투자자 사이 불붙은 논쟁이다. 7일(현지시간) 미국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2만2653.86으로 거래를 마쳤다. 지난달 23일만 해도 다우지수는 1만9000선까지 뚫리며 1만8591.93로 추락했다.

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는 보합세로 장을 마쳤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NYSE) 앞. 


이후 다우지수는 차근차근 하락폭을 만회하며 2만, 2만1000선에 이어 2만2000선까지 재탈환했다. 최악의 하루를 기록했던 지난달 23일과 비교하면 7일까지 상승률은 21.8%에 이른다.

이 기간 나스닥종합지수도 15%,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도 18.9% 올랐다. 뉴욕 증시가 불과 2~3주 사이 20% 안팎 상승률을 기록하고 미국과 유럽 지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 증가세도 한풀 꺾이자 금융시장에선 바닥 논쟁이 일기 시작했다.

이 논란에 대한 주요 해외 투자은행(IB)의 판단은 일치한다. ‘아직 최악은 닥치지 않았다’다.

골드만삭스 수석 자산전략가인 데이비드 코스틴은 미국 경제전문방송 CNBC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주가 하락 위험이 상승 가능성보다 훨씬 큰 상황”이라며 “(금융위기가 한창이었던) 2008년 4분기 때도 주가가 종종 20%씩 상승하기도 했지만, 결국 바닥을 친 건 2009년 3월 이후”라고 지적했다.

8일 일본 도쿄증권거래소 앞 전광판. 


코스틴은 “그때와 마찬가지로 지금은 ‘베어 마켓 랠리(Bear market rally)’가 나타나고 있을 뿐이며, 주가가 바닥인지 아닌지를 논하기엔 아직 이르다”고 경고했다.

베어 마켓 랠리는 주가가 장기간에 걸쳐 하락하는 걸 의미하는 ‘베어 마켓’, 주가 상승을 의미하는 ‘랠리’를 합친 말이다. 큰 흐름상 주가가 하락하곤 있지만 순간순간 지수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JP모건은 분석 보고서를 통해 “다음주부터 기업의 올해 1분기 실적 발표가 이어질텐데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충격이 어느 정도인지 수치로 확인하기도 전에 안도 장세가 나타나고 있는 건 위험한 현상”이라고 짚었다.

미 경제매체 마켓워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뉴욕주의 코로나19 신규 환자 수가 감소세로 돌아선 것을 두고 “터널 끝 불빛이 보인다”고 한 비유를 비틀어 시장 상황을 꼬집었다. 마켓워치는 “투자자들은 터널 끝 불빛을 보고 있는 것 같은데, 이게 달려오는 기차면 어쩔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프랑스 투자은행인 소시에테제네랄의 글로벌 전략가인 알버드 에드워즈는 마켓워치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투자자 사이에 자리하고 있는 낙관론은 이전 오랜 기간 이어온 강세장이 남긴, 과거의 유산일 수 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달 경제지표를 봤을 때 이미 세계 경제는 경기 불황기(Recession)에 진입했다는 증거는 차고 넘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블룸버그통신은 각국의 실업수당 청구 건수, 전 세계 무역량 등이 지난달을 기점으로 급하게 꺾였다는 점을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코로나19 환자 증가 속도가 잦아들긴 했지만 아직도 자가 격리, 직장 폐쇄 권고는 유지 중”이라며 “코로나19 감염 위험성을 어떻게 차단시켜 사람들이 일터로 돌아가게 할 지는 안갯속”이라고 보도했다. 이어 WSJ는 “경제 회복 여부는 여전히 코로나19에 대한 공공 의료 대응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따라 달려있다”고 덧붙였다.

 

반응형
반응형

미·유럽 증시 33년만 최악의 날…'경제 팬데믹' 막을 카드 없다!







지난 9일(현지시간) ‘검은 월요일’은 시작에 불과했다. 12일 미국과 유럽 증시가 주가지수 하락률이 10%를 넘나드는 대폭락 장세로 동시에 빠져들었다.

세계 금융시장을 덮친 충격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을 이미 넘어섰다. 주가 하락 폭으로는 검은 월요일이란 용어의 시초가 됐던 1987년 이후 최대였다. 세계 증시의 역사가 이날 다시 쓰였다. 33년 만에 닥친 최악의 하루였다.


1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한 트레이더가 손으로 얼굴을 가리고 있다.

이날 미국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하루 전보다 2352.60포인트(-9.99%) 급락한 2만1200.62로 마감했다. 단 하루 만에 다우지수는 2만3000대에서 2만1000대로 수직 하강했다. 10% 가까이 하락하면서 2만 선 붕괴를 바로 눈앞에 뒀다.

나스닥종합지수도 750.25포인트(-9.43%) 추락하며 7201.80으로 내려앉았다. 9000선이 무너진 지 불과 6일(거래일 기준) 만에 7000선을 지키기도 버거운 상황이 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도 260.74포인트(-9.51%) 하락한 2480.64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 증시가 개장하자마자 S&P 500지수가 폭락하며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됐다. 이 지수 하락 폭이 7%를 넘어가면서 시장 충격 완화를 위해 뉴욕 증시 전체의 주식 거래가 15분간 일시 중단됐다.

9일에 이어 사흘 만에 서킷 브레이커가 다시 작동했다. 하지만 이런 조치에도 주가지수 하락세는 멈추지 않았다. 시장 충격에 놀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이날 이례적으로 추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대규모 유동성 공급 계획을 밝혔지만 주식시장 공포 심리를 진정시키기는커녕 불안만 키웠다.

여러 악재가 동시에 터져 나오면서 Fed 대응은 효과를 내지 못했다. 전 세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번지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두고 11일 세계보건기구(WHO)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공식 인정했다.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가 촉발한 유가 전쟁은 아랍에미리트(UAE)의 참전으로 인해 확전 양상으로 치닫는 중이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 여행객 입국 30일간 제한 조치를 코로나19 대책이라며 들고나오면서 ‘검은 목요일’ 발발의 방아쇠를 당겼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유럽 입국 제한 조치가 코로나19 확산으로 흔들리던 금융시장을 더 큰 불안으로 몰아넣었다”며 “트럼프 행정부가 코로나19 대유행과 지금의 경제 혼란을 제어할 만한 능력이 사실상 없다는 판단에 시장은 투매 양상으로 가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12일 뉴욕 증시는 10% 폭락하며 33년 만에 최악의 하루를 보냈다.

미국 방송 CNN은 “그동안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규제 완화와 세금 감면에 환호해왔다”며 “하지만 이제 월스트리트(미국 증권가)와 트럼프 대통령의 우호적 관계는 공식적으로 끝이 났다”고 지적했다.

앞서 유럽 증시도 33년 만에 최악의 목요일을 보냈다. 이날 유로스톡스 50지수는 전일 대비 360.33포인트(-12.40%) 하락한 2545.23으로 거래를 마쳤다. 독일(-12.24%), 영국(-10.87%), 이탈리아(-16.92%), 프랑스(-12.28%) 등 유럽 주요 증시 모두 10% 넘는 낙폭을 기록했다. 역시 87년 10월 이후 최대 낙폭이다.

유럽 증시 동반 급락에 놀란 유럽중앙은행(ECB)이 이날 정례 통화정책회의에서 시장에 돈을 쏟아붓는 대규모 유동성 공급에 나서겠다고 발표했지만 약효는 없었다. 시장의 불안을 가라앉힐 만한 효과를 내기 어려울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이날 0%인 기준금리를 낮춰 ‘마이너스(-)’ 금리 시대를 열 것이란 시장의 기대를 깨고 ECB는 동결을 선언했다. 유동성 공급 대책만 내놨다. 앞으로 시장이 얼마나 더 나빠질지 예측하기 어려운데 ECB로선 얼마 남지 않은 금리 인하란 실탄을 꺼내 들기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12일(현지시간)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가 10% 급락했다는 사실을 알리는 NYSE 전광판.


유럽만의 문제가 아니다. 동시에 터져 나오는 악재에 각국 정부, 중앙은행 모두 마땅한 대응 카드를 찾지 못하고 있다. 북미ㆍ유럽ㆍ아시아 할 것 없이 대부분 국가가 초저금리, 눈덩이 재정 적자 등 비슷한 문제를 안고 있어서다. 현실로 다가온 글로벌 경제 ‘팬데믹’ 상황에서도 이를 잡아줄 마땅한 ‘브레이크’가 없단 얘기다.

미 경제매체 포천지는 “이미 주식시장은 침체기에 접어들었다”며 “이제 시장은 살려달라고 아우성치는 형국”이라고 전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