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50900) 파수 - (5) IR < Investor Relations >

 

데이터 보안에서 애플리케이션 보안, 개인정보 비식별화로 영역 확장

파수닷컴은 2000년 설립되어 데이터 보안 영역에서 국내 M/S 1위 기업으로 성장했다. 데이터 보안이란 암호환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디지털 저작권 관리) 기술을 기 반으로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동사는 세계 최초로 DRM 기술을 상용화하여 데 이터 보안 영역에서 국내 최다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파수닷컴은 데이터 보안의 안정적인 점유율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 보안과 개인정보 비식 별화 시장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2019년 3분기 누적 매출비중은 데이터보안 41.2%, 애플리케이션 보안 19.7%, 정보보호컨설팅 11.0%, 유지관리 외 28.1%이다.

애플리케이션 보안 시장 고성장의 수혜

애플리케이션 시장이 성장하면서 시큐어코딩 등 애플리케이션 보안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2013년 시큐어코딩을 의무화하였다. 파수닷컴은 2014년 1월 국내 최초로 시큐어코딩CC 인증을 획득하며, 애플리케이션 보안 시장에서 사업 영역을 확장해나가고 있다.

파수닷컴은 2018년 애플리케이션 보안사업부문을 ‘스패로우’라는 사명으로 분할 설립했다. 스패로우는 국내 공공 및 금융 기관의 외산 애플리케이션 보안 위주의 시장을 먼저 공략하고 있으며, 향후 미국·일본·중국 등 해외 매출 증대를 위해 노력 중이다.

데이터 3법 국회 통과로 개인정보 비식별화 시장에서 의미있는 성과 기대

파수닷컴이 추진하고 있는 신규사업 중의 하나인 개인정보 비식별화(제품명 ‘AnalyticDID’) 는 20년 1월 국회에서 데이터 3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매출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데이터 3법 개정안은 중복으로 규제되던 데이터 관련 세가지 법을 통합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내용 의 핵심은 개인정보라하더라도 비식별화가 가능한 경우 최초 수집 시의 목적과 다르게 활용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금융분야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업적 목적의 통계 작성 및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금융기관에서 법 시행 이후 이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개인정보를 활용 함에 앞서서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하여 가명화, 익명화하는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 국내 개인정보 비식별화 서비스가 가능한 기업은 3개뿐으로 파수닷컴의 개인정보 비식 별화 서비스인 ‘AnalyticDID’는 금융보안원, 한국정보화진흥원, 한국인터넷진흥원, 사회보장 정보원의 비식별 전문기관에 공급되어 있으며 국립암센터, 국민건강보험, LG U+, KB금융, BC카드, 국방부 등 다수의 공공 및 금융 기관에 솔루션 및 컨설팅 적용 중이다.

희석효과를 감안한 파수닷컴의 2020년 예상 PER은 8배 수준으로 동종 평균 및 성장성을 감안하면 현저히 저평가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