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5600) 신라젠 - (3) 파이프라인 & 파트너십
파이프라인
파이프라인 개요
신라젠에서 개발중인 적응증 확대 및 병용치료법 연구현황
펙사벡 (JX-594)
Wyeth Strain Backbone Pipeline
펙사벡 (Pexa-Vec, JX-594)
펙사벡은 우두(백시니아)바이러스를 유전자 재조합하여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는 항암 바이러스입니다. 펙사벡의 작용기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암세포 내에서만 증식하고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
- 암세포 파괴 과정에서 체내 면역 반응촉진으로 지속적인 암세포 공격
- 암세포와 연결된 혈관세포 폐쇄를 통한 암세포 성장 억제
우두바이러스가 본질적으로 암에 선택성을 갖지만,
1 펙사벡은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더 큰 선택성을 갖게 됩니다.
2 EGFR/Raf/Ras 신호의 활성화에 따라 펙사벡은 증식하게 됩니다.
3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TK레벨이 비활성화된 펙사벡은 암세포만을 공격할 수 있는 선택성을 갖게 되어 TK레벨이 높은 곳인 암세포에서만 증식하게 됩니다.
또한, 면역유도물질인 GM-CSF를 삽입하여 펙사벡은 종양에 대한 면역반응을 불러일으킵니다.4
단독요법
현재까지 펙사벡5 은 약 400명의 환자에게 투여되었으며, 감기 유사 증상과 같은 경미한 정도의 부작용만 있었습니다.
또한, 펙사벡은
(1) 정맥 내 투여(IV) 및 종양 내 투여(IT) 로 주입이 가능하며,6
(2) 암세포와 연결된 혈관세포 폐쇄를 통한 암세포를 억제하며,7
(3) 암세포 파괴 과정에서 체내 면역 반응 촉진으로 지속적인 암세포를 공격하게 됩니다.
병용요법
전임상 시험 결과,
펙사벡은 PD-1 및 CTLA-4계열의 면역관문억제제와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작용기전을 나타냈습니다.
신라젠과 파트너사는 다양한 면역관문억제제와의 병용요법을 위한 새로운 임상시험을 구축해 나갈 것입니다.
JX-900 Series
Western Reserve Backbone Pipeline
JX-970
JX-970은 Western Reserve 균주를 가진 우두(백시니아)바이러스 기반의 항암 바이러스입니다. 또한, 면역 유도 물질인 GM-CSF를 삽입하여 면역 반응을 일으킵니다. 전임상 시험에서 JX-970을 통해 종양 크기가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종양을 선택적으로 살상하는 기전을 나타냈습니다.1
JX-900 (VVDD)
JX-900시리즈는 티미딘 키나제(TK)와 백시니아 성장인자(VGF)를 제거하여 종양 선택성이 부여되었습니다.
파트너십
펙사벡 파트너십
펙사벡 상업화 전략
신라젠은 공동개발 파트너 및 기술 수출 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기업 & 종목 소개 > - KOSDAQ 코스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5600) 신라젠 - (5) 공식 입장문 (0) | 2020.04.22 |
---|---|
(215600) 신라젠 - (4) 기업뉴스 (0) | 2020.04.22 |
(215600) 신라젠 - (2) 핵심기술 & 논문 (0) | 2020.04.22 |
(215600) 신라젠 - (1) 회사소개 (0) | 2020.04.22 |
(065450) 빅텍 - (4) 기업뉴스 (0) | 2020.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