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003000) 부광약품 - (9) R&D

 

What we do

부광약품은 지속적인 혁신을 이루어나가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글로벌 제약회사가 된다는 비전을 가지고 연구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개발에 대한 노력과 성과를 인정받아 정부로부터 ‘혁신형 제약기업’으로 인증을 받았습니다.

Strategy

부광약품은 세계 4번째 아시아에서 첫번째로 개발된 만성 B형 간염치료제 레보비르 (성분명: 클레부딘)를 통해 신약개발 역량을 축적하였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기존의 약제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약 재창출 기법과 오픈 이노베이션을 접목한 파이프라인을 구성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Our resources

부광약품은 글로벌 CRO와 CMO들과 함께 신약을 개발한 폭넓은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임상, 제품개발, 규정에 대한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전문가들의 구성은 제품 개발의 초기부터 시판 후 단계까지 모든 단계에 걸쳐져 있습니다.

Pipeline

부광약품은 혁신적인 제품들로 파이프라인을 넓혀나가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로 구성된 별도팀을 운영하여 전세계에서 연구, 개발되고 있는 가능성있는 대상물질들을 매년 300개 이상 분석하고 있습니다. 미국 Melior사의 신기전 당뇨 치료제 MLR-1023 및 덴마크 Contera사를 인수하여 LID (Levodopa-induced dyskinesia) 치료제 JM-010을 개발 중에 있습니다.

Global network

부광약품은 많은 해외 파트너들과 다양한 형태의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신약 후보물질 개발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파트너링에 대하여 항상 열려 있습니다.

 

MLR-1023: 제2형 당뇨병의 인슐린 감수성 개선제

  • MLR-1023은 신약재창출* (drug repositioning)기법에 의해 발굴된 신약으로, 인슐린 신호체계를 조절하는 Lyn Kinase 를 활성화시켜 혈액의 포도당 농도를 낮추는 제 2형 당뇨병 치료의 신약 후보물질입니다.

  • MLR-1023은 여러 전임상 동물모델에서 체중증가 등의 부작용 없이 우수한 항당뇨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더불어 췌장의 베타세포 보호효과도 관찰되었습니다.

  • MLR-1023은 부광약품이 미국의 Melior와 공동개발 중으로, 한국 식약처 및 미국 FDA의 승인하에 국내 및 미국의 61개 병원에서 후기 임상 2상을 진행하여, 2018년 12월 임상시험을 완료하였다.

* 신약재창출: 이미 시판 중이거나 임상단계에서 안전성 이외의 이유로 산업화에 실패한 약물을 대상으로 새로운 적응증을 규명하는 것.

 

JM-010: 파킨슨병 환자의 레보도파 유도 운동장애 치료제

  • 파킨슨병 치료를 위해 일반적으로 L-dopa를 장기간 투여합니다. 10년 이상 장기복용한 환자의 약 90%에서 필연적으로 운동장애 (LID, L-dopa-induced dyskinesia)가 발생하지만 이를 치료할 수 있는 적절한 약물이 없습니다.

  • 부광약품은 덴마크 코펜하겐 소재 CNS 전문 바이오벤처 ‘Contera Pharma’를 100% 전략적 인수함으로써 Contera Pharma에서 보유하고 있는 LID 치료 혁신신약인 JM-010의 개발권리를 확보하였으며,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전기 임상 2상과 독일에서 임상1상을 완료하고, 현재 미국/유럽에서 임상2상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JM-010은 이미 안전성이 입증된 약물을 배합하여, 시냅스 전 신경세포에서 신경전달물질 억제를 통해 LID에 대한 효능을 발휘하는 혁신 약물입니다.

 

JM-012: 파킨슨병 환자의 Morning akinesia 치료제

  • 파킨슨병 치료를 위해 일반적으로 투여되는 L-dopa의 경우, 파킨슨병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L-dopa의 적정 혈중 농도도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야 합니다.

  • 파킨슨병 환자의 Morning akinesia는 파킨슨병 환자가 기상한 뒤, L-dopa를 첫 번째 복용한 후 그 효과가 나타나기 전에 발생하며, 수년간 L-dopa를 복용한 파킨슨병 환자의 50% 정도가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Morning akinesia”는 아침기상, 의복착용, 세안, 아침식사준비 등 하루 일과 준비 등 일상활동의 수행에 장애를 초래하므로 파킨슨병 환자들의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morning akinesia에 대한 적절한 치료제는 없는 상황입니다.

  • JM-012는 L-dopa의 흡수를 조절하는 특수 제형으로 제제개발 성공시 파킨슨병 환자가 새벽에 약물을 복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어 Morning akinesia를 예방/치료할 수 있는 혁신적인 개량신약이 될 것입니다.

  • 현재 JM-012는 부광약품의 자회사인 Contera와 덴마크 소재 제제개발 관련 전문기업인 Solural, 독일 Ernst Moritz Arndt University Greifswald 및 Erweka GmbH사와 공동개발하고 있으며, 지난 2015년 6월 유럽내 신약 개발 지원 과제인 Eurostar 과제에 선정되어 연구비를 지원받고 있습니다.

     

SOL-804 : 전립선암 치료제

  • 부광약품의 제형개발 전문 자회사, Dyna Therapeutics (KR)에서 Solural Pharma로부터 전세계 개발/판권을 라이센싱한 제품 (2016년 6월)

  • SOL-804: 현존하는 전립선암 치료제의 신제형으로 Lymphatic Targeting TechnologyTM을 적용 
    음식물의 영향 배제
    낮은 용량 투약이 가능함으로써 부작용 감소

  • 2017년 비임상단계

 

R&D History

 

반응형
반응형

(003000) 부광약품 - (8) 제품소개 < 처방의약품(정신신경계) >

 

제품소개

처방의약품(정신신경계)

부스론정

주성분 및 함량:부스론염산염 5mg, 10mg 첨가제:유당수화물의약품분류번호:117

의료보험코드:(5mg) 64221100, (10mg) 642201110

<성상>
양면 볼록한 장방형의 백색 정제

<효능효과>
불안 장애의 치료 또는 불안 증상의 단기완화

<용량용법>
초회량으로 염상 부스피론으로서 1회 5mg 1일 3회 경구 투여한다. 필요에 따라 적정 치료 반응을 얻기위해 2~3일 간격으로 
1일 5mg씩 증량하여 1일 20~30mg을 분할 투여한다. 1일 총 투여량은 60mg을 초과하지 않는다.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리단정

주성분 및 함량:리튬 카모네이트 300mg

의약품분류번호:117

의료보험코드:642200390

저장방법:밀폐용기

<성상>
백색정제

<효능효과>
조증, 조울증의 예방과 치료

<용량용법>
성인 : 탄산리튬으로서 1일 0.6~1.8mg을 1일 3회 분할 경구 투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부광티모닐서방정

주성분 및 함량:

카르바마제핀 300mg

의약품분류번호:

113

의료보험코드:

642201050

저장방법:

기밀용기, 실온보관

<성상>
백색의 원형 정제

<효능효과>
1. 간질 : 정신운동발작, 간질성격 및 간질에 수반하는 정신장애, 간질의 경련발작(강직간대발작)
2. 삼차신경통
3. 조병 조울병의 조상태, 정신분열증의 흥분상태

<용량용법>
1. 간질
성인 : 카르마바제핀으로서 초회량 1일 200~400mg을 1~2회 분할 경구투여하며, 최적효과가 얻어질때까지
(1일 600mg) 천천히 증량한다. 증상에 따라 1일 200mg까지 증량할 수 있다.
소아 : 연령, 증상에 따라 1일 100~600mg을 분할 투여한다

2. 삼차신경통(성인) : 이 약으로서 초회량은 1일 200~400mg이며, 1일 600mg까지 분할 투여할 수 있다. 
증상에 따라 1일 800mg까지 증량 가능하다.

3. 조병, 조울병의 조상태, 정신분열증의 흥분상태(성인) : 이 약으로서 초회량으로 1일 200~400mg을 1~2회 분할 투여하며, 최적효과가 얻어질 때까지(1일 600mg) 천천히 증량한다. 증상에 따라 1일 1200mg까지 증량 할 수 있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부광페니토인캡슐

주성분 및 함량:페니토인 100mg

의약품분류번호:113

의료보험코드:642201070

저장방법:기밀용기

<성상>
백색의 캡슐내 백색분말

<효능효과>
1. 간질 : 강직간대발작(대발작), 부분발작(초점발작), 정신 운동성 발작

<용량용법>

1. 강직간대발작(대발작), 부분발작(초점발작), 정신운동성발작 : 용량은 발작의 정도, 환자의 내약성에 따라 조절해야하며, 필요한 경우 혈중농도를 측정한다. 이 약은 1일 1회 용법으로 투여해서는 안되며 반드시 분할투여한다.
    1) 성인 :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서 1회 100mg을 1일 3회 경구투여하고 유지량으로는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서  300-400mg을 분할투여한다. 1일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서  600mg까지 증량할 수 있다.
    2) 소아 :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서 체중 kg당 5mg을 2-3회 분할투여하고 유지량으로는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서 1일 체중 kg당 4-8mg을 분할투여한다. 1일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 나트륨으로 300mg까지 투여할 수 있다. 
2. 디기탈리스중독으로 인한 부정맥
    성인 :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서 첫날 1000mg, 둘째날 500mg을 투여하며 유지량으로 1일 100mg을 3-4회 투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소마지나

주성분 및 함량:시티콜린나트륨

의약품분류번호:219

의료보험코드:642201210

저장방법:차광기밀용기, 실온(1-30℃)보관

성상 : 흰색의 필름코팅 정제

효능효과 :  중등도 - 중증의 급성 허혈성 뇌졸증

용량용법 :  증상  발현후 24시간 이내에 1일 용량(1-4정, 시티콜린으로서 500-2000밀리그람)을 1일 1-2회 나누어 복용한다.

1일 용량은 환자의 증상에 따라 조절한다  

로나센

주성분 및 함량:블로난세린

의약품분류번호:117

의료보험코드:642203000

저장방법:기밀 용기, 실온(1~30℃) 보관

성상 : 흰색의 원형 정제

효능효과 : 정신분열증

용량용법 : 성인 : 1회 4mg, 1일 2회 식후에 경구투여하며 천천히 증량한다. 유지용량으로서 1일 8~16mg을 1일 2회, 식후 분할투여 한다.

이 약의 흡수는 식사의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반드시 식후에 복용하도록 한다.

투여량은 최소 필요량이 되도록 환자마다 신중하게 관찰하며 조절하고, 1일 최대용량으로 24mg이 넘지 않도록 한다.

오르필서방정

주성분 및 함량:발프로산나트륨

의약품분류번호:113

의료보험코드: 642201700(150mg), 642201710(300mg), 642201720(600mg)

저장방법:기밀용기, 실온(1∼30℃)보관

성상 : 흰색, 타원형의 필름코팅된 서방정

◎ 효능효과 :  발프로산 및 발프로산나트륨(경구 : 서방정)

간질[결신발작(소발작), 부분발작(초점발작), 정신운동성발작 및 혼합발작)]과 간질에 뒤따르는 성격, 행동장애의 예방과 치료

◎ 용량용법 :  (경구 : 서방정, 시럽제, 액제)

성인 : 발프로산나트륨으로서 초회량으로 체중 ㎏당 5-10㎎을 경구투여하며 4-7일마다 5㎎씩 증량한다. 유지량으로 성인 1일 용량은 체중 ㎏당 20㎎, 소아 1일 용량은 체중 ㎏당 20-30㎎으로 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오르필시럽

주성분 및 함량:발프로산나트륨

의약품분류번호:113

의료보험코드:642201732

저장방법:기밀용기, 실온(1 ~ 30℃)보관

 성상 : 연호박색의 약간 점조한 액체. 방향성의 냄새와 맛이 있다.

◎ 효능효과 :  간질[결신발작(소발작), 부분발작(초점발작), 정신운동성발작 및 혼합발작)]과 간질에 뒤따르는 성격, 행동장애의 예방과 치료

◎ 용량용법 :  성인 : 발프로산나트륨으로서 초회량으로 체중 ㎏당 5-10㎎을 경구투여하며 4-7일마다 5㎎씩 증량한다. 유지량으로 성인 1일 용량은 체중 ㎏당 20㎎, 소아 1일 용량은 체중 ㎏당 20-30㎎으로 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오르필주사액

주성분 및 함량:발프로산나트륨

의약품분류번호:113

의료보험코드:642201791(150mg/1.5ml), 642201801(300mg/3ml)

저장방법:밀봉용기, 실온보관

성상 : 이 약은 무색투명한 앰플에 무색투명한 액이 든 주사제이다.

효능효과 : 

1. 간질 [ 결신발작(소발작), 부분발작(초점발작), 정신 운동성 발작 및 혼합발작 ]과 
간질에 뒤따르는 성격, 행동 장애의 예방과 치료

2. 수술 후 및 외상 후의 발작 

용량용법 :

이 약은 천천히 정맥주사 하거나 생리식염 주사액, 5%포도당 주사액 또는 포도당 생리식염주사액을 별도의 정맥관을 사용하여 함께 투여한다.

1. 성인 : 환자의 체중에 따라 보통 400-800㎎(최고 10㎎/㎏)을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으

로 3-5분에 걸쳐 천천히 정맥주사한다. 정맥주사후 1일 최고 2500㎎범위내에서 지속

적이거나 반복적으로 정맥내 주입한다.

2. 소아 : 1일 용량은 보통 체중 ㎏당 20-30㎎이며, 용법은 성인의 경우와 동일하다. 충

분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체중 ㎏당 40㎎까지 증량 투여할 수 있으나, 혈중

발프로산 농도의 측정이 가능한 경우에 한한다. 1일 용량으로 체중 ㎏당 40㎎을 초과

할 경우에는 혈액검사 등의 임상검사를 실시한다.

3. 노인 : 약물동력학적 변화가 수반되지만 임상적 유의성은 경미하며 원칙적으로 성인

의 투여방법에 준하되 용량은 간질발작이 조절되는 범위에서 결정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라모티진

주성분 및 함량:라모트리진

의약품분류번호:113

의료보험코드:642202540(25mg), 642202550(50mg), 642200660(100mg)

저장방법:기밀용기, 실온(1-30℃) 및 건소보관

성상 : 엷은 황색의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정제

효능효과 :   (정제)(츄어블정)

1. 간질

1) 단독요법 및 부가요법 : 부분발작 및 전신 강직간대발작

2) 부가요법 : 레녹스-가스토 증후군에 의한 발작

2. 양극성 1형 장애 환자에서의 우울삽화의 재발 방지

용량용법 :  

(정제)(츄어블정)

이 약은 전체를 삼키거나 씹어서 복용하거나 소량의 물에 정제를 분산시켜 복용한다(츄어블정에 한함.).

1. 간질

  이 약의 투여는 권장 용량으로 시작하는 것을 추천한다. 주의 깊은 용량 증량 계획은 피부발진의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발진 위험성으로 인해 초기 용량 및 용량 증가율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투여 중인 항전간제의 투여 중지 또는 이 약을 포함하는 투여 요법에 다른 항전간제/다른 약물을 추가 시, 이 약의 약물 동력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1) 성인 및 13세 이상의 청소년 : 간질에 대한 권장 용법 용량

  (1) 단독요법(1일 용량)

일부 환자에서 원하는 반응을 얻기 위해 500 mg/일까지의 용량이 투약된 경험이 있다.

  (2) 부가요법(1일 용량)

* 예를 들어 페니토인, 카르바마제핀, 페노바르비탈, 프리미돈, 리팜피신, 로피나비어, 리토나비어와 같은 이 약의 글루쿠론산 포합 유도제를 투여 받는 환자

현재 라모트리진과 약물동력학적 상호작용이 알려져 있지 않은 약물(상호작용 참조)을 투여하는 환자에 있어서의 용량 증가는 이 약과 발프로에이트를 병용투여할 때의 권장 용량과 용량 증가율을 적용하여야 한다.

2) 2∼12세의 소아 : 간질에 대한 권장 용법 용량(총 1일 용량 : mg/kg(체중)/일)

  (1) 단독요법

    12세 이하의 소아에서 이 약을 단독요법으로 투여하기 위한 기본 권장량을 뒷받침할 적절한 임상자료가 아직 충분치 않다.

  (2) 부가요법(1일 용량)

* 예를 들어 페니토인, 카르바마제핀, 페노바르비탈, 프리미돈, 리팜피신, 로피나비어, 리토나비어와 같은 이 약의 글루쿠론산 포합 유도제를 투여 받는 환자

  현재 라모트리진과의 약물동력학적 상호작용이 알려져 있지 않은 약물(상호작용 참조)을 복용하는 환자는 이 약과 발프로에이트를 병용 투여할 때 권장되는 것과 같은 용량증가율이 적용되어야 한다.

** 산출된 1일 용량이 1∼2 mg이라면 처음 2주 동안에 격일로 2 mg을 투여할 수 있다. 산출된 1일 용량이 1 mg 미만이라면 이 약을 투여해서는 안된다.

- 치료 용량이 유지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소아의 체중이 모니터링 되어야하며 체중변화가 나타나면 용량은 재검토되어야한다. 2세 이상 6세 미만의 환자들은 권장량의 상한치 용량이 유지용량이 될 가능성이 있다.

3) 2세 미만의 소아

   1개월~2세 미만의 소아에서의 이 약의 사용에 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1개월 미만 신생아에 대한 자료는 없다. 그러므로 2세 미만의 환자에게 권장되지 않으며, 특히 발프로에이트를 복용중인 2세 미만의 환자에서 이 약의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데 이는 정확한 초기용량 설정의 어려움 때문이다.

2. 양극성 장애

1) 18세 이상의 성인 : 양극성 1형 장애 환자에서의 우울삽화 재발 방지에 대한 권장 용법 용량

   이 약의 투여는 권장 용량으로 시작하는 것이 강력히 추천된다. 주의 깊은 용량 증량 계획은 피부발진의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약은 향후 우울증상이 나타날 위험성이 있는 양극성 장애환자에게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1) 유지 안정화 용량에 도달하기 위한 용량 증가 계획

    우울삽화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 전환요법을 사용하도록 하는데, 이 약을 유지 안정화용량에 도달할 때까지 6주간 증량한 후, 임상적인 판단 하에 다른 정신신경용약물 또는 항전간제를 중단할 수도 있다.

18세 이상의 성인에서 유지 안정화용량에 도달할 때까지의 권장 용량증가(1일 용량)

현재 라모트리진과의 약물동력학적 상호작용이 알려져 있지 않은 항전간제를 투여하는 환자에 있어서의 용량 증가는 이 약과 발프로에이트를 병용 투여할 때의 권장 용량을 적용하여야 한다.

목표 안정화용량은 임상반응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① 글루쿠론산 포합 억제제(예 : 발프로에이트)를 투여중인 환자 : 발프로에이트와 같은 글루쿠론산 포합 억제제를 병용 투여하는 환자는 초기용량으로 첫 2주 동안 25 mg을 격일로 1회 투여하고, 다음 2주간은 25 mg을 1일 1회 투여한다. 최적반응을 얻기 위한 목표 용량으로 100 mg을 1일 1회, 혹은 2회로 분할하여 투여한다. 임상반응에 따라 최대 200 mg까지 증량하여 1일 1회 (혹은 2회로 분할하여) 투여한다.

   ② 발프로에이트와 같은 억제제를 투여하지 않으며 글루쿠론산 포합 유도제(예: 카르바마제핀, 페노바르비탈)를 투여중인 환자 : 발프로에이트를 투여하지 않으면서 카르바마제핀, 페노바르비탈과 같은 글루쿠론산 포합 유도제를 투여하는 환자는 초기용량으로 첫 2주 동안 50 mg을 1일 1회 투여하고, 다음 2주간은 100 mg을 1일 2회로 분할하여 투여한다. 5주째에는 증량하여 200 mg을 1일 2회로 분할하여 투여한다. 6주째에는 증량하여 300 mg을 1일 2회로 분할하여 투여한다. 최적반응을 얻기 위한 통상 목표용량으로 7주부터 400 mg을 1일 2회로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다.

   ③ 글루쿠론산 포합을 유의하게 억제 또는 유도하지 않는 다른 약물(예: 리튬, 부프로피온)을 투여중이거나 이 약을 단독 투여하는 환자 : 이 약과 임상적인 약물동력학적 상호작용이 이론적으로 없는 약물을 병용투여하거나 이 약의 단독요법을 시행중인 환자에서 초기용량으로 첫 2주 동안 25 mg을 1일 1회 투여하고, 다음 2주간은 50 mg을 1일 1회 (혹은 2회로 분할하여) 투여한다. 5주째에는 증량하여 100 mg을 1일 1회 (혹은 2회로 분할하여) 투여한다. 최적반응을 얻기 위한 통상 목표 용량으로 200 mg을 1일 1회, 혹은 2회로 분할하여 투여한다. 임상시험에서 단독요법으로 400 mg/일까지 사용되었으나 라모트리진 400 mg/일 용량이 200 mg/일 용량에 비하여 이점은 없었다.

  (2) 유지 안정화 용량에 도달한 이후의 약물 투여계획

    일단 목표 유지안정화용량에 도달하면 다른 정신신경용약물을 아래 투여계획에 따라 중단할 수 있다.

향정신 약물 또는 항전간제 병용투여 중단 후 양극성 장애환자에서의 1일 유지 안정화 용량(1일 용량)

글리마인

주성분 및 함량:콜린알포세레이트

의약품분류번호:119

의료보험코드:642200010

저장방법:기밀용기, 실온(1-30℃)보관

성상 : 무색투명의 점조한 액을 넣은 담황색을 띤 타원형의 연질캡슐제

효능효과 :  (캡슐제)(산제)(주사제)

- 뇌혈관 결손에 의한 2차 증상 및 변성 또는 퇴행성 뇌기질성 정신증후군 : 기억력저하와 착란, 의욕 및 자발성저하로 인한 방향감각장애, 의욕 및 자발성 저하, 집중력감소

- 감정 및 행동변화 : 정서불안, 자극과민성, 주위무관심

- 노인성 가성우울증

용량용법 : (캡슐제)(산제)

콜린알포세레이트로서 1회 400 mg을 1일 2~3회 경구투여한다.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로나센 8mg (기존 제형 추가) 

주성분 및 함량:Blonaserin 8mg

의약품분류번호:117 [정신신경용제]

의료보험코드:642203910

저장방법:기밀용기, 실온보관(1-30℃)

성상 : 흰색의 원형 정제

효능효과 : 정신분열증

용량용법 :

성인 : 1회 4mg, 1일 2회 식후에 경구투여하며 천천히 증량한다. 유지용량으로서 1일 8~16mg을 1일 2회, 식후 분할투여 한다. 이 약의 흡수는 식사의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반드시 식후에 복용하도록 한다. 투여량은 최소 필요량이 되도록 환자마다 신중하게 관찰하며 조절하고, 1일 최대용량으로 24mg이 넘지 않도록 한다.

부광 리바스티그민 패취 5

주성분 및 함량:

Rivastigmine 9mg

의약품분류번호 : 119 [기타의 중추신경용약]

의료보험코드 : 642203270

저장방법:

밀폐용기, 실온보관(1-30℃)

[성상]

모서리가 둥근 베이지색의 사각형의 패취

[효능효과]

1. 경도 내지 중증도의 알츠하이머형 치매 또는 파킨슨병과 관련된 치매의 대증적 치료

2. 중증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대증적 치료

[용법.용량]

1. 경도 내지 중등도의 알츠하이머형 치매 또는 파킨슨병과 관련된 치매의 대증적 치료

- 시작용량 : 1일 1회 이 약 패취 5로 투여를 시작한다. 최소 4주 투여 후 내약성이 좋다면 권장 유효 용량인 이 약 패취 10으로 증량하도록 해야 한다.

- 유지용량 : 권장되는 1일 유지 용량은 이 약 패취 10 이다. 초기 용량을 최소 4주 투여한 후 내약성이 좋은 경우에 한해 증량하며, 치료적 유익성이 있는 한 이 약 패취 10의 투여를 지속한다. 이 약 패취 10을 투여하는 동안 의미있는 인지능 및/또는 기능의 저하를 보인 환자는 이 용량을 6개월 이상 투여하였고, 좋은 내약성을 보인 경우에 한해 이 약 패취 15 까지 증량할 수 있다.

2. 중증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대증적 치료

- 1일 1회 이 약 패취 5로 투여를 시작한다. 이후 이 약 패취 10으로 증량하며, 계속하여 이 약 패취 15까지 증량하여야 한다. 현재 용량에 대해 내약성이 좋은 경우에 한해 증량하고, 이전 용량을 최소 4주 투여한 후 증량을 고려할 수 있다.

- 중증 알츠하이머형 치매에 대한 유효 용량은 이 약 패취 15이다.

부광 리바스티그민 패취 10

주성분 및 함량:

Rivastigmine 18mg

의약품분류번호 : 119 [기타의 중추신경용약]

의료보험코드 : 642203270

저장방법:

밀폐용기, 실온보관(1-30℃)

[성상]

모서리가 둥근 베이지색의 사각형의 패취

[효능효과]

1. 경도 내지 중증도의 알츠하이머형 치매 또는 파킨슨병과 관련된 치매의 대증적 치료

2. 중증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대증적 치료

[용법.용량]

1. 경도 내지 중등도의 알츠하이머형 치매 또는 파킨슨병과 관련된 치매의 대증적 치료

- 시작용량 : 1일 1회 이 약 패취 5로 투여를 시작한다. 최소 4주 투여 후 내약성이 좋다면 권장 유효 용량인 이 약 패취 10으로 증량하도록 해야 한다.

- 유지용량 : 권장되는 1일 유지 용량은 이 약 패취 10 이다. 초기 용량을 최소 4주 투여한 후 내약성이 좋은 경우에 한해 증량하며, 치료적 유익성이 있는 한 이 약 패취 10의 투여를 지속한다. 이 약 패취 10을 투여하는 동안 의미있는 인지능 및/또는 기능의 저하를 보인 환자는 이 용량을 6개월 이상 투여하였고, 좋은 내약성을 보인 경우에 한해 이 약 패취 15 까지 증량할 수 있다.

2. 중증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대증적 치료

- 1일 1회 이 약 패취 5로 투여를 시작한다. 이후 이 약 패취 10으로 증량하며, 계속하여 이 약 패취 15까지 증량하여야 한다. 현재 용량에 대해 내약성이 좋은 경우에 한해 증량하고, 이전 용량을 최소 4주 투여한 후 증량을 고려할 수 있다.

- 중증 알츠하이머형 치매에 대한 유효 용량은 이 약 패취 15이다.

레비큐어 250mg

성분 및 함량:

Levetiracetam 250mg

의약품분류번호 : 113 [항전간제]

의료보험코드 : 642203180

저장방법:

밀폐용기, 실온보관(1-30℃)

[성상]

파란색의 타원형 필름코팅정제

[효능효과]

1. 단독요법

처음 간질로 진단된 2차성 전신발작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부분발작의 치료(16세 이상)

2. 부가요법

-기존 1차 간질치료제 투여로 적절하게 조절이 되지 않는 2차성 전신발작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부분발작의 치료(4세 이상)

-소아 간대성 근경련 간질(Juvenile Myoclonic Epilepsy)환자의 근간대성 발작의 치료(12세 이상)

-특발성 전신성 간질(Idiopathic Generalized Epilepsy)환자의 1차성 전신 강직-간대 발작의 치료(12세 이상)

레비큐어 500mg

주성분 및 함량:

Levetiracetam 500mg

의약품분류번호 : 113 [항전간제]

의료보험코드 : 642203160

저장방법:

밀폐용기, 실온보관(1-30℃)

[성상]

파란색의 타원형 필름코팅정제

[효능효과]

1. 단독요법

처음 간질로 진단된 2차성 전신발작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부분발작의 치료(16세 이상)

2. 부가요법

-기존 1차 간질치료제 투여로 적절하게 조절이 되지 않는 2차성 전신발작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부분발작의 치료(4세 이상)

-소아 간대성 근경련 간질(Juvenile Myoclonic Epilepsy)환자의 근간대성 발작의 치료(12세 이상)

-특발성 전신성 간질(Idiopathic Generalized Epilepsy)환자의 1차성 전신 강직-간대 발작의 치료(12세 이상)

레비큐어 1000mg

주성분 및 함량:

Levetiracetam 1000mg

의약품분류번호 : 113 [항전간제]

의료보험코드 : 642203170

저장방법:

밀폐용기, 실온보관(1-30℃)

[성상]

파란색의 타원형 필름코팅정제

[효능효과]

1. 단독요법

처음 간질로 진단된 2차성 전신발작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부분발작의 치료(16세 이상)

2. 부가요법

-기존 1차 간질치료제 투여로 적절하게 조절이 되지 않는 2차성 전신발작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부분발작의 치료(4세 이상)

-소아 간대성 근경련 간질(Juvenile Myoclonic Epilepsy)환자의 근간대성 발작의 치료(12세 이상)

-특발성 전신성 간질(Idiopathic Generalized Epilepsy)환자의 1차성 전신 강직-간대 발작의 치료(12세 이상)

 

반응형
반응형

(003000) 부광약품 - (7) 제품소개 < 처방의약품(순환기용제) >

 

제품소개

처방의약품(순환기용제)

부광켈론정 

주성분 및 함량:1정 중 베탁솔롤염산염 10mg, 20mg

의약품분류번호:214

의료보험코드:642201030(10mg), 642201020(20mg)

저장방법:기밀용기, 실온보관

<성상>
백색 원형의 필름코팅정 

<효능효과>
본태성 고혈압, 협심증 


<용량용법>
성인: 베탁솔롤염산염으로서 1일 1회 10mg을 경구투여하며 1일 최대 20mg까지 증량할 수 있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세타프릴정 

주성분 및 함량:1정 중 알라세프릴25mg, 50mg

의약품분류번호:214

의료보험코드:642201140 (25mg) 642201150 (50mg)

저장방법:기밀용기, 실온(1~30℃)보관

<성상>
백색의 정제

<효능효과>
본태성 고혈압 

<용량용법>
성인에게 Alacepril로서 1일 25-75㎎을 1일 1-2회 분할 투여한다. 중증에 대해서 1일 최대 투여량은 100㎎까지로 한다.
심한 증상의 신기능장애가 있는 환자에서는 활성대사물의 혈중농도가 상승하여 과도의 혈압 저하가 일어날 수 있으므
로 크레아티닌치가 3㎎/㎗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투여량을 감소시키거나 투여간격을 길게 하는 등 신중히 투여할 것.

부광발사르탄정

주성분 및 함량:1정 중 발사르탄 80mg, 160mg

의약품분류번호:214 혈압강하제

의료보험코드:80mg-642203130, 160mg-642203080

저장방법:기밀용기, 열과 습기를 피해 30℃ 이하에서 저장

<성상>
80mg: 연한 분홍색의 원형 필름코팅정

160mg: 연한 황갈색의 타원형 필름코팅정

<효능효과>
1. 본태성 고혈압
2. 심부전-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제에 불내성(intolerant)인 심부전(NYHA class II~ IV)
3. 심근경색 후의 사망 위험성 감소-증상, 증후 혹은 방사선학적으로 좌심실 부전 및/또는 좌심실 수축 기능 부전을 가진 임상적으로 안정된 환자에서의 심근경색 후 사망 위험성 감소

<용법용량>

1. 본태성 고혈압 이 약의 권장용량은 성별, 연령, 인종에 상관없이 1일 1회 80mg 이며 식사 중 물과 함께 복용하거나 식간에 복용한다. 가능하면 매일 같은 시간(예 : 아침)에 복용할 것이 권장된다. 혈압강하효과는 2주 이내에 점진적으로 나타나며 4주 이후 최대효과를 나타낸다. 혈압조절이 잘 되지 않는 환자는 용량을 160mg까지 증량하거나 이뇨제를 병용투여 할 수 있다. 만약, 추가적인 혈압 강하가 필요할 경우, 최대 320mg까지 용량을 증량할 수 있다. 75세 이상의 노인 : 1일 1회 40mg으로 투여를 시작한다. 신손상자 : 경증의 신손상자(creatinine clearance : 20~50mL.min인 경우) 용량 조절이 필요하지 않으나, 중등도 신손상자(creatinine clearance : 10~20mL/min)인 경우 1일 1회 40mg으로 투여를 시작한다. 중증의 신손상자(creatinine clearance 10mL/min 미만) 및 투석환자에게 이 약을 투여하지 않는다. 혈액 내 체액 부족 환자 : 혈액 내 체액이 부족한 환자의 경우(예 : 고용량의 이뇨제 복용환자로 용량을 감량할 수 없는 경우), 1일 1회 40mg으로 투여를 시작한다. 간손상자 : 경증 및 중등도 간손상자인 경우 1일 1회 40mg으로 치료를 시작하며, 1일 80mg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중증의 간손상자, 간경화환자, 담도 폐색 환자에게 이 약을 투여하지 않는다. 소아 : 안전성, 유효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2. 심부전 이 약의 권장개시용량은 1일 2회, 1회 40mg이며 1회 80mg 또는 160mg 까지 증량할 수 있다. 이뇨제를 병용 투여시 이뇨제의 용량감소를 고려해야 된다. 1일 최대 투여 용량은 320mg으로 분할 투여한다. 이 약은 ACE 저해제 및 베타‐차단제와의 3중 병용투여는 권장되지 않는다.

3. 심근경색 후의 사망 위험성 감소‐ 증상, 증후 혹은 방사선학적으로 좌심실 부전 및/또는 좌심실 수축 기능 부전을 가진 임상적으로 안정된 환자에서의 심근경색 후 사망 위험성 감소 : 심근경색 발현 후 12시간 이내에 투여를 시작할 수 있다. 권장 개시용량은 1회 20mg씩 1일 2회로 시작하고, 이후 수 주에 걸쳐 발사르탄을 1회 40mg, 80mg, 160mg을 1일 2회 투여하는 방식으로 환자의 내약성을 고려하여 용량을 증량한다. 저혈압 증상 또는 신부전이 나타날 경우 감량을 고려한다. 심근경색 후 다른 투여법 (예 : 혈전용해제, 아세틸살리실산, 베타 차단제 및 스타틴 계열 약물)으로 치료 중인 환자에게도 이 약을 투여할 수 있다.

신손상자 : 경증 및 중등도 신손상자(creatinine clearance 10mL/min이상)인 경우 용량조절이 필요치 않으나, 중증의 신손상자(creatinine clearance 10mL/min 미만) 및 투석환자에 대한 사용경험이 없으므로 이 약을 투여하지 않는다.

간손상자 : 경증 및 중등도의 간손상자에 대한 이 약의 1일 투여량은 1일 80mg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1일 80mg 이상을 투여하는 경우, 용량 증량 시 치료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하는 지 고려해야 한다. 중증의 간손상자, 간경화환자, 담도폐색환자인 경우 이 약을 투여하지 않는다.

소아 : 안전성, 유효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부광코멜리안정

주성분 및 함량:1정 중 딜라제프염산염수화물 50mg

의약품분류번호:217 혈관확장제

의료보험코드:642201040

저장방법:기밀용기, 실온보존

<성상>
백색의 원형 필름 코팅정

<효능효과>
1. 협심증, 무통성허혈성심질환
2. 다음 질환에 의한 요단백 감소 : 신기능 장애, 경도-중등도의 lgA 신증

<용법용량>

성인 1. 협심증, 무통성허혈성 심질환 : 딜라제프염산염수화물로서 1회 50mg 1일 3회 경구투여한다. 2. 신질환 : 이 약으로서 1회 100mg 1일 3회 투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알프로딜주

주성분 및 함량:1ml 중 알프로스타딜 5㎍

의약품분류번호:219 기타의 순환계용약

의료보험코드:1mL : A13150791 2mL : 642201530

저장방법:차광밀봉용기, 동결을 피해 5℃이하에서 차광하여 보관

<성상>
전질 균등한 백색의 유탁액이 들어있는 앰플 주사제

<효능효과>
1. 만성동맥폐색증(버거씨병, 폐색성동맥경화증)에 있어서 사지궤양, 안정시 통증의 개선
2. 다음 질환에 있어서 피부궤양의 개선 : 진행성전신성경화증, 전신성홍반성낭창
3. 진동병에 있어서 말초혈행장해에 수반되는 자각증상의 개선 및 말초순환, 신경, 운동기능장해의 회복
4. 동맥관 의존성 · 선천성 심질환에서의 동맥관의 개존
5. 당뇨병에서의 피부궤양의 개선
6. 혈행 재건술후의 혈류유지

<용법용량>
1. 만성동맥폐색증(버거씨병, 폐색성동맥경화증), 진행성전신성경화증, 전신성홍반성낭창, 진동병, 당뇨병성 피부궤양의 경우 :
   통상 성인 1일 1회 1-2밀리리터(알프로스타딜로서 5-10마이크로그람)를 그대로 또는 수액에 혼합하여 서서히 정주, 또는 점적정주한다.
   증상에 따라 적의 증감한다.
2. 동맥관 의존성 선천성 심질환의 경우 :
  수액에 혼합하여 처음에 알프로스타딜 5ng/kg/분으로 지속정주하고, 이후 증상에 따라 적의증감하고 유효최소량으로 한다.
3. 혈행 재건술후의 혈류유지의 경우 :
  통상 성인에는 1일 1회 2밀리리터(알프로스타딜로서 10마이크로그람)를 수액에 혼합하여 점적정주한다.

부광이소맥지속성캡슐

주성분 및 함량:1캡슐 중 지속성질산이소소르비드펠렛 83.8mg (isosorbide dinitrate 20mg) 

의약품분류번호:217 혈관확장제

의료보험코드:642200970

저장방법:기밀용기, 실온보존

<성상>
미백색 펠렛이 들어있는 상 : 군청색, 하 : 무색투명의 캡슐제

<효능효과>
1. 협심증, 심근경색, 관경화증(만성허혈성심질환, 무증후성허혈성심질환, 동맥경화성심질환) 
2. 울혈성 심부전의 보조요법(강심배당체 또는 이뇨제와 병용)

<용량용법>
성인: 질산이소소르비드로서 1회 20㎎ 1일 2회 경구투여한다. 증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1회 40mg까지 
투여할 수 있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부광디유렉산정

주성분 및 함량:1정 중 지파마이드 20mg

의약품분류번호:213 이뇨제

의료보험코드:642200650

저장방법:기밀용기, 건냉소에 보관

<성상>
백색의 원형정제

<효능효과>
1. 고혈압
2. 심성부종, 간성부종, 신성부종, 정맥부전으로 인한 말초성 부종 

<용량용법>
성 인: 1.고협압 : 지파미드로서 1일 1회 20mg을 아침 식사후 복용한다.
중증의 경우에는 40mg, 경증의 경우에는 10mg을 투여한다. 다른 혈압 강하제와 병용투여할 경우에는 처음 복용량은 1일 20mg을 초과하지 않는다.
2. 부  기 :  이 약으로서 1일 1회 아침 식사후 40mg으로 치료를 시작하여 환자의 반응에 따라 1일  20mg으로 감량한다. 중증의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아침에 60~80mg을 한꺼번에 투여할 수 있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클로피드정 

주성분 및 함량 : Clopidogrel hydrogen sulfate 97.875mg(Clopidogrel 75mg)

의약품분류번호 : 218 [동맥경화용제]

의료보험코드 : 642203410

저장방법: 기밀용기, 실온보관(1-30℃)

<성상>
분홍색의 원형 필름코팅정

<효능효과>
죽상동맥경화성 증상의 개선

<용법용량>
1일 1회 1정

써큐민정 

주성분 및 함량 : Cilostazol/Ginkgo biloba extract 100/80mg

의약품분류번호 : 339 [기타의 혈액 및 체액용약]

의료보험코드 : 642203390

저장방법 : 기밀용기, 실온보관(1-30℃)

<성상>
연한 연두색의 타원형 필름고팅정

<효능효과>
만성동맥폐색증에 따른 궤양, 동통 및 냉감 등 허혈성 제증상의 개선, 뇌경색 발증 후 재발 억제

<용법용량>1일 2회, 1회 1정

리피스틴정

주성분 및 함량 : Atorvastatin calcium trihydrate 10, 20mg

의약품분류번호 : 218 [동맥경화용제]

의료보험코드 : 10mg : 642203430 20mg : 642203440

저장방법: 기밀용기, 실온보관(1-30℃)

<성상>
흰색의 타원형 필름코팅정


<효능효과>

1. 다음의 심장혈관 질환에 대한 위험성감소 1) 관상동맥 심장 질환에 대한 임상적 증거는 없으나, 관상동맥 심장 질환의 다중위험요소(55세 이상, 흡연, 고혈압, 낮은 HDL-콜레스테롤치 또는 조기 관상동맥 심장 질환의 가족력 등)가 있는 성인 환자의 (1) 심근경색증에 대한 위험성 감소 (2) 뇌졸중에 대한 위험성 감소 (3) 혈관재생술 및 만성 안정형 협심증에 대한 위험성 감소 2) 관상동맥 심장 질환에 대한 임상적 증거는 없으나, 관상동맥 심질환의 다중위험요소(망막병증, 알부민뇨, 흡연, 또는 고혈압 등)가 있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1) 심근경색증에 대한 위험성 감소 (2) 뇌졸중에 대한 위험성 감소 3) 관상동맥 심장 질환에 대한 임상적 증거가 있는 성인 환자의 (1) 비치명적 심근경색증에 대한 위험성 감소 (2) 치명적 및 비치명적 뇌졸중에 대한 위험성 감소 (3) 혈관재생술에 대한 위험성 감소 (4) 울혈심부전으로 인한 입원에 대한 위험성 감소 (5) 협심증에 대한 위험성 감소 2. 고지혈증 1)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이형접합 가족형 및 비가족형) 및 혼합형 이상지질혈증(Fredrickson Type Ⅱa 및 Ⅱb형) 환자의 상승된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아포-B 단백, 트리글리세라이드 수치를 감소시키고 HDL-콜레스테롤치를 증가시키는 식이요법의 보조제 2) 식이요법에 적절히 반응을 하지 않는 원발성 이상베타리포프로테인혈증(Fredrickson Type III) 3) 혈청 트리글리세라이드가 상승된 환자(Fredrickson Type IV)의 식이요법보조제 4) 동형접합 가족형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의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치를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지질저하제(예, LDL-apheresis)와 병용하거나, 다른 지질저하제로의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3. 식이요법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아래의 기준에 해당되는 이형접합 가족형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가진 10 ~ 17세의 소아환자(여성의 경우 초경 이후의 환자)의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아포-B 단백 수치를 감소시키는 식이요법의 보조제 가. LDL-콜레스테롤이 여전히 190 mg/dL 이상 (≥ 190 mg/dL) 이거나 나. LDL-콜레스테롤이 여전히 160 mg/dL 이상(≥160 mg/dL) 이고, 조기 심장혈관 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또는 해당 소아환자에서 두 가지 이상의 다른 심장혈관 질환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용법용량>

아토르바스타틴을 투여전 및 투여중인 환자는 표준 콜레스테롤 저하식을 하여야 하며, 하루 중 아무 때나 음식물과 상관없이 투약할 수 있다. 1. 고지혈증 권장 초회 용량은 1일 1회 아토르바스타틴으로서 10 mg이나, 더 많은 LDL-콜레스테롤치 감소가 요구되는 환자의 경우 1일 1회 20 mg 또는 40 mg(45 % 이상의 LDL-콜레스테롤치 감소가 요구되는 경우에 한함.)으로 시작할 수 있다. 이 약은 1일 1회 10 ~ 80 mg의 용량범위로 투여한다. 이 약의 초회용량 및 유지용량은 치료목표 및 반응 등을 고려하여 환자의 특성에 따라 개별화되어야 하며, 투여시작 및/혹은 용량적정 후, 2 ~ 4주안에 지질수치들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 용량을 조정해야 한다. 치료의 목표는 LDL-콜레스테롤치를 저하시키는 것이므로, 치료의 시작 및 치료반응 평가시 LDL-콜레스테롤치를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다만,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치료반응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총 콜레스테롤 수치를 사용한다. 동형접합 가족형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 이 약의 투여용량은 1일 1회 10 ~ 80 mg으로, 다른 지질저하 치료법(예, LDL apheresis)과 병행하거나, 이런 지질저하 치료법이 불가능한 경우에 이 약을 투여한다. 2. 이형접합 가족형 고콜레스테롤혈증 소아환자(10 ~ 17세) 권장 초회용량은 이 약으로서 1일 10 mg이며, 권장 최대용량은 1일 20 mg이다(소아 환자군에서 이 약 20 mg보다 고용량을 투여한 임상자료는 없다.). 투여용량은 개개의 환자에서 권장되는 치료목표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용량은 4주 또는 그 이상의 간격을 두고 조절하여야 한다. ○ 신장애 환자 : 신장질환은 아토르바스타틴의 혈장농도나 LDL-콜레스테롤 저하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용량을 조절할 필요가 없다. ○ 고령자 : 70세 이상의 고령 환자군에 대한 유효성과 안전성은 보통 성인 환자군의 경우와 유사하다.

부광로수바스타틴칼슘정 

주성분 및 함량 : Rosuvastatin calcium 5, 10, 20mg

의약품분류번호 : 218 [동맥경화용제]

의료보험코드 : 5mg : 642203690 10mg : 642203680 20mg : 642203670

저장방법: 기밀용기, 실온보관 (1-30℃)

<성상>
5mg :노란의 원형 필름코팅정

10mg : 분홍색의 원형 필름코팅정

20mg : 분홍색의 원형 필름코팅정

<효능효과>
1.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이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제외하는 type IIa), 복합형 고지혈증(type IIb) : 식이 및 운동으로 조절이 안 될 경우 식이요법의 보조제 2.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에 식이요법이나 다른 지질저하요법(예:LDL 분리반출법)의 보조제 3.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을 목표 수준으로 낮추어 죽상동맥경화증의 진행을 지연 4. 원발성 이상베타리포프로테인혈증(type III) 환자의 식이요법 보조제 5. 심혈관 질환에 대한 위험성 감소 : 관상동맥 심질환에 대한 임상적 증거는 없으나, 만 50세 이상의 남성 및 만 60세 이상의 여성으로 고감도 C-반응단백(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 hsCRP)이 2mg/L 이상이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심혈관질환 위험 인자(예 : 고혈압, 낮은 HDL-콜레스테롤치, 흡연 또는 조기 관상동맥 심질환의 가족력 등)를 가진 환자의 - 뇌졸중에 대한 위험성 감소 - 심근경색에 대한 위험성 감소 - 동맥 혈관재형성술에 대한 위험성 감소

<용법용량>

1.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이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제외하는 type IIa), 복합형 고지혈증(type IIb) 원발성 이상베타리포프로테인혈증(type III) 및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이 약을 투여전 및 투여중인 환자는 표준 콜레스테롤 저하식을 하여야 하며, 이를 치료기간동안 지속하여야 한다. 식사와 상관없이 하루 중 아무때나 이 약을 투약할 수 있다. 초회용량은 1일 1회 5밀리그램이며, 더 많은 LDL-콜레스테롤치감소가 필요한 경우 유지용량으로 조절하여 투여할 수 있다. 유지용량은 1일 1회 10밀리그램으로 대부분의 환자는 이 용량에서 조절된다. 유지용량은 4주 또는 그 이상의 간격을 두고 LDL-콜레스테롤 수치, 치료목표 및 환자의 반응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야 하며, 1일 최대 20밀리그램까지 증량할 수 있다. 2. 노인 : 용량조절이 필요하지 않다. 3. 신부전환자 : 경증 및 중등도 신부전 환자의 경우 용량을 조절할 필요가 없다. 중증의 신부전 환자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중등도 신부전 환자에게 이 약 20mg 투여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4. 간부전환자 : Child-Pugh 점수가 7이하인 경우에는 로수바스타틴의 전신 노출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Child-Pugh 점수가 8 또는 9인 환자에서는 증가하였다. 이러한 환자에서는 신기능 검사가 고려되어야 한다. Child-Pugh 점수가 9를 초과하는 환자에 대한 투여 경험은 없다. 활동성 간질환 환자에는 이 약을 투여하지 않는다. 5. 인종 : 아시아계 환자들에게 이 약의 전신노출이 증가하기 때문에, 권장 초기 용량은 5밀리그램이다. 40밀리그램 용량 투여는 금기이다. 6. 근병증에 걸리기 쉬운 환자 : 근병증에 걸리기 쉬운 환자들의 권장 초기 용량은 5밀리그램이다. 이러한 환자들 중 몇몇에게 이 약 40밀리그램 용량 투여는 금기이다.

텔미스탄정

주성분 및 함량 : 40/5mg : telmisartan 40mg, amlodipine 5mg 40/10mg : telmisartan 40mg, amlodipine 10mg 80/5mg : telmisartan 80mg, amlodipine 5mg

의약품분류번호 : 214 혈압강하제

의료보험코드 : 

40/5mg : 642204210

40/10mg : 642204190

80/5mg : 642204200

저장방법: 차광기밀, 실온

<성상>

흰색과 연한 회색의 양면이 볼록한 타원형 이중정

<효능효과>

텔미사르탄 또는 암로디핀 단독요법으로 혈압이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는 본태성 고혈압

​<용법용량>

이 약의 권장용량은 1일 1회 1정으로, 식사와 관계없이 물과 함께 복용한다. 가능하면 매일 같은 시간(예 : 아침)에 복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 신장애 환자 : 경증 및 중등도 신장애 환자인 경우 용량조절이 필요치 않으나, 중증의 신장애 환자인 경우 낮은 용량으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권장되며, 용량을 서서히 증량한다. 또한 혈청 칼륨 및 크레아티닌 수치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권장된다. ○ 간장애 환자 : 경증 또는 중등증의 간장애 환자에 대한 텔미사르탄의 1일 투여량은 40밀리그램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고령자 : 75세 이상의 고령자인 경우, 암로디핀의 청소율이 감소되어 있으므로, 낮은 용량으로 치료를 시작하며, 용량을 서서히 증량한다. ○ 소아 : 만 18세 이하의 소아환자에 대한 안전성ㆍ유효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이 약의 투여가 권장되지 않는다.

세비스타정

주성분 및 함량 : 5/20mg: amlodipine 5mg, olmesartan medoxomil 20mg5/40mg: amlodipine 5mg, olmesartan medoxomil 40mg10/40mg: amlodipine 10mg, olmesartan medoxomil 40mg

의약품분류번호 : 214 혈압강하제

의료보험코드 : 

5/20mg: 642203630

5/40mg: 642203640 10/40mg: 642203610

저장방법: 기밀, 실온

<성상>

5/20mg: 흰색의 원형 필름코팅정

5/40mg: 연한 노란색의 원형 필름코팅정

10/40mg: 적갈색의 원형 필름코팅정

<효능효과>

암로디핀 또는 올메사르탄메독소밀 단독요법으로 혈압이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는 본태성 고혈압의 치료

​<용법용량>

이 약은 1일 1회 1정을 식사와 관계없이 물과 함께 투여한다. 가능하면 매일 같은 시간(예 : 아침)에 복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신장애 환자 : 이 약은 신장애 환자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다만, 경증 및 중등증의 신부전 환자 (creatine clearance 20-60mL/min)의 올메사탄메독소밀 최대투여용량은 1일 1회 20밀리그램이며, 중등증∼중증 신장애 환자 (예 : creatinine clearance < 20 mL/분) 및 투석 중인 환자에 대해 이 약의 투여가 권장되지 않는다. 중등증의 신부전 환자에 대해 칼륨수치 및 크레아티닌 수치에 대한 모니터링이 권장된다. ∘혈관 내 유효 혈액량 감소 환자 : 혈관 내 유효 혈액량 감소 (Intravascular volume depletion)의 가능성이 있는 환자(예, 이뇨제 투여 환자, 특히 신장애 환자)는 상태를 충분히 관찰하면서 낮은 용량에서 투여를 시작하는 것을 권장한다. ∘간장애 환자 : 경증 및 중등증의 간장애 환자에 투여시 주의하여야 한다. 중등증의 간장애 환자에 올메사탄메독소밀 권장 초회용량은 1일 1회 10밀리그램이며, 최대투여용량은 1일 1회 20밀리그램이다. 이미 다른 항고혈압약물 및/또는 이뇨제를 투여받은 환자 중 간장애 환자는 혈압 및 신기능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 중증 간기능 손상자에게 이 약을 투여해서는 안 된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중 2. 다음 환자에 투여하지 말 것 항 참조) ∘고령자 : 일반적으로 낮은 용량에서 투여를 시작하며, 용량조절시 환자의 신기능 또는 심기능, 유병질환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고령자인 경우 면밀하게 혈압을 더 자주 모니터링 해야 한다. ∘소아 : 만 18세 미만의 소아환자에 대한 안전성ㆍ유효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반응형
반응형

(003000) 부광약품 - (4) 제품소개 < 처방의약품(당뇨병용제) >

 

제품소개

처방의약품(당뇨병용제)

덱시드정

주성분 및 함량:알치옥트산트로메타민염 480mg (알치옥트산으로 300mg)

의약품분류번호:399 [따로 분류되지 않는 대사성 의약품]

의료보험코드:642203380

저장방법:기밀용기, 실온보관(1~30'C)

[성상]
연두색의 장방형 필름코팅정

[효능효과]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염의 완화

[용법용량]
성인 1일 1회 알치옥트산트로메타민염으로서 480mg을 충분한 물과 함께 아침식사 약 30분전에 복용한다.

치옥타시드HR정

주성분 및 함량:치옥트산 600mg, 200mg

의약품분류번호:399 [따로 분류되지 않는 대사성 의약품]

의료보험코드:600mg: 642202020, 200mg: 642202010

저장방법:기밀용기, 실온(1~30℃)보관

[성상]
600mg: 황녹색의 양쪽이 볼록한 장방형 필름코팅정
200mg: 밝은 녹색의 양쪽이 볼록한 원형 필름코팅정

[효능효과]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염의 완화

[용법용량]
성인 1일 1회 치옥트산으로서 600mg을 충분한 물과 함께 아침식사 약 30분전에 복용한다.

치옥타시드정

주성분 및 함량:

치옥트산 200mg

의약품분류번호:

399 [따로 분류되지 않는 대사성 의약품]

의료보험코드:

642202030

저장방법: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성상]
녹색의 양쪽이 불록한 원형 필름코팅정

[효능효과]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염의 완화

[용법용량]
성인 : 치옥트산으로서 1일 200~600mg을 2~3회 분할하여 식사 30분전에 특별한 처방이 없는 한 씹지말고 약간의 물과 함께 경구투여 한다.

치옥타시드주사

주성분 및 함량:치옥트산트로메타민 952.8mg(치옥트산으로서 600mg)/24mL

의약품분류번호:399[따로 분류되지 않는 대사성 의약품]

의료보험코드:642200990

저장방법:차광밀봉용기, 실온보관

[성상]
미황색의 투명한 액이 갈색의 유리앰플에 든 주사제

[효능효과]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염의 완화

[용법용량]
중증의 증상에 대해 1일 600mg의 치옥트산을 2∼4주간 정맥주사로 투여하고 그 이후에 1일 600mg의 치옥트산을 경구투여한다. 
정맥주입 : 치옥트산 600mg(24mL주사액)을 0.9% 생리식염수 100-250mL에 희석하여 최소 12분에 걸쳐 서서히 점적 주입한다. 1분당 치옥트산 50mg(주사용액으로 2mL)이상의 속도로 주입되어서는 안된다. 
정맥주사 : 주사기와 보조펌프(Perfusor)로 직접 정맥주사 할 수 있으며, 이때에도 최소 12분간의 주입시간을 준수하여야 한다.

디아그릴정

주성분 및 함량:글리메피리드 2mg

의약품분류번호:396[당뇨병용제]

의료보험코드:642200160

저장방법:기밀용기, 실온보관

[성상]
녹색의 장방형 정제

[효능효과]
인슐린-비의존형(type II) 당뇨병
- 식이요법, 운동요법, 체중감량만으로 혈당조절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단독으로 투여 
-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식이요법, 운동요법과 병행하여 혈당조절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인슐린과 병용하여 투여.
- 설포닐우레아계 또는 메트포르민을 식이요법, 운동요법과 병행하여 혈당조절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메트포르민과 병용하여 투여.

[용법용량]
각 환자에 대해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물 1/2컵 이상과 함께 씹지 않고 삼킨다. 이 약은 1일 1회 복용한다. 이 약은 아침식사 전 또는 첫번째 주된 식사직전에 복용해야 한다. 이 약 복용 후에 식사를 거르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1. 초기용량 및 용량결정
이전에 약물을 투여 받은 적이 없는 환자에 대해서는 1일 1회, 글리메피리드로서 1mg으로 투약을 시작한다. 필요할 경우, 1~2주의 간격을 두고 1mg씩 용량을 증가시킨다. 일반적으로 4mg 이상의 용량을 투여했을 때 추가효과는 거의 없지만, 몇몇 환자들은 6mg(또는 8mg)까지 증량시킴으로써 더 나은 대사조절을 보였다. 1일 4mg 투여가 실패하면, 먼저 인슐린 요법으로의 전환을 고려해 보고 그렇지 않으면 인슐린 또는 기타 경구용 당뇨병약과의 병용을 고려해야 한다.

2. 2차 용량조절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당뇨병 조절상태가 호전됨으로써 이 약의 필요량이 감소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저혈당을 피하기 위해 감량이나 이 약의 투여중단이 필요할 수도 있다. 체중감소, 생활방식의 변화, 또는 저혈당 또는 고혈당을 일으킬 위험성을 증가시킬만한 기타요인이 발생했을 때도 용량조절을 고려해야 한다.

3. 다른 경구용 혈당강하제에서 이 약으로의 전환
이 약 및 다른 경구용 혈당강하제 사이에 정확한 용량 상관관계는 없다. 다른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투여하다가 이 약으로 전환할 경우에는 초기용량 항에서 제시한 방법을 따르는 것이 좋다. 즉, 1일 1mg으로 투여를 시작하고 1~2주 간격으로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전에 투여하던 약물의 효력 및 작용지속정도를 고려해야 한다.

4. 투약조절
이 약을 복용하는 동안, 혈당 또는/및 뇨당수준을 규칙적으로 측정해야 하고, 또한 글리코실화 헤모글로빈 수준을 규칙적으로 측정하는 것도 권장된다. 일반적으로, 저혈당은 곧바로 당을 섭취함으로써 즉시 조절된다. 설포닐우레아계 약물을 투여했을 때 초기에 성공적으로 대처했음에도 불구하고 저혈당이 재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환자를 주의깊게 관찰해야 한다. 심한 저혈당의 경우에는 의사의 즉각적인 처치 및 추적관찰이 필요하고 때때로 입원치료가 필요하다.

5. 인슐린과의 병용요법
이 약과 인슐린의 병용요법은 이차적 실패 환자에게 사용하며 공복시 혈당이 150mg/dL을 넘을 경우 인슐린과의 병용요법을 사용한다. 이 약은 1일 1회 첫번째 식사와 함께 8mg을 투여하며, 인슐린은 저용량으로 시작하여 공복시 혈당 측정치에 따라 대략 일주일 간격으로 증량한다. 안정화되면, 가능한 한 날마다 모세혈당을 모니터해야 한다. 혈당과 글리코실화헤모글로빈(HbA1c)을 측정하면서 주기적으로 인슐린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6. 메트포민과의 병용요법
환자가 이 약의 최대용량에 적절히 반응하지 않을 경우, 메트포민의 추가를 고려할 수 있다. 글리벤클라미드, 글리피자이드, 클로르프로파마이드, 톨부타마이드 등의 기타 설포닐우레아계 제제와 메트포민의 병용요법에 대해 발표된 임상정보가 존재한다. 이 약과 메트포민의 병용요법시, 각각의 약물의 용량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혈당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혈당조절을 위한 각 약물의 최소 유효용량을 알아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약과 메트포민의 병용투여시 저혈당의 위험이 존재하며 위험이 증가할 수도 있다. 적절한 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디아그릴엠정

2/500mg주성분 및 함량:glimepiride 2㎎ metformin hydrochloride 500㎎

의약품분류번호:396[당뇨병용제]

의료보험코드:642203090

저장방법:밀폐용기, 실온보관

[성상]
흰색 장방형 필름코팅정제

[효능효과]
이 약은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식사요법 및 운동요법의 보조제로 투여한다. 1. 이 약은 단독요법으로 투여한다. 2. 이 약은 다음의 경우 병용요법으로 투여한다. 1) 경구용 혈당강하제로 혈당조절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인슐린과 병용투여. 2) 설포닐우레아계 또는 메트포르민 단독요법으로 혈당조절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메트포르민과 이 약을 병용투여.

[용법용량]각 환자에 대해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물 1/2컵 이상과 함께 씹지 않고 삼킨다. 이 약은 1일 1회 경구투여한다. 이 약은 아침식사 전 또는 첫번째 식사직전에 복용해야 한다. 이 약 복용 후에 식사를 거르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1. 단독요법. 1) 초기용량 및 용량결정. 이전에 약물을 투여 받은 적이 없는 환자에 대해서는 1일 1회, 글리메피리드로서 1mg으로 투약을 시작한다. 필요할 경우, 1-2주의 간격을 두고 1mg씩 용량을 증가시킨다. 일반적으로 4mg 이상의 용량을 투여했을 때 추가효과는 거의 없지만, 몇몇 환자들은 6mg(또는 8mg)까지 증량시킴으로써 더 나은 대사조절을 보였다. 1일 4mg 투여가 실패하면, 먼저 인슐린 요법으로의 전환을 고려해 보고 그렇지 않으면 인슐린 또는 기타 경구용 당뇨병약과의 병용을 고려해야 한다. 2) 2차 용량조절.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당뇨병 조절상태가 호전됨으로써 이 약의 필요량이 감소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저혈당을 피하기 위해 감량이나 이 약의 투여중단이 필요할 수도 있다. 체중감소, 생활방식의 변화, 또는 저혈당 또는 고혈당을 일으킬 위험성을 증가시킬만한 기타요인이 발생했을 때도 용량조절을 고려해야 한다. 3) 다른 경구용 혈당강하제에서 이 약으로의 전환. 이 약 및 다른 경구용 혈당강하제 사이에 정확한 용량 상관관계는 없다. 다른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투여하다가 이 약으로 전환할 경우에는 초기용량 항에서 제시한 방법을 따르는 것이 좋다. 즉, 1일 1mg으로 투여를 시작하고 1-2주 간격으로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전에 투여하던 약물의 효력 및 작용지속정도를 고려해야 한다. 4) 투약조절. 이 약을 복용하는 동안, 혈당 또는/및 요당수준을 규칙적으로 측정해야 하고, 또한 당화헤모글로빈(HbA1c) 수준을 규칙적으로 측정하는 것도 권장된다. 일반적으로, 저혈당은 곧바로 당을 섭취함으로써 즉시 조절된다. 설포닐우레아계 약물을 투여했을 때 초기에 성공적으로 대처했음에도 불구하고 저혈당이 재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환자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심한 저혈당의 경우에는 의사의 즉각적인 처치 및 추적관찰이 필요하고 때때로 입원치료가 필요하다. 2. 병용요법. 1) 인슐린과의 병용요법. 이 약과 인슐린의 병용요법은 2차적 실패 환자에게 사용하며 공복혈당(FBG)이 150mg/dL을 넘을 경우 인슐린과의 병용요법을 사용한다. 이 약은 1일 1회 첫번째 식사와 함께 8mg을 투여하며, 인슐린은 저용량으로 시작하여 공복혈당 측정치에 따라 대략 일주일 간격으로 증량한다. 안정화되면, 가능한 한 날마다 모세혈당을 모니터링 해야 한다. 혈당과 당화헤모글로빈을 측정하면서 주기적으로 인슐린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2) 메트포르민과의 병용요법. 환자가 이 약의 최대용량에 적절히 반응하지 않을 경우, 메트포르민의 추가를 고려할 수 있다. 글리벤클라미드, 글리피자이드, 클로르프로파마이드, 톨부타마이드 등의 기타 설포닐우레아계 제제와 메트포르민의 병용요법에 대해 발표된 임상정보가 존재한다. 이 약과 메트포르민의 병용요법시, 각각의 약물의 용량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혈당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혈당조절을 위한 각 약물의 최소 유효용량을 알아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약과 메트포르민의 병용투여시 저혈당의 위험이 존재하며 위험이 증가할 수도 있다. 적절한 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글리타정

주성분 및 함량:Pioglitazone HCl 16.53mg (Pioglitazone으로서 15mg 함유)

의약품분류번호:396[당뇨병용제]

의료보험코드:649000010

저장방법:차광기밀용기, 습기를 피하여 25℃에 보관 (15℃~30℃)

[성상]
백색 내지 회백색의 원형정제

[효능효과]
이 약은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식사요법 및 운동요법의 보조제로 투여한다. 1. 이 약은 단독요법으로 투여한다. 2. 이 약은 다음의 경우 병용요법으로 투여한다. 다른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혈당개선효과를 보지 못했을 경우에는 설포닐우레아제, 메트포르민 혹은 인슐린과 함께 병용투여. 제2형 당뇨병환자는 이 외에도 영양 상담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체중감량도 요구되고. 운동요법도 실시하여야 한다. 제2형 당뇨병 환자에 있어서 이러한 노력들은 초기치료뿐만 아니라 약물요법의 효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중요하다.

[용법용량]

이 약은 식사에 관계없이 1일 1회 경구투여한다. 당뇨병의 관리는 각자 개인적으로 차별화 되어 실시하여야 한다.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공복혈당(FBG)보다는 더 정확한 진단방법인 당화헤모글로빈(HbA1c) 수치를 보아가며 치료의 반응을 평가하여야 한다. 당화헤모글로빈은 과거 2 ~ 3개월 간의 혈당상태를 반영한다. 임상적으로 이 약은 당뇨병환자가 혈당조절이 더 악화되지 않는다면 당화헤모글로빈의 변화를 평가하기에 적당한 기간(최소 3개월)은 투여 하여야 한다. 18세 미만의 소아에는 사용경험이 없으므로 투여가 권장되지 않는다. 1. 단독요법 이 약은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으로 혈당이 적절히 조절되지 않는 환자에게 단독요법으로 피오글리타존으로서 1일 1회 15 mg으로 시작할 수 있다. 이 약의 초기 투여량으로 충분히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이 약으로서 1일 1회 30 mg까지 증량할 수 있다. 단독요법에 적절히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에게는 병용요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2. 병용요법 1) 설포닐우레아 : 이 약은 설포닐우레아계 약물과 병용투여 할 수 있으며 이때 초기용량은 1일 1회 15 mg을 투여한다. 이 약과 병용요법으로 사용할 경우 현재의 설포닐우레아계 약물은 동일한 용법용량으로 지속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환자가 저혈당 증세를 보이면 설포닐우레아 투여량을 줄여야 한다. 2) 메트포르민 : 이 약은 메트포르민과 병용투여 할 수 있으며 이때 초기용량은 1일 1회 15 mg을 투여한다. 이 약과 병용요법으로 사용할 경우 현재의 메트포르민은 동일한 용법용량으로 지속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 약과의 병용요법을 하는 동안 저혈당 증세 때문에 메트포르민 투여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것 같지는 않다. 3) 인슐린 : 이 약은 인슐린과 병용투여 할 수 있으며 이 때 용량은 1일 1회 15 mg을 투여한다. 이 약은 병용요법을 시작할 때도 현재의 인슐린 투여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약과 인슐린을 병용투여 받는 환자가 만약 저혈당 증세를 보이거나 혈장 글루코스 농도가 100 mg/dL이하로 감소하게 되면 인슐린 투여량을 10 ~ 25 %까지 감량할 수 있다. 이후의 용량조정은 혈당의 조절상태에 따라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 최대 권장용량 단일요법 또는 설포닐우레아, 메트포르민, 인슐린과의 병용요법의 경우 1일 1회 30 mg을 초과하는 용량은 권장되지 않는다. 신기능부전증 환자에서의 투여량 조정이 권장되지 않는다(일반적 주의항 신장애 환자 참고). 치료법 시작시점에서 환자가 활동성 간질환이나 혈청 아미노전달효소 수치 증가(ALT 정상 상한치의 2.5배 이상)의 임상적 증거를 보일 경우 이 약 요법을 시작하면 안된다(이상반응 및 일반적 주의항의 간에 대한 작용 참고). 이 약 요법을 시작하기 전과 그 후 정기적으로 모든 환자에서 간 효소 모니터링이 권장된다. 다른 티오졸리딘디온과의 병용요법으로 이 약을 투여한 데이터가 없다.

디아그릴-멕스 서방정

2/500mg 

주성분 및 함량:glimepiride 2㎎ metformin hydrochloride 500㎎

의약품분류번호:396 [당뇨병용제]

의료보험코드:642203240

저장방법:기밀용기, 실온보관

[성상]
흰색 장방형 필름코팅의 삼중정제

[효능효과]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제2형)환자에서 식이요법 및 운동요법과 병행하여, 1) 글리메피리드 또는 메트포르민 단독요법으로 혈당조절효과가 불충분한 경우. 2) 글리메피리드와 메트포르민 병용요법의 대체.

[용법용량]

항당뇨병용 약제는 환자 개개인의 혈당치에 따라 용량을 조절하여야 한다. 이 약의 초기용량은 아래를 참고하여 가능한 저용량으로 개시한다. 1) 기존의 설포닐우레아 또는 메트포르민 단독 요법으로 혈당이 적절히 조절되지 않는 경우: 통상적으로 글리메피리드/메트포르민염산염으로서 1일 2/500mg이 초기용량으로 사용되며, 환자의 현재 복용 중인 약물과 혈당치를 고려하여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약물 사용 전에 반감기가 긴 설포닐우레아계 약물(예, 클로르프로파미드 등)을 사용한 경우는 과도한 약리작용으로 인한 저혈당이 발현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모니터링하여야 한다. 2) 병용요법의 대체로 사용할 경우: 글리메피리드 및 메트포르민염산염의 기존 1일 투여 용량과 동일한 용량을 투여한다. 필요한 경우, 각 환자의 현재 치료요법, 유효성, 내약성을 고려하여 각 성분의 최대 권장용량인 글리메피리드 8mg, 메트포르민 2000mg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증량하며, 이를 위해 적절한 혈당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한다. 글리메피리드는 일반적으로 4mg 이상의 용량을 투여했을 때 추가 효과는 거의 없지만, 몇몇 환자들은 6mg(또는 8mg)까지 증량시킴으로써 더 나은 대사조절을 보였다. 이 약은 아침 또는 주된 식사 직전이나, 식사와 함께 1일 1회 투여한다. 복용을 못한 경우라도 다음 복용 시 1회 용량을 초과해 복용해서는 안된다. 이 약은 서방성 제제이므로 부수거나 씹어먹지 말고 전체를 삼켜야 한다.(일반적 주의사항 참조)

 

반응형
반응형

(003000) 부광약품 - (3) 제품소개 < 처방의약품(갑상선용제 칼슘제) , (골대사제제) , (근이완제) >

 

제품소개

처방의약품(갑상선용제 칼슘제)

씬지로이드정

주성분 및 함량:

1정 중 레보티록신나트륨수화물 0.05mg, 0.1mg, 0.15mg, 0.075mg

의약품분류번호:

243 갑상선, 부갑상선 호르몬제

의료보험코드:

(0.05mg)642201350 (0.1mg)642201340 (0.15mg)642201360 (0.075mg)642204180

저장방법:

0.05mg : 차광기밀용기, 실온(1~30℃)보관 , 0.1mg : 차광한 기밀용기

0.075mg : 차광기밀용기, 실온보관

<성상>
0.05mg : 엷은 분홍색의 원형 정제

0.075mg : 분홍색의 원형 정제

0.01mg : 황색의 정제

0.15mg : 백색의 원형 정제

<효능효과>
갑상선기능저하증, 점액부종, 크레틴병, 단순성 갑상선종 

<용량용법>
성인 : 레보티록신나트륨수화물로서  보통 1일 1회 25-400㎍ 경구투여한다. 일반적인 초회 투여량은 25~100㎍이며 
유지량은 100~400㎍이다.  단, 연령 및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콤지로이드정 

주성분 및 함량:1정 중 레보티록신나트륨 수화물0.05mg , 리오티로닌나트륨0.0125mg

의약품분류번호:243 갑상선, 부갑상선 호르몬제

의료보험코드:642202090

저장방법:기밀용기

<성상>
백색의 정제임

<효능효과>
1. 갑상선기능저하증, 점액부종, 크레틴병 
2. 단순성 갑상선종, 아급성 또는 만성 림프구성 갑상선염(하시모토병) 

<용량용법>
성인 : 보통 처음 복용량은 1일 1회 1/2정으로 하며 2-3주 간격으로 1/4정씩 증량한다. 특히 협심증 등 심혈관계 장애가 
의심되는 장기간 지속된 점액부종 환자는 1/4정의 낮은 용량으로 투여를 시작하는 것이 권장된다. 유지량은 1일 1회 1-2
정으로 한다. 단, 연령 및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부광메티마졸정

주성분 및 함량:1정 중 메티마졸 5mg

의약품분류번호:243 갑상선, 부갑상선 호르몬제

의료보험코드:642200680

저장방법:기밀용기

<성상>
백색의 정제임

<효능효과>
1. 갑상선기능항진증 
2. 아전 갑상선 절제술과 방사선 요오드 요법을 시행하려고 하는 갑상선기능항진증

<용량용법>
1. 성인 : 메티마졸로서 1일 초기량을 경증인 경우에는 15mg, 중등도인 경우에는 30-40mg, 중증인 경우에는 60mg을

8시간 간격으로 1일 3회 분할 경구투여한다. 기능항진이 소실함에 따라 유지용량으로는 1일 5-15mg을 1-2회 분할

투여한다. 
2. 소아 : 이 약으로서 1일 초기량은 체중 kg당 0.4mg을 8시간 간격으로 1일 3회 분할 투여하며, 기능항진이 소실함에 따
         라 유지량으로는 초기량의 1/2을 투여한다.

안티로이드정주성분 및 함량: 1정 중 프로필치오우라실50mg

의약품분류번호: 243 갑상선, 부갑상선 호르몬제

의료보험코드: 642201490

저장방법: 기밀용기

<성상>

백색의 정제임

<효능효과>
갑상선기능항진증

<용량용법>
1. 성인 : 초기량으로 프로필티오우라실로서 1일 100-300mg을 3-4회 분할 경구투여하며, 중증에는 1일 
   400-600mg까지 투여할 수 있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소실되면 1-4주간 점진적으로 감량하여 유지량으
   로서 1일 25-100mg을 1-2회 분할 투여한다.
2. 소아 : 초기량은 5-9세는 1일 100-200mg을, 10-14세는 1일 200-300mg을 1일 2-4회 분할 투여한다. 갑상
   선기능항진증이 소실되면 1-4주간 점진적으로 감량하여 유지량으로서 1일 50-100mg을 1-2회 분할 투여한다.
3. 임부 : 초기량 1일 150-300mg을 3-4회 분할 투여한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소실되면 1-4주간 점진적으
   로 감량해서 유지량으로서 1일 50-100mg을 1-2회 분할 투여한다. 정상 임신시 갑상선 기능 검사치가 
   저하되지 않으면 2주마다 검사를 실시하여 필요최저용량을 투여한다.

하드칼츄어블 이지정 

주성분 및 함량:calcium carbonate 750㎎ (300㎎ as Ca) cholecalciferol concetrate powder 2㎎ (200IU as colecalciferol)

의약품분류번호:321 - 칼슘제

의료보험코드:642203400

저장방법:밀폐용기, 실온보관(1-30℃)

[성상]
흰색 원형의 씹어 먹는 정제

[효능효과]
○ 다음 경우의 비타민 D의 보급 - 임신·수유기 - 발육기 - 노년기 - 이 약에 함유된 비타민D의 효능·효과: ·뼈, 이의 발육불량 ·구루병의 예방

○ 칼슘결핍 및 기타 칼슘의 보급

[용량용법]

만 8세 이상 : 1일 1회 2-4정, 만 36개월 - 만 8세 미만 : 1일 1회 1-2정

하드칼츄어블정 주성분 및 함량 : calcium carbonate 1500㎎ (600㎎ as Ca) cholecalciferol concetrate powder 4㎎ (400IU as colecalciferol)

의약품분류번호 : 321 - 칼슘제

의료보험코드 : 642202380

저장방법 : 기밀용기, 25℃이하 보관

[성상]
흰색 원형의 씹어 먹는 정제

[효능효과]
·칼슘 결핍 및 기타 칼슘의 보급 ·임신·수유기, 발육기, 노년기의 비타민 D의 보급 ·뼈, 이의 발육불량, 구루병의 예방

[용량용법]

성인 및 12세 이상 소아 : 1일 1회 1정 - 2정

3-12세 : 1일 1회 1/2 - 1정

입안에서 녹이거나 씹어서 복용한다.

 

처방의약품(골대사제제)

비비안디정

  • 주성분 및 함량 : 1정 중 bazedoxifene acetate 22.6mg, cholecalciferol concentrated powder 8mg

  • 의약품 분류번호 : 399 따로 분류되지 않는 대사성 의약품

  • 의료보험코드 : 642204350

  • 저장방법 : 기밀용기, 실온보관

  • 성상 : 노란색의 양면이 볼록한 장방형 필름코팅정

  • 효능ㆍ효과 :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 단, 이 약은 척추골절의 발생은 감소시켰으나, 비척추성골절에 대한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 용법ㆍ용량 : 바제독시펜 투여가 필요한 환자로서 비타민D 섭취가 불충분한 경우에 복용한다. 1일 1회, 1회 1정씩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한다. 신장애 환자: 이 약은 중증의 신장애 환자에서 충분히 평가되지 않았으므로 신중하게 투여해야 한다. 간장애환자: 이 약은 간장애 환자에서 안전성ㆍ유효성이 확립되지 않았으므로 투여가 권장되지 않는다. 

 

처방의약품(근이완제)

메디톡신주 200단위

  • 주성분 및 함량 : Clostridium botulinum A toxin 200unit

  • 의약품분류번호 : 632 [독소류 및 톡소이드류]

  • 의료보험코드 : 675500021

  • 저장방법 : 냉동 또는 냉장보관

  • 성상 : 무색 투명한 바이알에, 동결 건조한 백색 분말이 충전된 주사제

  • 효능ㆍ효과 :

1. 18세 이상 성인에 있어서 양성 본태성 눈꺼풀경련

2. 2세 이상의 소아뇌성마비 환자에 있어서 강직에 의한 첨족기형의 치료

3. 20세 이상 65세 이하의 성인에 있어서 눈썹주름근(Corrugator muscle) 그리고/또는 눈살근(procerus muscle) 활동과 관련된 중등증 내지 중증의 심한 미간주름의 일시적 개선

4. 근육강직 : 20세 이상 성인의 뇌졸중과 관련된 상지 국소 근육 경직

  • 용법ㆍ용량 :

1. 눈꺼풀경련

상검 내측과 대측의 검판전 안륜근과 하검 대측의 검판전 안륜근에 초회 투여 권장량은 1.25~2.5U(각 부위에 0.05~0.1ml)이다.

일반적으로 주사의 초회효과는 3일 이내에 나타나고 최고효과는 1~2주 사이에 나타난다. 30일간 투여 시 축적량은 200U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2. 소아뇌성마비 환자의 강직에 의한 첨족기형

편마비의 경우에는 강직된 다리에 총량 4U/kg body weight로 하고, 최대 투여량은 1회 200U을 넘을 수 없다. 양측마비의 경우에는 강직된 양쪽 다리에 총량 6U/kg body weight를 각각 나누어 투여한다. 

3. 미간주름

30게이지 주사바늘을 사용하여 각 눈썹주름근의 두 곳과 눈살근의 한 곳 총 5개 부위에 0.1ml씩 주사하여 총 20U을 주사한다.

4. 근육강직

정확한 용량 및 주사부위의 수는 관련된 근육의 크기, 수와 위치, 강직의 정도, 국소 근육 약화의 존재 여부, 이전 치료에 대한 환자의 반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임상시험에서의 용량은 최대 360U을 초과하지 않았으며, 각 근육에 나누어 주사 되었다. 

멸균된 24~30 게이지의 주사침이 표면근육에 사용되고, 적절한 길이의 주사침이 깊은 근육조직에 사용된다. 근전도 검사의 유도와 신경 자극 기술이 관련 근육의 위치 선정에 유용하다.

 

반응형

+ Recent posts