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48140) 비디아이 - (4) 사업개발 & 연구개발

 

사업소개

Consoritium with KECC to develop business in overseas

 

폐기물 에너지화 사업 (플랜트)

환경설비, 폐기물 처리설비, 냉/난방설비, 환기설비, 화학공장설비, 제철산업 및 기타산업시설의 기계설비, 계측제어설비, 자동화설비 및 종합감시제어시스템에 대한 타당성 조사, 기본 및 실시설계, 책임감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사업분야

  • - 폐기물 처리설치(소각, 재활용, 음식물 자원화, MBT+RDF발전, 송수관로 등)
  • - 슬러지 처리설비(퇴비화, 건조, 고화, 소각, 탄화, 용융 등)
  • - 발전설비(병합발전, 풍력발전, 매립가스 및 소화가스 발전 등)
  • - 신재생 에너지 설비
  • - 산업 플랜트
  • - 건축기계설비(냉/난방, 환기 등)
  • - 자동제어설비

 

매립지

풍부한 경험과 전문적인 기술진의 연구를 토대로 환경영향평가, 환경관리 및 계획, 사후환경영향조사, 사전환경성 검토, 방지시설 (대기/수질/ 소음ㆍ진동) 설계ㆍ시공 및 폐기물처리시설 (매립지, 소각) 설계ㆍ시공 등 다양한 환경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사업분야

환경부

    • - 환경평가 : 환경영향평가 / 사후환경 영향조사 / 사전환경성검토
    • - 환경관리 및 계획 : 대기관리 / 수질관리 / 폐기물관리 / 소음관리 / 자연환경관리

환경신성장부

  • - 방지시설 및 처리시설 설계 : 수처리시설 / 폐기물처리시설 / 소음방지시설

 

항만

 

공단조성 (단지)

Consoritium with Seoyoung Engineering to develop industrial park..

BDI Holdings support execution, supervision / CM.

 

WTE & Landfill Reference

 

연구개발

COAL DRYER SYSTEM

세계 최고의 플랜트 기업이 되기 위해 BDI의 연구 개발은 계속 됩니다

 

페열발전

친환경을 추구하는 BDI는 버려지는 페열를 회수한 후 고효율 ORC 발전 방식으로 전기에너지 생산 기술 개발

 

VALVE [Circle(Dome) Valve, Inline Valve]

간단한 구조의 완벽한 밀폐성, 내구성, 유지보수의 편리성으로 벌크성 재료 (Bulk Material)

이송라인 개폐(Shut-Off)용으로 개발된 원형밸브는 세계적으로 증명된 이송 유체의 OPEN/CLOSE에

가장 효과적인 장치로 BDI의 고유설계로 특허등록된 제품.

BDI의 지난 20년간의 화력발전 회이송 설비, 곡물이송설비 장치산업의

Know-How가 함축된 BDI 원형밸브(BDCV Ⓡ) 및 라인밸브(BDLV Ⓡ)는

다른 다양한 분야( 식품, 시멘트, 석유화학, 요업, 재철, 제강)로 그 이용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그 신뢰성은 한층 더 커지고 있다.

개폐동작 원리

- 유체 차단 (Valve Close) : 밸브 ACTUATOR 조작용 압축공기로 유입상태에서 실(SEAL, SEAT)이 팽창 완전밀폐상태유지

- 유체 개방 (Valve Open) : 개방 동작 직전 압축공기의 자동 방출로 실(SEAL) 수축 후 개방(불필요한 마찰로 인한 마모 방지)

- Dome 축의 90℃ 회전만으로 밸브 완전 개폐됨으로 유체이송 Shut-Off 속도가 탁월하며, 밸브로 인한 유체흐름 장애 전혀 없음

BDCVⓇ 및 BDLVⓇ 의 장점

- 증명된 심플한 구조 및 내구성
- 운전의 신뢰성
- 유지보수 편리성
- 완전 개방 및 밀폐성
- 다양한 분야 적용 (Ash, 곡물, 광물, 화공, 비료 등)
- 넓은 운전범위 (Pipe Size : 50 ~ 1000mm 운전압력 : ~ 35bar, 운전온도 : ~ 300℃)
- 운전 조건에 맞는 돔 재질 선정에 따른 우수한 내산, 내식성

운전조건에 따른 돔 및 밸부 내부 코팅 Seal

1.크롬-접착, 마모성 물질이송

2.텅스텐 카바이드 - 마모성 물질이송

3.엑포시 레진 - 부식성 물질 이송

4.강화 PTFE - 식품, 접착성, 습분 이송

5.Dome 코팅은 밸브 내부면 및 adaptor에도 적용된다.


운전 온도 및 유체조건에 따른 재질 선정

1.네프론 : ~ 100℃ 2/3 바이톤 / 실리콘

2.EPDM : 화학약품

3.음식산업 위생관련 맞춤 재질

 

운전 이점

기존 개폐밸브의 미미점 완벽 보완으로 운전 신뢰성 확보로
다양한 응용분야로 활용 확대.

  • 내마모성 : 개폐시 실과 돔의 분리로 슬러리, 미분, 곡물, 고농도 회분함유 가스에 이용시 마모의 염려 없음.
  • 차압 (Pressure Difference) : 독특한 구조로 밸브로 인한 차압이 발생치 않으며, 그로인한 마모가 발생하지 않는다.
  • 운전온도 : 열로 인한 밸브 seat 변형 없음. 규격품으로 0℃~ 350℃ 운전가능 (재질선정으로 더 높은 온도에서도 운전가능)
  • 돔스커레퍼로 돔과 이송물질간 접착,축적 방지
  • 자동 / 수동 운전 가능
  • 마모 / 온도 / 압력 : 기존 개폐밸브로 장기운전 불가한 운전조건에서도 뛰어난 성능발휘, 100,000건 이상의 기존밸브 교체 설치로 성능 인정.
  • 마모성 고농도 유체이송에서도 1,000,000번 이상의 개폐동작 후 성능 변화 없음.

 

Dome Valve (For Conveyance) 1

Dome Valve (For Conveyance) 2

 

실적 (수주)

OVERSEAS REFERENCE PLANT

 

반응형
반응형

(148140) 비디아이 - (3) 사업부문 < Petrochemical Plant >

 

Petrochemical Plant

VACUUM SYSTEM

공기이송 방식에서 흡입식 이송을 하는 경우는 공기원 기기를 계통의 후단부에 설치하여 관로의 시발점에서 흡입한 공기에 의해 분립체를 수송합니다. 이송 계통의 시작점에는 FILTERING 장치를 설치 하여 이물질 혼입을 방지하고, 이송원료가 배출되는 계통의 후단부는 원료와 공기가 분리될수 있도록 분급기를 설치합니다. 주로 사용하는 공기원은 ROOTS,TURBO,FAN BLOWER이며 타 이송방식에 비해 설비가 간단하고 여러 계통에서 1개소로 집약 수송을 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가격이 저렴한 이점이 있습니다.

흡입식의 특징
비교적 설비가 간단하다. 여러곳에서 1개소로 집약 수송을 할수있다.
부착성 및 마모성이 적은 수송물에 대해서는 주기기를 포집기 앞에 설치하고, 간단한 배출기로 연속 배출할 수 있다.
압송식으로 공급하기 어려운 이송물도 공기와 함께 흡입하므 로 공급하기 쉽고, 진공식이므로 원료가 비산할 염려가 없다.
수송물을 수송관안에 공급하기 쉽고 공급점에서 발록현상이 없다.


흡입식의 유의사항
실용 흡입 압력이 한정 되어 있으므로 수송거리와 수송량을 동시에 크게 할 수 없고, 어느 하나가 제약을 받는다.
수송물이 분진을 함유한 경우에는, 공기원 기계의 전단에 성능이 뛰어난 분진 포집기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공기원 기계는 팽창한 공기를 흡입,이송하기 때문에 대형이 되어 가격이 높아진다.


적 용
선박등에서의 양육, 식품, 화학, 곡물이송, 유독물의 수송등


PVC HANDLING
본 설비는 CHEMICAL 원료 이송장치로서 공기원 기기를 장치 후단부에 설치하여 이송,계량,배합하여 제품 원재료를 생산하는 설비입니다.
주 원료는 PVC 이고 이송과 동시에 계량작업이 가능하며, 계량 편차는 최소로 하여 제품생산에 오차가 없습니다.
액상원료 또한 이송과 동시에 계량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수 있고, 이송에서 계량, 배출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3~5 분 이내로 개별 작업이 가능합니다.
주장치는 원료를 저장하는 SILO와, 공기원(BLOWER), 계량기 등으로 구성되며, 흡입방식의 기본적인 구성입니다 계량기는 공간의 제약이나 설치에 관계되는 위치에 따라 직접 계량, 또는 타 계량장치를 이용한 계량작업이 가능합니다.

 

흡입식의 설치 예

1.원료저장 SILO
본설비에 제작 시공한 SILO는 SKIRT TYPE이며 PVC 및 CaCO3원료 저장용으로 시공되었습니다.

2.계량 호퍼 (BAG FILTER CYCLONE)
흡입식으로 이송된 원료의 중량을 검출할수 있도록 LOAD CELL(계량기)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부에는FILTER설치 및 AIR PULSE방식 집진장치가 설치되었습니다.

3.COLLECTION BOX
SILO에서 원료를 배출하여 AIR의 흡입용량에 비례하도록흡입원료량 및 토출구경을 조정할수 있습니다.

4.SUPER MIXER
원료를 계량 및 배출하여 기타 가소제 및 혼합원료를 투입하여 배합합니다.

5.ROOTS BLOWER (흡입용)
원료의 이송거리,압력,사용량등을 고려하여 선정합니다.

 

LOW PRESSURE SYSTEM

저압압송방식으로 이송하는 경우는 공기원 기기를 계통의 전단부에 설치하여 기기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압력으로 인해 분립체를 수송하는 방식입니다. 상기 방식 또한 공기압기기가 전단에 위치하나 공기를흡입한후 압력을 발생시키므로 공기원기기 전단에 이물질 혼입을 방지하는 여과장치를 설치하여 이를 방지하며이송관로에 배출되는 원료의 양을 저농도 및 일정량을 공급하기 위해 ROTARY FEEDER 및 AIR LOCK HOPPER 등과 같은 공급장치를 설치합니다. 주로 사용하는 공기원은 ROOTS,TURBO BLOWER이며 계통중간에 전환밸브를 설치하여 여러 장소로 분산수송을하는데 적합한 방식입니다.

저압 압송방식의 특징
단일원료를 여러종에 분산 이송하는데 적합한 장치입니다.
기기의 계통안이 정압이므로 틈새나 마모 구멍이 생겨도 외기가 내부로 스며들 염려가 없습니다.
분리포집기 아래에서 외기가 내부로 스며들지 않고 배출이 쉽습니다.

저압 압송방식의 유의사항
공급구에서의 수송물 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해 수송물의 형상과 수송압력을 조정하여 공급기의 종류를 선정한후 설계하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배출원을 공기원 기계로 할 경우에는 수송압력이 커지므로 수송거리가 수송량과 함께 커져 이에 대한 제약이 필요합니다.

적 용
일반산업,석유,화학공업,식품,곡물이송,유독물의 수송등

PET CHIP HANDLING
본 설비는 옥외에 설치된 PET 원료 저장 SILO에서 공기원인 BLOWER를 이용하여 FILM 주원료인 PET 주원료를 옥내 가공설비로 수송하여 계량,배합, 드라이 시스템 및 압출공정에 이르기전까지 전공정을 HANDLING하는 SYSTEM입니다.
SILO 원료저장은 DUMPING SYSTEM을 별도로 구성하고 2개소 라인으로 시공하여 각 저장 SILO에 저장합니다.
각 생산주원료는 각각의 이송BLOWER 및 배출기기를 거쳐 옥내 SERVICE TANK로 이송되어 DOSING UNIT, CRYSTLIZER(입도결정화 기기), DRYER등 계량,배합,건조공정 순으로 EXTRUDER 에 배출합니다.

UNLOADING CAPA : 10TON/HR
CAPACITY :
- PET CHIP : 5T/Hr
- M/B : 500Kg/Hr
- RECALIM CHIP : 1500Kg/Hr

 

저압 압송방식의 설치 예

1.원료저장 SILO
본설비에 제작 시공한 SILO는 STRUCTURE구조물에 설치하였으며 층별 외벽을 마감하여 내부에 기기설치 및 작업공간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2.CYCLONE & DUST FILTER
BLOWER로 이송된 원료 및 공기를 분리, 배출하고 분리된 공기는 DUST 집진기로 분진을 포집합니다.

3.이송용 RING BLOWER
이송용량 및 압력, 공기량등 상세한 설계 및 DATA를 거쳐 선정합니다.

4.AIR LOCK HOPPER & ROTARY FEEDER
SILO하부로 배출되는 원료의 양을 조절하고 공기압력이 누설되지않고 배출 및 이송을 원활히 할 수 있습니다.

5.SERVICE VESSEL
SILO 및 기타 저장시설에서 이송한 원료를 일시저장하여 배합 및 계량등 기타 공정으로 2차 수송 합니다.

6.대용량 제습 DRYER
본 설비에 제작 시공한 DRYER는 JACKET TYPE으로 STEAM을 이용하여 온도 제어를 하고 N2 (GAS)를 순환하여 수분함량을 최소화하여 EXTRUDER 로 배출합니다.

 

HIGH PRESSURE SYSTEM

본 이송방식은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원료를 이송 하는 방식으로 저압압송방식과 비교하여 설비의 구조는 크게 다르지 않지만 공기원 기기가 공기압축기(콤푸레셔) 로 사용되어 고압의 압력 (약 2~5kgf/㎠)이 발생하여 이송되므로 원료를 공기압송기 (TRANSPORTER) 등과 같은 고압용 탱크류에 저장하여 이송합니다. 이송계통은 공기압송기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압력이 부유된 상태에서 원료와 함께 이송되며 압송기 하부에 혼합비를 조절 할수 있도록 AERATION NOZZLE을 설치하고 관로에 AIR의 유동성을 유지할수 있도록 분사기(AIR BOOSTER)를 부분적으로 설치하여 원료와 공기가 유동상태로 혼합되어 이송됩니다. 상기 방식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공기원 기계는 스크류형 공기압축기 또는 왕복동형 공기 압축기를 사용합니다.이는 사용 공기량이 적은 반면 압력이 높기 때문이며 계통의 후단부에 설치하는 분급포집기를 소형으로 할수 있는 잇점이 있습니다.

고압 압송방식의 특징
배출압력이 높은 공기원 기계를 사용하므로 수송조건에 다소의 변동이 있어도 수송이 가능합니다.
비교적 좁은 수송관으로 고농도의 수송을 할 수 있어 효율적 입니다.
수송공기량이 적어 소형의 분리포집기가 필요합니다.
배압이 있는 곳에도 수송할 수 있습니다.
단일원료를 여러곳에 분산이송하는데 유용합니다.

고압 압송방식의 유의사항
공밀폐상의 고압압력 용기에서 배치식 수송되므로 완전한 균일 연속수송이 불가능 할 수 있습니다.
(연속계통에 결합할 경우 본체의 전단 중간에 일시 저장하는 호퍼가 필요합니다.)
분말은 본체의 압력 용기에서 직접 수송할 수 있으나 굵은 입체는 분체 용기안에서 로터리피터 또는 클리퍼 등을 부착하여 원료를 공급 수송하게 됩니다.

적 용
장거리 대용량 수송(식품, 석유화학, 고무제품 등)

[Transporter Operation]

 

고압압송기 원료의 계량 및 배출

Silo 또는 Tank류 하부에서 Screw Feeder 또는 타 이송장치로 일정량을 배출하여 계량기에 투입 및 고정밀 계량하여 전량 고압압송기로 배출 및 이송합니다. 또는, 계량기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고압압송기에 자체적으로 LOAD CELL을 취부하여 계량후 이송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PVC & CaCO3 POWDER HANDLING
본 설비는 고압의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원재료 이송 및 배합 설비로서 제품 공정에 투입되는 PVC POWDER 와CaCO3 (경탄)을 Silo에 저장하여 하부에 설치된 계량Transporter를 정량 누적 또는 단독 계량하여 옥내 배합 설비로 이송합니다.
이송 관로에는Air Booster를 설치하여 고밀도로 이송되는 원료의 정체나 막힘현상을최소화하고 원활한 이송을 하게 도와줍니다.
이송관로의 후단부에는 여과기가 설치된 저장Hopper를 설치하여 공기 와 원료를 분급 및 배출하여 액상첨가제 및 부원료와 혼합되어 1차 MIXER에서 배합 작업을 합니다.
2차이송 또한 MIXER하부에 Transporter로 이송하여 원료 저장 및 계량 후 반바리믹서에 투입됩니다.

  • CONVEYING CAPACITY (POWDER) : 3500Kg/HR
  • MIXING CAPACITY : 4500Kg/HR
  • STORAGE VOLUME : 120 ㎥- 2 SET, 100㎥-2 SET

고압 압송방식의 설치 예

1.원료저장 SILO
본설비에 제작 시공한 SILO는 SKIRT TYPE이며 PVC및 CaCO3원료 저장용으로 시공되었습니다. (저장용량 : 120㎥ 2기, 100㎥ 2기)

2.TRANSPORTER
COMPRESSOR에서 발생하는 고압의 공기를 AIR RECEIVER T/K및 건조기를 거쳐 TRANSPORTER AIR NOZZLE 및 관로에 설치한 AIR BOOSTER에 공급하여 유동상태로 이송하는 기기입니다. 고밀도 고속수송으로 단시간에 대용량 이송을 할 수 있으나 밀폐식으로 배치식 이송을 하므로 연속이송이 힘든 단점이 있습니다. (단, 쌍동형 고압압송식으로 설계시 연속작업 가능)

3.BAG FILTER CYCLONE
BLOWER TYPE 이송방식에 비해 처리공기량이 적어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합니다.

4.RIBBON BLENDER
Jacket Type으로 제작하여 고온의 Steam을 이용한 외부 온도조절을 통해 Powder 및 Liquid를 혼합하여 2차 이송 Transporter를 통해 이송합니다.

5.AIR COMPRESSOR
SCREW 압축형 및 실린더형이 있으며, 이송압력 및 공기량등 정밀한 설계를 거쳐 선정합니다.

다음글은 아래

(148140) 비디아이 - (4) 사업개발 & 연구개발
출처: https://stock-market.tistory.com/entry/148140-비디아이-4-사업개발-연구개발 [Stock-Market]

 

(148140) 비디아이 - (4) 사업개발 & 연구개발

(148140) 비디아이 - (4) 사업개발 & 연구개발 사업소개 Consoritium with KECC to develop business in overseas 폐기물 에너지화 사업 (플랜트) 환경설비, 폐기물 처리설비, 냉/난방설비, 환기설비, 화학공장..

stock-market.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148140) 비디아이 - (2) 사업부문 < Power Plant >

 

Power Plant

COAL HANDLING

일반적인 화석연료(석탄, 유연,무연, 아역청탄)를 Ship Unloader와 Conveyor를 이용하여 Shed or Silo에 이송 저장한 후
Reclaimer를 통해 콘베이어에 상탄하고 분쇄기를 거처 보일러에 공급해 주는 일련의 설비

COAL HANDLING GALLERY

 

Outline of COAL HANDLING System

 

Belt Conveyor System

 

Pipe conveyor

 

Flow Dynamics Conveyor

 

Coal Storage Silo 1

 

Coal Storage Silo 2

 

Coal Storage Silo 3

 

E.P[ELECTROSTATIC PRECIPITATORS)

DUST COLLECTION(집진기)

특징

  •  Dust Collecting system 중 유지 보수 용이함
  •  저렴한 운전비용
  •  대용량시설에 적합
  •  집진효율 우수

적용분야

  •  제철설비
  •  화학공장
  •  Cement 설비
  •  기타 산업플랜트

주요구성기기

  •  Stack / IDF
  •  집전극 / 방전극
  •  Lapping system
  •  Dust 이송 및 저장설비

 

[BAG FILTER]

특징

  •  집진효율 우수
  •  운전 안정성 확보
  •  Dust Load 변화에 대한 적응력 우수

적용분야

  •  제철설비
  •  화학공장
  •  Cement 설비
  •  기타 산업플랜트
  •  기타 Conveyor, 분쇄기, 저장시설 방진용

주요구성기기

  •  Compressor
  •  여과포/Carrage
  •  제진설비(Bag Cleaning System)
  •  Dust 이송 및 저장설비

 

[SCRUBBER]

특징

  •  고압분사 Nozzle사용으로 1차집진 효과 증대
  •  유체역학 해석 기법 적용한 Air Flow 개선
  •  고온 폐가스 온도 저감 효과 우수

적용분야

  •  발전설비
  •  시멘트설비
  •  소각설비
  •  기타 산업설비

주요구성기기

  •  Spray Nozzle
  •  Swirl Generator
  •  IDF
  •  고압펌프

 

ASH HANDLING
ASH REFINERY SYSTEM

발전소에서 연소 후 남은 회 및 Sludge 등을 채집 이송시키는 설비 입니다 Bottom Ash and Fly Ash 등 최적의 기술력을 통하여 재활용 할수 있게 가공하는 자원 재생화 설비와 연계하는 사업으로 확대 적용하였으며 미연소 Carbon 추출 설비 도입으로 Ash 재활용을 통하여 환경분야 사업에 초석을 이루었습니다 그 결과 전국 곳곳에 화력 발전소에 회처리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하였습니다

FLY ASH SYSTEM

특징

  •  Fly Ash를 시멘트 제조 및 기타 재활용
  •  회처리에 사용시 물의 양을 극소화

주요 시스템

  •  Pressure System
  •             Dilute type
  •             Dense Type
  •  Vacuum System

적용분야

  •  화력발전소(석탄, 미분탄)

주요구성기기

  •  AIRLOCK FEEDER
  •  HOPPER
  •  TRANSOPRT BLOWER
  •  TRANSOPRT COMPRESSOR
  •  ASH UNLOADER
  •  WET ASH CONDITIONER
  •  VENT FILTER
  •  ASH SILO
  •  AERATION BLOWER

 

 

BOTTOM ASH SYSTEM -DRY TYPE

특징

  •  Bottom Ash를 노반 노상재나 시멘트
  •  원료 등의 재활용

주요 시스템

  •  EXTRACTION CONVEYOR
  •  CRUSHER
  •  BOTTOM ASH SILO
  •  UNLOADING SYSTEM

적용분야

  •  화력발전소(석탄, 미분탄)

 

BOTTOM ASH SYSTEM - WET TYPE

특징

  •  WATER 와 CONVEYING 을 운반 매개로 ASH를 회사장으로 이송
  •  원료 등의 재활용

주요 시스템

  •  SDCC
  •  CRUSHER
  •  DEWATERING SIEVE
  •  BOTTOM ASH SILO
  •  UNLOADING SYSTEM

적용분야

  •  화력발전소(석탄,미분탄)

 

ASH SYSTEM GALLERY

 

What are Bottom Ash and Fly Ash?

Fly Ash Handling System 1

Fly Ash Handling System 2

Fly Ash Handling System 3

Fly Ash Handling System 4

Fly Ash Handling System 5

Fly Ash Handling System 6

Fly Ash Handling System 7

Fly Ash Handling System 8

Fly Ash Handling System 9

Bottom Ash Handling System 1

Bottom Ash Handling System 2

Bottom Ash Handling System 3

Bottom Ash Handling System 4

Ash Refinery System (Static Type) 1

Ash Refinery System (Static Type) 2

Ash Refinery System (Static Type) 3

Ash Refinery System (Dynamic Type) 1

Ash Refinery System (Dynamic Type) 2

Ash Refinery System (Electrostatic Separator) 1

Ash Refinery System (Electrostatic Separator) 2

Ash Refinery System (Electrostatic Separator) 3

 

LIMESTONE HANDLING

탈황 연료로써 석회석을 공급하는 계통에 장비 입니다 국내 최대 용량 기기에 저열량 사용 및 친환경 설비 도입으로 이송계통에 파이프 콘베이어 분리 이송 분쇄 후 Silo에 저장 Blower 이송 및 배출 여과 기능을 갖추었으며 공급 저장고에 공기 이송용 원형 및 라인 벨브를 부착하여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 하였습니다

LIMESTONE HANDLING SYSTEM

특징

  •  분말석회석을 하역, 저장 및 이송
  •  환경오염을 최소화 함

주요 시스템

  •  석회석 하역계통
  •  석회석 이송계통
  •  BED MEDIA 재순환설비

적용분야

  •  화력발전소(석탄, 미분탄)

주요구성기기

  •  UNLOADING BLOWER
  •  CONVEYING COMPRESSOR & BLOWER
  •  PRESSURE TRANSPORT
  •  UNLOADING PIPE
  •  PRESSURE PIPE
  •  LIMESTONE SILO

 

LIMESTONE HANDLING SYSTEM GALLERY

LIMESTONE HANDLING System (Belt Conveyor) 1

LIMESTONE HANDLING System (Belt Conveyor) 2

 

BIOMASS HANDLING

화력발전 연료의 다변화로 국내 최초로 도입된 BIOMASS를 보일러 연소 처리를 구현하는 동해 화력을 선두로 완료하여 기술기반과 경험을 선점하는 쾌거를 이루었습니다 이로써 향후 바이오 플렌트 건설 발전 사업에 기술 축적과 노하우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Donghae Biomass Power Plant

  •  Capacity: 200MW x 2 units
  •  Fluid: Blonass (Coal & Wood Chlp)
  •  Reclaimer Capacity: 18 t/h
  •  Blomass transporting rate: 105 t/h
  •  Delivery: 11.13 ~ 05.14

 

DONGHAE BIOMASS POWER PLANT GALLERY

다음글은 아래

(148140) 비디아이 - (3) 사업부문 < Petrochemical Plant >
출처: https://stock-market.tistory.com/entry/148140-비디아이-3-사업부문-Petrochemical-Plant [Stock-Market]

 

(148140) 비디아이 - (3) 사업부문 < Petrochemical Plant >

(148140) 비디아이 - (3) 사업부문 < Petrochemical Plant > Petrochemical Plant VACUUM SYSTEM 공기이송 방식에서 흡입식 이송을 하는 경우는 공기원 기기를 계통의 후단부에 설치하여 관로의 시발점에서 흡입..

stock-market.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148140) 비디아이 - (1) 회사소개

  • 동사는 화력발전과 관련된 보조기기(BOP) 설비를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의 주된 영업부문으로 하고 있음.
  • 주요매출처는 화력발전소의 건설 및 성능 업그레이드, 개·보수 사업을 하는 한국전력 자회사와 민간 EPC 사업자임.
  • 대표적으로 한화건설 Marafiq/Yanbu(사우디)발전소, 대우건설 JORF LASFAR(모로코)발전소, 두산중공업 MongDoung/VinhTan발전소 등 해외 프로젝트 실적을 보유함.

 

회사소개

비디아이 무대는 이미 세계입니다

발전플랜트 분야의 가치 혁신에
끊임없이 도전하는 세계적 기업


BDI는 화력발전 부대 설비인 Ash Handling 설비로 시작하여
한국전력 등에 많은 친환경 설비를 개발, 공급하였으며
수입에 의존하는 부품을 국산화 하는 등 꾸준하게 기술을 축척해 왔습니다.

2009년에는 국내 최초로 여수 화력에 Euro Type Silo를 공급하여 친환경 사업에
적극적으로 진출하였으며, 2010년에는 미국 및 독일의 친환경 발전 설비 전문 업체와
기술제휴 등을 통하여 발전 플랜트 사업 분야를 다각화 하고 전문 기술을 더욱 강화
하였습니다 당사는 이를 기반으로 환경 및 발전 설비 BOP 전문 플랜트 EPC업체로
성장 하겠습니다.

 

발전 플랜트 분야의 가치 혁신에 끊임없이 도전하는 세계적 기업

세계 최고의 플랜트 기업이 되기 위해 도전을 멈추지 않는 기업 BDI
발전 플랜트 분야에 세계 최고 기업이 되기 위한 BDI에 도전과 노력은 오늘도 내일도 계속될 것입니다.

 

HISTORY

 

경영이념

 

CEO MESSAGE

 

BDI 최고의 기술로
자연과 공존하는 세상을 실현 하겠습니다

BDI는 후손에게 물려줄 깨끗한 환경을 먼저 생각 하며
환경 및 발전설비 BOP 플랜트 전문기업으로서 성장하겠습니다
앞으로도 고객을 위한 더 나은 고부가가치 설비를 공급하기 위해 과감한 기술
도입과 끊임없는 기술 개발로 고객에게 반듯이 보답 하겠습니다
고객중심의 생각으로 최고의 품질과 서비스를 바탕으로, 급변하는 세계화 속에서도
가치혁신과 끊임없는 도전으로 고부가가치의 산업기술을 창출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항상 성실하고 혁신적인 기술로 세계속의 일류 기업으로 도약하여 나가겠습니다.
앞으로도 여러분의 아낌없는 관심과 격려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대표이사  예 경 남

 

윤리경영

 

사업장 위치

bdindustry KOR (비디아이 BDI 홍보영상)

https://youtu.be/YQdlOZIr9lA

다음글은 아래

(148140) 비디아이 - (2) 사업부문 < Power Plant >
출처: https://stock-market.tistory.com/entry/148140-비디아이-2-사업부문-Power-Plant [Stock-Market]

 

(148140) 비디아이 - (2) 사업부문 < Power Plant >

(148140) 비디아이 - (2) 사업부문 < Power Plant > Power Plant COAL HANDLING 일반적인 화석연료(석탄, 유연,무연, 아역청탄)를 Ship Unloader와 Conveyor를 이용하여 Shed or Silo에 이송 저장한 후 Reclaimer..

stock-market.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